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길(회계)은 로마(현금흐름표)로 통한다.
경영성과와 재무상태표는 현금흐름표로 통한다!
손익계산서는 회사의 경영성과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을까?
정답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다.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라는 회계적 가정에 기초해 작성된다.
예를 들어 “판매”라는 핵심 사건이 발생했고 그 금액의 합리적 추정이 가능하다면 대금의 회수 여부와는 관계없이 “매출”이라는 수익을 인식하게 된다.
또 손익계산서는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라는 규칙에 의해 작성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유형자산을 구입한 경우, 그 지출은 이미 이루어졌지만 비용은 사용기간(“내용연수”라고 합니다.) 동안 나누어서 인식하게 된다. 유형자산으로 인한 benefit은 사용하는 동안 계속해서 얻게 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비용 역시 같은 기간 동안 나눠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감가상각”한다고 한다.)
회사는 임직원의 근로제공으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등 benefit을 얻는다. 만약 인건비를 지급하지 않았더라도 근로 제공이라는 사건이 발생한 때 인건비라는 비용을 인식한다.
이런 처리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기간별로 정확히 측정(기간귀속의 적정성)한다는 측면에서는 이론적으로 매우 타당하다. 아주 멋지기까지 하죠.
하지만, 실제 Cash Flow와는 괴리가 생기게 된다.
손익계산서만으로는 중요한 관심사인 현금흐름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에는 부족한 거죠. 실제로 회사의 가치를 측정할 때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이용할 정도로 현금흐름은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주변을 보면 어떤 기업은 매출이 쭉쭉 늘고 있고 돈 잘 벌어서 좋겠다고 주변의 부러움을 사는데 정작 사업주는 여기저기 자금을 빌리러 다니면서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왜 그럴까?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현금흐름표를 살펴 보면 된다.
현금흐름표에서는 현금흐름을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회사의 지속 가능한 현금창출능력을 표시하는 현금영업이익으로서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히 중요한 숫자이다.
투자활동/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결과가 어떻게 배분 또는 보완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사업을 하다 보면 매출증가에 따라 회수가 늦어지는 매출채권과 쌓이는 재고자산으로 자금이 묶이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회계적으로는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이 증가할수록 현금이 묶이게 된다”라고 표현할 수 있고 시장지배력이 없을수록 더 심해지기도 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손익계산서 상의 당기순이익에 현금유출이 없는 감가상각비를 더하고 운전자본의 증가분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매출은 늘어서 손익계산서로 볼 때 당기순이익이 나는 상황이지만 운전자본이 과도한 수준으로 증가했다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오히려 (-)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자금부족이 발생할 때 자금차입을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쩌면 이제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자산)에 대한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점이 된 것일 수도 있다.
여러 재무비율 중
회전율(=매출액÷자산)
채권회수기간(=365÷매출액or매출채권)
재고자산보유기간(=365÷매출원가or재고자산)
등을 산출, 검토한 후 장기채권과 진부화재고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자금차입보다 더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있다.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에 이어 현금흐름표까지 살펴 봤군요.
결산 시즌에 맞춘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한 연재는 여기까지이다. 이제 내 사업의 재무제표를 받아 보신다면 회사의 전체적인 상황을 검토할 수 있겠죠^^
'새로운 회계'를 꿈꾸며,
1.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란?
4. 이익이 났다는데 왜 돈이 없지? 현금흐름표
8. 새로운 회계.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