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물고기 Oct 12. 2022

글쓰기의 어려움

쓰고 있는 글의 진도는 잘 나가지 않고 이걸 두고 다른 걸 쓰자니 쓰면서도 안 풀렸던 이전 글이 계속 마음에 걸리고 그런 마음으론 새로운 글도 잘 써지지 않는다.


색칠되지 않은 칸이 얼마 남지 않은 목차를 하루에도 몇 번씩 가만히 바라보는데 내가 이만큼이나 썼지만 그중 정말 확신을 가지고 제대로 썼다고 말할 수 있는 글은 많지 않은 것 같아 막막한 기분이 되곤 한다. 남은 목차는 그대로 쓰는 게 맞을까. 저 제목으로 나는 새로운 글들을 쓸 수 있을까. 글을 쓰는 데 있어서 자기 확신을 가지기란 쉬운 일이 아닌 것 같다. 일단 써봐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쓴 후에도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는 점을 보면 쓰지 않아서 자기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는 말도 100프로 맞는 말은 아닌 것 같다. 쓴 글은 내가 써봤으니 확신이 안 서고, 안 쓴 글은 내가 써본 적 없으니 확신이 없다. 이러나저러나 확신이 없긴 마찬가지다. 글쓰기란 자신에 대한 불확신을 획득하는 과정인가 보다. 쌓여가는 건 양면으로 인쇄된 종이 더미뿐이다.


비장한 마음을 가지고 글쓰기를 시작했는데 그게 벌써 3년이 되어 가니 초심을 되찾기 위해선 내가 나의 기획서를 다시 찾아 읽어봐야 할 정도다. 내가 무슨 마음으로 이 책을 기획하고 굳이 책으로 만들 마음까지 먹었는지 기획서를 다시 읽어보며 마음을 다잡아 본다. 책을 쓰는 사람들은 모두 처음의 굳건했던 마음을 기억하는 걸까? 단기간에 완성할 수 있다면 그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글 작업을 1-2년 안에 끝냈다면 비장한 마인드를 계속 끌고 갔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이 오랜 시간 그렇게 살기는 힘들다. 책의 목적이 달라지는 건 아니지만 오래 아프다 보니 더 유연해지기도 했고 조급한 마음을 조금 놓게도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더 빨리 글들을 책으로 묶지 못한 것을 후회하냐고 한다면 그건 아니다. 분명 더 오래 아프면서 알게 된 것들이 있다. 짧게 아파서는 몰랐을 마음의 변화들이 있다. 긴 시간을 보내고 나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 있다. 그래서 긴 시간을 담게 된 것은 후회하지 않는다. 오히려 잘 된 일이라고 생각한다.


글쓰기는 쉽지 않다. 글쓰기가 몸 쓰기보다는 훨씬 쉽다고, 그러니 아무 문제도 아니라고 말했지만 몸 쓰기가 어려운 건 자명한 일이고 글쓰기가 그보다 조금 쉬울 뿐 어렵지 않은 건 아니다. 글쓰기는 어렵다. 매우 어렵다. 다시 쓰고 고쳐 쓰고 새로 쓸 수 있지만 그 모든 과정이 고통스럽게 느껴질 때가 있다.


처음이 중요하지만 중요하지 않기도 하다. 처음이 중요한 건 일단 처음에 쓴 글을 가지고 고쳐보려고 머리를 굴려대기 때문이다. 처음이 거지 같으면 그걸 고쳐보려는 과정이 괴롭기 그지없다. 처음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그렇게 거지 같으면 결국엔 통으로 버려지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형편없는 처음은 쓰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하지만 형편없는 쓰레기가 아니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 때가 있으니 그럴 때면 어쩔 수 없이 그거라도 써야 한다. 뭔가 하고 싶은 말이 있을 때 그걸 빈칸으로 두는 것보단 하고 싶은 말 비슷한 것이라도 써놓는 것이 낫기 때문이다. 그게 고쳐 쓰고 고쳐 쓰고 다시 쓰고 새로 쓰는 고통의 서막이 될지라도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단서는 될 수 있다. 쓰레기는 다시 읽기도 괴롭지만 어쩔 수 없다. 비우는 것보단 쓰는 게 낫다.


요 며칠은 그나마 읽어줄 만한 글 중 똥덩어리 같은 두 문단을 써놓고는 그걸 해결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았다. 빈칸으로 두는 것보단 내가 무슨 말을 하려는지 적어라도 두는 게 낫기에 일단 적었는데 도저히 회생 불가능한 초고(라고 하고 싶지도 않다)였다. 그래서 첫 번째 버전은 바로 버려졌다. 중요한 건 버리기 전에 대체할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 두 문단만 마음에 걸리는 경우엔 그날의 글쓰기를 끝냈다고 해도 그 글이 머릿속에 계속 둥둥 떠다니는데 보통 휴대폰 메모장에 글을 자꾸 적는 일을 반복한다. 펜을 들기엔 노트가 당장 앞에 없고 노트북까지 가기엔 시간이 걸리니 당장 떠오르는 문장을 포착하기 위해 메모장을 활용하는 것이다. 휴대폰 메모장은 노트북의 메모장과 연동되기 때문에 다음에 작업할 때 복사-붙여 넣기만 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게 나는 책상 앞을 떠나도 글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계속 매어 있다. 정해진 시간만 작업하고 글쓰기 뇌의 스위치를 끌 순 없을까? 하지만 갑자기 떠오르는 메모에서 실마리를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아닌 때에 조각 메모를 한다고 그리 문제 삼을 일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그 똥덩어리 같은 두 문단은 휴대폰 메모를 몇 번 적고도 아직 괜찮은 대체 버전을 찾지 못했다.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까지 만들었지만 다 별로다. 이대로는 또 며칠 내내 내 머릿속을 지배할 태세다.


글만 생각한다고 글을  쓰는  아니겠지. 글을 계속 써야 글을  쓰게 되는  테다. 그런데 글을 계속 써도 맘에 드는  나오지 않으면 어떡하지. 그러면 계속 써야  거다. 근데 계속 쓰는 데도 맘에 드는  나오지 않으면? 그러면  계속 써야겠지.


오늘도 그래서 계속 썼다. 계속 쓰다가도 맘에 드는  나오지 않아 원고 작업을 멈추고 글쓰기가 어렵다는 글을 쓰고 있다. 나는 작가로 살고 싶은데 작가는 나를 선택해  생각이 없는  같다. 아니지, 작가라는 직업의 의견은 들어볼  없다. 내가   있는 일이라곤 그저 계속 쓰고 이렇게 하소연하고 그러다가도 다시 쓰고  쓰고  쓰길 반복하는 일뿐이지. 글쓰기에 관해선 내가   없는 일은 없다는  다행이긴 하지만 내가   있는 일은 끝없이 계속될  있으니 그것도  어려운 일이다. 내가   있다. 계속 쓰면 된다. 단지 영원히 반복할 .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