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목격하는지혜 Apr 09. 2021

‘미나리’, 존재 자체로 쓸모 있는

“알아서 잘 자라네, 할머니가 좋은 자리를 찾으셨어”


한국에서의 고된 삶으로부터 서로를 구해주기 위해 미국으로 온 ‘제이콥’(스티븐 연)과 ‘모니카’(한예리)는, 서로를 구해주기는커녕 여전히 이어지는 삶의 고됨에 툭하면 싸우기 일쑤다. 아무리 기회의 나라라 해도 낯선 땅에서 뿌리를 내리기란 쉽지 않고, 모니카의 엄마 ‘순자’(윤여정)까지 동원한 이들 가족은 쓸모 있는 존재로 살아남기 위해 온 힘을 다한다.


영화 '미나리' 1


감독 정이삭의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영화 ‘미나리’는, 미국으로 이주한 어느 한인 가족이 정착해 나가는 과정을 차분한 시선으로 쫓는다. 그러한 까닭에 모든 설정이 상당히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이야기의 전개 또한 자극적인 부분 하나 없이 담백한 흐름을 취한다. 파국이 예상될 만한 사건을 배치하고서도 파국에 치닫지 않아,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란 속담을 새삼 실감케 한다 할까.


“그러니까 우리는 꼭 쓸모가 있어야 되는 거야”

이들에게 가족 내에서의 갈등은 외딴 곳에서 폐기되지 않고 쓸모 있는 존재로 살아남기 위한 사투의 과정이 낳은 것인 까닭이다. 타국의 땅에 놓인 고독한 이들에게 자신의 고통을, 상처를 내지를 수 있는 대상이란 가족 밖에 없으니, 모니카가 엄마 순자가 가져온, ‘고작’ 고춧가루와 멸치에 그동안 수없이 삼켜왔던 눈물부터 글썽이는 이유도 여기서 비롯된다.


영화 '미나리' 2,3


쓸모가 있기 위해 혹은 뿌리를 내리기 위해 제이콥은, 병아리 감별사로 일하던 캘리포니아를 떠나 한적한 곳, 아칸소에 가서 농장을 만든다. 그야말로 실제적인 정착의 과정을 밟게 된 것. 당연히 수월할 리 없다. 게다가 제이콥이 자리잡은 땅은 이미 이 전 주인의 차디찬 실패를 머금은 곳이어서, 지켜보는 모니카와 주변 이웃들, 그리고 관객 모두가 이 처연해서 사랑스러운 가족이 혹 동일한 결말을 맞이할까 노심초사하게 만든다.


“할머니가 본 사람들 중에 제일로 스트롱 보이야”

그래서 딸 모니카를 위해 한 평생 살던 한국을 떠나온 순자의 등장은, 왠지 모를 위안으로 다가온다. 제이콥이 농장을 일구어 가족에게 기름진 땅이 되려는 꿈을 꾸었다면 모니카는 태어날 때부터 심장이 아픈 아들 데이빗(앨런 킴)이 보통의 아이들처럼 될 수만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었다. 이런 딸에게 순자는, 애는 아프면서 크는 거라며 자신을 꼭 닮은 손자 데이빗을 그 나이 때의 건강함을 갖춘 여느 아이들과 다름 없이 대한다.


영화 '미나리' 4,5


뿐만 아니다. 순자는 한국에서 가져온 미나리 씨앗들을 최적의 자리를 찾아 심어 둔다. “미나리는 원더풀, 원더풀이란다. 아무데서나 잡초처럼 잘 자란다.” 순자에게 미나리는 아무데서나 잘 자라고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다 뽑아먹고 건강해질 수 있는 ‘원더풀’한, 존재 자체가 쓸모 있는 것으로, 타국에 심겨진 제이콥과 모니카, 앤과 데이빗이 왕왕 맞닥뜨릴 비참한 현실에 몸과 마음이 고단하고 허할 때 언제든 찾아 먹고 무탈하게 뿌리 내리길 바란다는, 순자의 염원이 담겨 있다 하겠다.


“알아서 잘 자라네, 할머니가 좋은 자리를 찾으셨어, 맛있겠다”

어느덧 풍성해진 미나리 앞에서 제이콥이 한 말이다. 심어 두기만 했지 아무도 돌보지 않았는데 알아서 잘 자라 있는 미나리의 모습은, 낯선 곳에서 좋은 땅을 찾아 아칸소까지 온 제이콥과 모니카 가족을 떠오르게 하기에 충분하다. 아등바등하다 설사 실패를 거듭할지라도 그들은 그러한 삶 자체만으로 쓸모 있는, ‘원더풀'한 존재로, 그들의 정착이 여러 우여곡절에도 결국, 단단한 뿌리를 내리란 것을 암시한다. 영화 '미나리'가 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낸 이유이리라.


영화 '미나리' 6


이전 14화 ‘눈이 부시게’ 나이 듦의 미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