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회사원으로 살아남는 법을 깨닫기 까지,
직장인은, 직장인일 뿐
영어를 마냥 좋아하던 나, 운 좋게도 좋아하는 영문학을 전공 삼아 4년을 즐겁게 배웠다. 2년 더 배우면 어떨까 치열하게 고민했지만 결국 석사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불투명한 미래' 때문이었다. 단지 하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만으로 학문의 길을 선택하기에는 그 이후의 그림이 그려지지 않았다.
보다 확실한 미래를 보장받기 위해 직장인의 삶을 선택했다. 선택만 하면, 그 이후에는 회사가 알아서 나를 어디론가 척척 데려다 놓을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3-4년쯤 지나고는 깨달았다. 대기업에 합격하고 내가 얻은 것은 그저 매월 나오는 월급과, 직장인이라는 타이틀ㅡ 그 이상 이하도 아니었다는 것을.
투명하고 분명한 내일로 이어지는 선택 같은 건 없다는 것을. 직장인을 선택한 이에게 확실한 비전까지 따라오는 것은 아니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국 미래는 내가 직접 만들어 나가는 것이고, 그렇기에 내가 내 삶의 주인일 때 비로소 얻을 수 있는 것이었다. 이걸 깨달은 지 얼마 안 됐다.
10년 차가 되니 비로소 보이는 것들
2015년에 입사하여 내년이면 10년을 꽉 채운다. 같은 회사에서만 10년을 다니며 영업과 마케팅에 각 5년씩 몸 담았다. 5번의 팀 이동, 7명의 팀장, 6명 상무를 거치는 동안 지독한 고비들을 넘기고 스스로 제법 탄탄해졌음을 느낀다.
5년 차까지는 바람 잘 날 없는 날들의 연속이었다. 과도한 업무량, 새벽 4시까지 이어지는 야근, 수직적인 꼰대 문화, 선배들의 혹독함도 영향이 있었지만 무엇보다 문제는 회사에 있는 나라는 사람의 수동적인 태도에 있었다. 내가 왜 회사에 존재하는지 알지 못한 채 일하던 나날이었던 것 같다. 더 큰 문제는 일을 굉장히 열심히 했다는 것이다. 목적과 목표가 없는 채로 열심히만 달리다 보니 나는 늘 화가 나 있었고, 의지할 곳 하나 없었으며, 회사는 생각할수록 너무 미운 존재였다.
그런 회사가 내게 즐거운 일터가 된 건, 매일 조금씩 배우고 하루하루 성장함을 느끼게 된 건, 단순 밥벌이 수단으로써의 생존 정글이 아니라 나를 찾고 남과 공존하는 법을 익혀 나가는 사회적 공간이 된 건, 몸소 배운 것을 누군가에게라도 나누고 싶다는 여유까지 가지게 된 건, 스스로 발 벗고 나서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5년 차에, 일 하고 싶은 브랜드/부서로 지원해 이동했다. 일터에서 주인이 되기 위한 스스로의 몸부림의 시작은 이때를 기점으로 한다. 하고 싶은 것을 고민하고ㅡ 직접 부딪혀보고ㅡ 해보고ㅡ 깨닫고ㅡ 다시 고민하고ㅡ 행동하고를 반복했다. 그러면서 나는 점점, 회사원 타이틀보다 더 중요한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을 찾기 시작한 것 같다.
직장인도 행복할 수 있도록
10년 차가 되니 이제야 보이는 것들. 요리조리 치열하게 살아내며 겪은 시행착오들을 전부 다 나누고 싶다. 조금도 아끼지 않고 남김없이 나누어, 회사원을 선택한 당신에게 날개를 달아주고 싶다.
오늘보다 내일 더 행복한 회사원이 되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