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명숙 Oct 18. 2020

미신을 믿는 불자(佛子)

아빠편 Vol.8



"그 최 씨 있잖어. 너 사진 보여줬더니 남자 넷이 덤벼도 상대가 안될 거라던데. 완전 상남자래 너."

"뭔 사진을 보여주셨어요, 또."

기센 딸을 뒀다는 최 씨의 말에 괜히 우쭐한 아빠와 달리 나는 께름칙했다. 최 씨는 아빠가 절에서 알게 된 분으로, 왕년에 무당이었다고 했다.



아빠에게 뇌종양이 생기고 몸이 약해진 이유가 ‘물고기를 날 것으로 너무 많이 먹어서’라고 얘기해 준 것도 최 씨였다. 아빠는 그 길로 그 좋아하던 송어 횟집에 발길을 끊었다. 말도 안 되는 소리였지만, 아빠는 웬만한 미신을 흘려듣지 못했다. 그런 성격 덕에 나는 고향 집에 가면 이따금 기이한 것과 마주했다.



"무슨 냄새야? 향 피워?"

"아빠가 기도한다고 피웠어."

냄새의 발원지를 찾아 한참 킁킁거린 끝에 발견한 곳은 장식장 위. 까치발을 딛고 보니 누구를 위한 건지 모를 잔 두 개가 놓여 있었다. 짙은 향 냄새를 못 이긴 내가 한참을 구시렁거리자 아빠는 마지못해 향을 껐다.



어느 날엔가는 현관에 들어선 나를 묵직한 독이 맞이했다.

"뭐야 이게?"

현관에 웬 독이 놓여 있었다. 아빠는 대답 대신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으며 거실 한 귀퉁이를 가리켰다. 똑같이 생긴 독이 하나 더 있었다.

"뭔데 저게?"

"이렇게 놔두면 집에 재물이 들어 온대."

조심스레 독을 열어보니 굵은소금이 꽉 차있었다. 이게 뭔가 싶어 인터넷에 ‘현관에 소금’을 검색하니 연관검색어가 수두룩했다. ‘현관 소금항아리, 소금항아리 위치, 현관 소금단지, ‘풍수지리 소금’…

한동안 묵묵히 자리를 지킨 독이 머쓱하게, 우리 집 재물운은 나아질 기미가 없었다.



종교적 믿음도 무교인 나에게는 미신과 헷갈리는 것이었다. 한 번은 부모님의 권유(라기보다는 회유)로 절에서 지내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에 참석했다. 예수재는 살아생전 다음 생에 받을 과보에 대해 미리 재(齊)를 지내는 의식인데, 장장 6시간이 넘는 큰 행사였다.



예수재의문에 따르면, 우리는 각자 태어난 해에 따라 갚아야 할 빚이 있다. 빚은 불교 경전을 읽어 갚을 빚과 금전적으로 갚을 빚으로 나뉘는데, 경오년(庚午年) 생인 나는 읽어야 할 경전이 20권, 갚아야 할 돈이 62,000관이다. 경전은 그렇다 치고, 갚아야 할 돈이 꽤 된다. 관(貫)이 ‘동전 1천 잎을 꿴 꾸러미’라고 하니, 10원만 대입해도 빚이 6억 2천이다(!!!). 수십억이 넘는 온 가족의 빚을 위해 절하고 시주하는 부모님을 보자니 마음이 혼란했다(절하는 족족 나가는 시줏돈에 심통이 난 것도 같다). 그리고 6시간이 지났을 때 내 인내심은 저승길을 건넜고, "다신 절에 안 오겠다"라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시간과 돈을 필요로 하는 믿음은 내게 사치였다.



아빠는 여전히 부처님의 가르침과 미신을 더불어 따른다. 전자 후자 할 것 없이 그 믿음은 너무 견고해서 내가 딴죽 걸 틈이 없다. 그래서 나는 아빠의 믿음(혹은 정신 승리)이 가끔 안타깝다.

‘아픈 몸은 의사를 믿고, 부족한 돈은 은행을 믿으시지... 다음 생은 알게 뭐람.’

더 솔직히는, 오늘을 살기에 바쁜 나는 그 맑은 믿음이 샘난다. 믿는 대로 다 잘되면 얼마나 좋을까. 안되니 문제지.



'다 잘돼, 사바하’

부모님이 당부해 방문 위에 붙여 논 부적의 글귀다. 스님이 써 준 부적이라는데 또 마음 깊은 속에서는 의심이 돋는다. ‘다 잘될까?’ 다 잘된다는 말은 언제 나에게 얄궂음이 아닌 안정감으로 다가올까. 오늘도 ‘다 잘돼’를 해맑고 단호히 되뇌었을 아빠를 떠올린다.



매거진의 이전글 올해도 아빠는 나무에 올랐다.(추석 벌초 강행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