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는일학년담임 Oct 21. 2022

돈은 아이를 어떻게 좌절시키나?

아이들이 부자를 선망하는 과정

돈이 아이를 어떻게 좌절시키는 방법

1학년이 거의 끝나갈 무렵, 글쓰기 시간이었다. 뭔가 재미있는 주제로 글을 쓰게 하고 싶어서 <1학년 때 갖고 싶었는데 끝내 못 가져서 2학년 때는 꼭 갖고 싶은 것>에 대해 써볼 테니 한 가지씩 말해보기로 했다. 이럴 때 예상되는 글감은 장난감이나 학용품처럼 자신의 생활과 경험에서 나오는 것들이다. 자연스럽게 포켓몬 카드, 레고, 게임기 같은 익숙한 말이 나오는데 한 아이가 불쑥 집을 갖고 싶다고 말했다.

다른 아이들과는 결이 다른 글감이다 보니 잠시 분위기가 술렁이는데 맞은편 아이가 옅은 한숨을 쉬며 그 아이에게 말했다.

"야, 너 그거 돈 엄청 많아야 돼. 삼천만 원 정도 있어야 될걸."

다른 아이도 끼어든다.

"야, 삼천만 원으로 안 돼. 선빈이네 축사에 있는 소 다 팔아도 못 살걸. 요즘 집 값이 얼마나 비싼 지 아냐?"

선빈이도 한 마디 한다.

"야, 얼마 전에 우리 아빠가 송아지 오백만 원 받았어."

아이들이 놀란다.

"헐. 오백만 원? 와, 쩐다."

오백만 원이 많아서 놀라는 건지 그 반대라 그러는 건지 잘 몰라서 아이들에게 물어보려는데, 집이 필요하다고 한 아이가 갑자기 목청을 높인다.

"우리 내년 봄에 전세 올려 줘야 되니깐 그러지. 아님 이사 가야 돼!"

"헐. 넌 유치원 때 이사 왔으면서 또 이사 가냐?"

"야, 그럼 전세 올려줄 돈이 없는데 어떡하냐?"

"야, 니네 아빠가 돈 벌면 되지, 으이구."

"우리 아빠가 돈 벌어도 안 된다니깐. 고모랑 할머니가 돈을 가져가서." 

"헐. 고모랑 할머니가 돈을 가져갔어? 와, 쩐다."

"야, 고모랑 할머니가 다시 갚겠지. 으이구"

그 말을 들은 아이들 표정이 가라앉는다. 그러자 한 아이가 분위기를 바꾸려는 듯 그 아이를 위로한다.

"야, 그럼 효자 8동 아파트로 이사 가. 우리 작은 아빠가 거기 산단 말이야. 거기 아파트 싸다 그랬단 말이야. 맞죠, 선생님?"

"아, 그런가? 선생님이 거기 안 가 봐서 잘 모르지만 ㅇㅇ이네 엄마 아빠가 계획을 세우실 것 같은데?"

아이의 고민은 자기네 집이 없는 것이다. 그동안 이사를 몇 번 했는데 이사할 때마다 도시 중심지에서 멀어져 온 집안 형편이 마음 아팠을 것이다. 집 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님의 모습도 여러 번 봤을 것이다. 그 결과 부모님의 현실적인 염려가 투사되고 있다. 아이들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부모님이 돈 때문에 낭패를 본 사연을 지닌 경우가 종종 있다. 돈 때문에 부모님이 싸우거나 친척, 또는 이웃의 빚 독촉을 받고 괴로워하는 걸 본 것이다. 아이들은 그런 상황을 불안해한다. 이때 느끼는 불안은 어른이 느끼는 그것보다 크다. 그 불안을 좀 덜어보려고 부모 말고 그나마 믿을 만한 사람 중 하나인 담임과 나누고 싶은가 보다. 기다렸다는 듯이 자기 얘기를 쏟아 놓는다.

"우리 아빠가 어제 아저씨들이랑 술 먹구 왔단 말이에요. 그런데 아빠가 술값을 다 냈단 말이에요.  엄마가 아빠한테 막 뭐라 그랬단 말이에요. 그랬더니 아빠가 엄마한테 그만 좀 지랄하라 그랬잖아요."

"할아버지가 술 먹고 오토바이 타다가 꼬라박았단 말이에요. 다리가 똑 뿌러졌잖아요? 그런데 아빠가 돈이 없으니깐 할아버지한테 막 뭐라 그랬잖아요? 할머니가 울었잖아요."

"우리는 쪼끄만 집에 여섯 명이나 사는데.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나오는 ㅇㅇㅇ는 엄청 좋은 집에 살더라구요. 정말 좋겠죠. 나도 그런데 살면 좋은데. 그래서 엄마한테 우리도 저런데 이사 가면 좋겠다 그랬단 말이에요. 그랬더니 엄마가 가고 싶으면 너 혼자 가서 살어, 이러잖아요."

아이들 대화에 나오는 어른들의 모습은 학교에서 배우는 어른의 모습과 사뭇 다르다. 비록 가난하지만 용기를 잃지 않고 열심히 사는 부모의 모습이 아닌 것이다. 부모가 자신의 처지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더 약자인 다른 가족(엄마, 할아버지)에게 떠 넘기거나 잘 사는 사람을 시기하는데 이런 모습에 담긴 어른의 속마음을 알아채는 것 같다.

이런 아이들에게 꿈을 가지라고 가르치는 대가로 먹고사는 나는 이러러 때마다 밥값을 못한다. 꿈을 가지게 하라고, 긍정의 힘으로 자라게 하라고 교육 지침서는 끝없이 주문하지만, 돈 때문에 상처받은 아이들 앞에서, 어떤 선생이 되어야 할지 막막하다. 지금은 힘들지만 언젠간 좋아질 거야. 그러니 희망을 가지렴. 세상은 살 만한 곳이란다. 이렇게 말하자니 메워지지 않을 아이들의 공허함이 부끄럽고 세상을 비관의 시선으로만 보지 말고 언젠간 좋은 일 오겠지, 생각하라고 가르치자니 면목이 안 선다.


높은 빌딩이 많고 물자가 넘쳐나는 이 풍요로운 나라에서 부모들은, 이 사회는, 국가는 어찌하여 겨우 1학년밖에 안 된 아이들이 저런 걱정을 하게 만드는가. 설사, 부모의  형편이 어렵다 하더라도 자기 아이에게는 곤궁함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엄마 아빠가 지금은 형편이 어렵지만, 열심히 일해서 우리 식구 모두 잘 살게 될 거라고, 그러니 너도 열심히 자라라고 말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말을 듣고 자라난 아이는 자신의 삶에 대해 조금 더 좋은 쪽의 희망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결핍에 익숙한 아이들이어서일까, 부자들에 대한 선망이 몸에 배 있다. 그래서 나에게 돈이 더 있다면 부자들처럼 이것도 사고 저것도 사고, 멋진 집에서도 살아보고 싶다고 말한다.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의 대리만족일까, 미디어에는 부자가 많이 나온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한 분야에서 열심히 하는 사람보다 돈이 많은 사람에 대한 선망이 더 커 보인다.




어떤 사업가가 방송에 나와서 자신의 성공 비결을 말한다. 가난한 어린 시절을 겪었기 때문에 돈 벌고 싶다는 욕망을 갖게 되었고 그게 동기가 되어 습관이 바뀌더라고. 그래서 성공했다고. 그러자 진행자가 묻는다. 

회장님도 고난을 많이 겪으셨을 텐데, 그럴 때마다 극복하셨잖습니까? 그 밑바탕에 깔린 힘이랄까... 저력이랄까... 뭔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지금까지 기업을 이끌어 온 힘일 텐데 말이지요. 어쩌면 우리 사회에 지금 꼭 필요한 것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시청자 여러분께서도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 그게 무엇인지 인터뷰 마지막 질문으로 드리고 싶습니다.

그러자 사업가는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에 안경을 추켜올리며 말한다. 

음... 결국 긍정의  힘이라고 해야겠지요. 앞으로는 잘 될 거라는 긍정의 힘 말입니다. 

인터뷰하는 내내 카메라는 그 사람이 사는 집의 단정한 정원과 이층 집에 넉넉히 들어찬 장식물들과 고급 가구가 있는 서재를 비추며 끝난다.

사업가가 돈을 벌도록 도운 노동자의 땀은 감춰진 채 리더의 정신 자세를 칭송하는 계몽을 볼 때마다 가증스러운 생각이 드는 건 어딘가에서 이걸 볼 우리 반 아이들이 떠올라서다. 자기 부모와 비교할까 봐, 그래서 괜한 실망을 느낄까 봐, 자기 엄마 아빠가 노력도 안 하고, 긍정의 힘도 갖지 못해 자기까지 가난하다고 생각할까 봐. 그래서 부모를 존경하는 마음을 거두고 원망할까 봐.

돈을 벌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 자본인 이 사회에서 개인의 가난이 어찌 개인만의 책임인가. 개천에서 용 나는 일이 어려운 지금, 용이 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요행을 기다리게 만드는 사회에서 우리 반 아이들이 상처받을 일이 걱정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가 수치심을 학습하는 순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