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솔 Jun 17. 2024

콩국수 맛집 소개

빼어난 콩국수가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선릉역 근처에 있는 ‘맛자랑’이라는 곳이다. 음식점 사장과는 아무 관련 없다. 누군지도 모른다. 단지 이토록 빼어난 콩국수가 있다는 데 감탄할 뿐이다. 


일단 국물이 참 마침맞게 진하다. 풋내 없는 신선한 콩의 고소함을 크리미하게 담아냈다. 간도 적당하고 균형 잡힌 짠맛과 단맛이 잘 어우러져 있다. 면이 내가 좋아하는 메밀면이다. 크림색 국물에 빠져있는 회갈색 면을 보면 군침이 돌기 시작한다. 같이 나오는 김치는 고춧가루가 듬성듬성 묻어있는 겉절이인데 콩국수랑 잘 어울린다.  


2024. 6. 17.


얼마 전 친구를 데리고 그 집에 갔다. 사람들이 가득 들어차 있었다. 친구는 음식점 안을 대충 쓱 둘러보더니 안내받은 변변찮은 자리에 앉자마자 말했다. 


"여기가 콩국수 맛집이라고? 콩국수 하나랑 뭐 딴 거 하나 시켜서 나눠 먹을까?"


나는 재빨리 대답했다. "나는 콩국수만 먹을래. 너는 너 먹고 싶은 거 시켜." 나는 반드시 온전한 콩국수 한 그릇을 붙잡고 먹어야만 했다. 


원래는 만나면 다양한 메뉴를 시켜 나눠 먹곤 했었는데 나의 반응이 의외라는 듯 친구는 "그래? 그럼 콩국수 두 개 시키지 뭐."라며 뜨뜻미지근해했다. 


그런데 국물을 한 번 떠먹더니... "야 너무 맛있다. 니가 왜 콩국수 두 개 시켜야 된다고 했는지 알겠다."


"야 토마토가 이렇게 잘어울릴 일이야?"


"야 우리 할머니 콩국수도 이겼다."


"야 이건 한 숟가락도 남길 수 없는 국물이다."


"야 나 이 콩국수 맨날 먹을 수 있을 거 같애."


"넌 좋겠다. 집이 여기서 가깝잖아."


"김치도 맛있다."


친구가 너무 호들갑을 떨며 극찬을 퍼붓는 바람에 나는 숨이 넘어가서 오히려 콩국수맛을 잘 못 느낄 지경이었다. 나도 친구처럼 맛있으면 맛있다고 열 번 말하는 스타일인데 앞으로는 맛있어도 한두 번만 얘기해야겠다고 다짐했다. 


보통 음식점 인테리어가 근사하거나, 또는 유구한 역사가 있는 허름한 노포 스타일이거나 하면 ‘오, 왠지 맛있을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게 된다. 마치 영화 본편을 보기 전 흥미진진한 예고편을 본 것처럼. 그런데 이 집은 "인테리어? 그런 게 있어?"라고 말하는 듯 근사하지도 낡은 멋스러움이 있지도 않다. 아무 특색이 없는 일자형 형광등 아래 식탁과 의자가 있을 뿐인 말 그대로 그냥 식당이다. 


그러니까 나는 이 빼어난 콩국수의 기원을 찾고 싶다. 이건 어디서 연유한 빼어남인가. 황무지에 꽃이 핀 것처럼, 혼자 어디서 툭 튀어나온 듯 단독으로 특출난 이 탁월함의 정체는 뭘까?


누가 사장님 인터뷰 좀... 이라고 쓰려고 했다. 아니, 그럴 게 아니라 내가 인터뷰를 하면 되잖아? 가게 홍보도 되니 사장님한테도 좋고. 


"맛의 비결이 뭔가요?" 

"엄선된 국산콩을 쓰고 좋은 소금을 썼죠. 토마토는 육질이 단단하면서도 달고 진한..." 

가게 내부를 배경으로 한 사장 아저씨의 인터뷰 사진이 나오고... 

흠, 좀 식상한 것 같은데? 당연히 좋은 재료를 썼겠지. 그냥 내가 많이 먹어보고 맛의 비결을 심도 있게 탐구해보는 걸로 하자. 


이 집 콩국수 맛있다. 내가 먹어본 콩국수 중에 제일 맛있다. 올 여름 미션은 이 집 콩국수 스무 그릇 먹기다. 


2024. 6. 17


추신. 이 글은 망했다. 검색해보니 35년 된 콩국수 맛집이고 사장님은 이미 여러 방송에 출연한 유명인이었다. 이 집은 다른 첨가물은 일체 넣지 않고 백태 중에서도 크기가 큰 왕태만 백프로 사용해 콩국수를 만든단다. 물을 많이 섞지 않으며 콩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한약재를 사용하는 것도 비법이었다. 나는 여태 나만 아는 맛집인 줄 알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가 원래 택시 하던 사람이 아니고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