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이 Aug 08. 2020

서른의 독립 예행

서울을 떠나면서

나는 서울 토박이다.


스무 살까지는 활동 반경이 집-학교-학원이어서 내가 서울 사람이라는 걸 자각할 기회가 없었다. 처음으로 지역 친구들을 만난 건 재수를 하면서부터였다. 전주에서 온 친구, 대구에서 온 친구, 구미에서 온 친구 등 서울의 한 복판에서 전국 각지의 사람을 만나며 그들의 사투리만큼 다양한 문화를 느꼈다.


대학생이 되어서도 다양한 출신의 지역 친구들을 만났는데, 나는 그때 그들이 자취생활을 함으로써(불가피한 선택이었겠지만)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경험을 부러워했다. 한 때는 혼자 사는 느낌이 어떤 건지 알고 싶어서 학교 근처에서 자취하는 친구가 집에 내려간 삼일 동안 친구 집에 머무르기를 자청했는데, 멀리서 봤을 땐 아늑해 보였던 원룸이 생활하기엔 불편하다는 걸 온몸으로 느끼고 독립에 대한 로망을 싹 지워버렸다.


나의 친한 지역 친구들은 스무 살 때 독립했던 게 당연한 거였어서 내가 왜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는지 의아해하지만, 생활 반경이 서울인 서울 사람들은 결혼이 아니라면 독립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아, 생각해보니 이건 활동반경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꼭 서울 사람이 아니라도 모두에게 해당되는 얘기인 것 같기도.)


아무튼, 나는 내가 나고 자란 서울에서 벗어날 일들이 살면서 한 번도 없었다. 그런데 내 나이가 어느덧 서른이다. 평소 나이에 얽매이지 말자는 주의이나, 이제는 가족과 떨어지게 될 미래를 자주 상상하게 된다.


엄마, 아빠가 없는 내 미래는 어떨까?


내 남자 친구는 독립해 평택에서 살고 있다. 그동안은 강남역 근처에서 데이트를 하곤 했는데, 남자 친구가 평택에 살고부터는 한 달/두 달에 한 번은 평택에 가고 있다. SRT를 타고 평택으로 떠날 때마다 나는 알 수 없는 기분을 느낀다. 나는 특히 엄마한테 미안함을 느끼는데 정확히 이게 무슨 감정인지 모르겠다. 비유하자면 철새 무리에서 엄마 철새를 졸졸 따라다니던 아기 철새가 제 짝을 찾아서 엄마의 경로를 이탈하는 느낌이다.


스무 살부터 혼자 살았던 남자 친구는 자신만의 생활 법칙이 있다. 우리 집에서는 문제 되지 않았던 행동들이 그에게는 꽤 거슬리는 행동이 된다.


"화장실에서 나올 때는 발에 물기를 닦고 나와야지."

"수건 둘 때는 세로로 말고 가로로 둬야 해"


우리 집에서는 내가 설거지만 해도 착한 딸이 되었는데 평택에서는 나의 집안일 보탬에 잔소리가 한 무더기로 날아온다. 한 번은 내가 맛있는 요리를 해주겠다고 남자 친구가 좋아하는 카레를 만들었는데, 재료를 다듬는 데 생긴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 그대로 버렸다고 요리하는 내내 잔소리를 퍼부었다.


"저렇게 하면 싱크대가 막혀요~~"

"...."


잔소리가 듣기 싫어서 무시를 하니 아예 내 옆에 서서 도마에 두고 썰어라 등 코치를 하길래 이제부터 나는 요리를 하지 않겠다 선언하니 꽤 반기는 눈치였다.



확실히 나는 서울에서 부모님의 울타리 안에 있었다.



내 방 전구가 나가면 아빠가 대신 갈아 주었고, 계절이 바뀔 때마다 엄마는 나의 잠자리를 걱정해 주었다. 그렇게 당연한 챙김을 받았는데, 이제는 평택에서 공동 책임자가 되어 새로운 규칙들을 배운다. 나는 그게 꽤 낯설어서 마치 우리가 소꿉놀이를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한 달에 한 번 정도 있는 평택행인데도 가족이 많이 생각난다. 그리고 생각보다 엄마는 아무렇지 않아 한다. 역시 나는 아직 엄마 품이 좋은 어린 새인가.

매거진의 이전글 공대생의 신박한 고백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