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권일 Feb 06. 2023

노랑부리저어새 촬영 기록



노랑부리저어새, 전북 완주(2023년 1월 7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무리, 경남 창녕(2023년 1월 16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무리, 전남 강진(2023년 1월 21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와 생김새가 비슷한 저어새 (2018년 4월 20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전남 강진(2015년 3월 28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전남 강진(2014년 2월 28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전남 강진(2014년 10월 18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전남 강진(2015년 3월 14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 전남 강진(2015년 2월 20일 촬영)


노랑부리저어새는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새입니다. 주로 습지를 터전으로 살아가며, 길고 넓적한 부리로 물을 저어가며 물고기, 개구리, 올챙이, 곤충, 조개류 등을 사냥해서 먹습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암수가 비슷하게 생겼는데,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이 작은 편이지만 육안으로 봐서는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여름이 되면 머리 뒤쪽에 황금색의 장식깃이 나타나는데 겨울에는 장식깃이 사라집니다. 하지만 암컷은 뒤 목의 장식깃이 없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짝짓기 철이 되면 20~50여 마리의 집단을 이루어 살아가지만 그 외의 시기에는 주로 홀로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창녕 우포늪 따오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