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85평 '도심형 단독주택' 대전시 전원주택 프로젝트

살고 싶은 전원주택 시리즈 #36 - 홈트리오

by 이동혁 건축가 Oct 25. 2023
아래로

제목 : 85평 '도심형 단독주택 : DJ85' 대전시 전원주택 프로젝트

소제목 : 살고 싶은 전원주택 시리즈 #36 - 홈트리오


*구독 버튼은 필수인 것 다들 아시죠^^

브런치 글 이미지 1

SPEC


공법 : 경량목구조

설계, 시공 : 홈트리오(주) / 상담문의 : 1522-4279

ARTIST : 건축가 정다운, 임성재, 이동혁

홈페이지 : http://hometrio.kr/

지붕마감재 : 아스팔트슁글 / 외벽 마감재 : 스타코플렉스 / 포인트자재 : 파벽돌 

실내벽마감재 : 실크벽지 / 실내바닥마감재 : 이건 강마루

창호재 : 이건 알루미늄 3중 시스템창호

건축면적 : 282.35㎡(지하주차장 : 82.24㎡, 1층 : 95.52㎡, 2층 : 77.12㎡, 다락 : 27.47㎡)

예상 총 건축비 : 637,500,000원(부가세 포함, 산재보험료 포함 / 설계비, 인허가비, 구조계산 설계비 별도)

설계비 : 21,250,000원(부가세 포함) / 인허가비 : 8,500,000원(부가세 포함)

구조계산 설계비 : 8,500,000원(부가세 포함) / 인테리어 설계비 : 12,750,000원(부가세 포함)

*건축비 외 부대비용 : 대지구입비, 가구(싱크대, 신발장, 붙박이장), 기반시설 인입(수도, 전기, 가스 등), 토목공사, 조경비 등

*건축비 기준은 23년 10월 25일 기준 금액입니다.


STORY


찬 바람 불어올 때 그 따스함을 느끼게 해주는 곳.


고즈넉한 풍경 속 아늑하게 자리 잡은 이번 주택은 지하주차장을 포함하여 85평이라는 넉넉한 공간으로 설계된 도심형 단독주택입니다.


특별히 디자인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빛날 수 있는 입면을 만들어 내었으며, 단열과 구조는 튼튼하게 잡아주되 비워냄의 미학을 느낄 수 있는 외장재 선택으로 깔끔하면서 무게감이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집으로 설계를 완성시켰습니다.


입면을 디자인할 때 전면부의 느낌을 모던함과 클래식함이 공존하는 디자인으로 설계했습니다. 목조주택이기 때문에 옥상 사용은 불가, 물 빠짐이 확실한 박공지붕과 모임지붕을 섞어 얹혀주었습니다. 지붕 처마를 확실히 주어 외벽의 오염을 1차 차단하는 디자인을 만든 후, 볼륨감이 아닌 단조로운 면을 디자인하여 전면부의 느낌을 심플하면서 모던한 느낌이 들 수 있게 하였습니다. 평면구성 상 어느 부분은 들어가고 나오고 꺾이는 형태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이 부분들을 마당이 있는 전면부가 아니라 진입로가 있는 후면부로 배치하여 전면은 일자의 깨끗한 면을 만들어 내어 느낌을 잡아주고, 후면부에서는 오히려 볼륨감이 느껴지는 형태로 입면을 완성시켰습니다.


화이트 톤 스타코플렉스 베이스에 파벽돌을 포인트로 배치하였으며, 단단함 느낌과 청초한 느낌을 공존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습니다. 후면부에는 포인트를 거의 안 붙였습니다. 기단부에만 파벽돌을 적용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머지 면은 화이트 톤 스타코플렉스 마감을 하여 집이 어둡지 않고 밝은 느낌으로 느껴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평면의 시작이 지하주차공간부터 입니다. 지하에서도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현관을 만들어 주었으며, 1층에서도 별도 진입이 가능하도록 지하와 지상 1층에 두 개의 현관을 설계해 놓았습니다.


진입 부분이 후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현관이 정면이 아닌 뒷면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층별 공간 분리를 위해 바로 계단실을 배치하여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안방, 거실, 주방의 순으로 모든 실이 남향의 햇볕을 받을 수 있는 공간 구성을 하였습니다.


주방이 북쪽으로 무조건 가야 한다는 것은 옛날이야기입니다. 공간의 중요도 순위에서 주방이 1순위가 되면서 앞마당의 연계가 가능한 위치로 주방이 우선 배치됩니다.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가급적 남향의 햇볕을 받고 앞마당으로 동선 연계가 가능한 위치로 배치해 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전면부 데크는 가급적 넓게 구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너무 이동 공간만을 위해 좁게 구성해 놓으면 말 그대로 이동을 위한 공간 그 이상은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돈은 돈대로 들이고 활용이 안 되는 형태가 되고 마는데요. 거실 앞부분이나 주방 앞부분에 확실히 넓은 폭의 데크공간을 구성해 놓아야 BBQ 파티 등의 다목적 활용이 가능합니다.


2층은 메인 방 두 개를 구성하되 그 공간과 연결되는 드레스룸, 창고, 화장실을 유기적으로 설계해서 배치해 놓았습니다. 너무 방만 배치하는 것이 아닌 정말로 필요한 실을 중심으로 "건축주님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을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락은 말 그대로 지붕 속에 들어가는 작은 공간입니다. 층고의 경우에도 가중평균 1.8m이기 때문에 매우 좁게 느껴집니다. 취미 공간 및 아이들의 놀이방 정도로 적합한 공간이며, 어른이 생활하기에는 답답할 수 있는 공간이니 꼭 이 점을 아시고 다락을 설계해야 합니다. 간혹 TV나 잡지에서 넓게 구성된 다락을 보시고 그렇게 해 달라고 하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설명에 다락이라고 표시를 해 놓았을 뿐 그 공간은 그냥 2층 공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건축법적으로 다락은 말 그대로 창고 수준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혼동이 없으셨으면 합니다.


건축면적 85평이라는 넓은 면적으로 설계된 이번 주택. 나만의 집을 꿈꾸시는 분들이라면 매력적인 외관과 알찬 평면이 매우 마음에 쏙 드는 집일 거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옷을 입을 때 각자가 다 다른 스타일과 취향으로 옷을 입듯 집도 취향에 따라 그 분위기와 디자인이 바뀌게 됩니다. 제가 설계를 하면서 자주 하는 말이 있는데요.

"남의 시선 너무 생각하지 마세요."

집은 과시의 대상이 아니죠. 그리고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집을 짓는 것이 아니죠. 맞아요. 이 집은 내 집이지 남의 집이 아니에요. 


설계를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남의 시선을 너무 느끼게 되는 시점이 있는데요. 남의 말 듣지 마세요. 건축주님이 원래 짓고 싶어 했던 그 집을 설계하고 지으세요. 그것이 정답이랍니다.


나와 우리 가족만을 위해 지은 집. 이번 완공사례가 여러분들 집을 지을 때 도움이 꼭 되길 바라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Floor Plan


지하1층 평면도지하1층 평면도
1층 평면도1층 평면도
2층 평면도2층 평면도


다락 평면도다락 평면도

이동혁 건축가 : 집을 지을 때 남의눈을 너무 의식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하지 않아도 될 포인트를 넣는다던가, 보이지도 않는 면에 많은 비용을 써서 디자인하시려고 하시는 분들. 건축예산이 너무 남아서 더 써야 하는 경우리 아니라면 말리고 싶어요. 포인트라고 하는 것은 비워진 면에 일부 넣어야 그것이 포인트로 보입니다. 다 붙이면 그건 포인트가 아니죠. 그리고 우리 집은 나에게 있어 완벽하면 그 집이 최고의 집이 랍니다. 남의 시선 때문에 더 디자인하고 평수를 늘리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에요. 그러지 않아도 돼요. 나에게 맞춘 집. 그리고 내 마음에만 드는 집. 그런 집 지어도 충분하답니다.

정다운 건축가 : 지하공간에는 오픈되어있는 공간이라 하더라도 땅 속의 습이 벽에 스며들 수밖에 없습니다. 이중 벽체 공법 등 다양한 보완 방법이 나오기는 했지만 말 그대로 보완책일 뿐입니다. 곰팡이는 평생 안고 가야 할 부분이에요. 어쩔 수 없어요. 그나마 주 생활공간이 아니고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그나마 괜찮은 편이긴 하지만 습은 없앨 수 없으니 그냥 맘 편안히 지내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지하공간의 곰팡이와 습 때문에 사시면서 계속 스트레스받으시는 분들이 계신데, 지하공간에 실을 넣는다는 것 자체부터 이 부분을 알고 시공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주차장은 그나마 오케이, 하지만 주 생활공간은 절대 반대. 저희들은 이렇게 생각한답니다.

임성재 건축가 : 이 집을 설계하면서 전원주택이 가질 수 있는 매력포인트를 거의 다 넣은 것 같아요. 예쁜 디자인에 넓은 통창, 그리고 높은 층고. 마지막으로 구성진 요소와 넓은 공용공간 배치. 아 하나 더 있네요. 숨겨진 다락 공간까지. 지하부터 다락까지 매력을 듬뿍 안고 태어난 이번 주택. 저희들도 이렇게 하나 짓고 살고 싶은 마음이네요.

(좌측부터) 이동혁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정다운 건축가(좌측부터) 이동혁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정다운 건축가

<외관>

브런치 글 이미지 7
브런치 글 이미지 8
브런치 글 이미지 9
브런치 글 이미지 10
브런치 글 이미지 11
브런치 글 이미지 12
브런치 글 이미지 13
브런치 글 이미지 14
브런치 글 이미지 15
브런치 글 이미지 16
브런치 글 이미지 17

<현관>

브런치 글 이미지 18
브런치 글 이미지 19
브런치 글 이미지 20
브런치 글 이미지 21
브런치 글 이미지 22

<1층 거실>

브런치 글 이미지 23
브런치 글 이미지 24
브런치 글 이미지 25
브런치 글 이미지 26
브런치 글 이미지 27
브런치 글 이미지 28
브런치 글 이미지 29
브런치 글 이미지 30
브런치 글 이미지 31
브런치 글 이미지 32
브런치 글 이미지 33
브런치 글 이미지 34

<1층 화장실>

브런치 글 이미지 35
브런치 글 이미지 36
브런치 글 이미지 37
브런치 글 이미지 38
브런치 글 이미지 39
브런치 글 이미지 40

<주방>

브런치 글 이미지 41
브런치 글 이미지 42
브런치 글 이미지 43
브런치 글 이미지 44
브런치 글 이미지 45
브런치 글 이미지 46
브런치 글 이미지 47

<다용도실>

브런치 글 이미지 48
브런치 글 이미지 49
브런치 글 이미지 50
브런치 글 이미지 51

<안방>

브런치 글 이미지 52
브런치 글 이미지 53
브런치 글 이미지 54
브런치 글 이미지 55
브런치 글 이미지 56
브런치 글 이미지 57
브런치 글 이미지 58

<안방 화장실>

브런치 글 이미지 59
브런치 글 이미지 60
브런치 글 이미지 61
브런치 글 이미지 62

<안방 드레스룸>

브런치 글 이미지 63
브런치 글 이미지 64
브런치 글 이미지 65

<1층 계단>

브런치 글 이미지 66
브런치 글 이미지 67
브런치 글 이미지 68
브런치 글 이미지 69
브런치 글 이미지 70
브런치 글 이미지 71

<2층 다용도실>

브런치 글 이미지 72
브런치 글 이미지 73

<2층 복도>

브런치 글 이미지 74
브런치 글 이미지 75
브런치 글 이미지 76
브런치 글 이미지 77
브런치 글 이미지 78
브런치 글 이미지 79
브런치 글 이미지 80
브런치 글 이미지 81
브런치 글 이미지 82

<2층 안방>

브런치 글 이미지 83
브런치 글 이미지 84
브런치 글 이미지 85
브런치 글 이미지 86

<2층 안방 드레스룸>

브런치 글 이미지 87
브런치 글 이미지 88
브런치 글 이미지 89

<2층 안방 화장실>

브런치 글 이미지 90
브런치 글 이미지 91
브런치 글 이미지 92
브런치 글 이미지 93
브런치 글 이미지 94

<취미실>

브런치 글 이미지 95
브런치 글 이미지 96
브런치 글 이미지 97
브런치 글 이미지 98
브런치 글 이미지 99
브런치 글 이미지 100
브런치 글 이미지 101
브런치 글 이미지 102

<2층 베란다>

브런치 글 이미지 103
브런치 글 이미지 104

<2층 계단>

브런치 글 이미지 105
브런치 글 이미지 106
브런치 글 이미지 107
브런치 글 이미지 108

<다락>

브런치 글 이미지 109
브런치 글 이미지 110
브런치 글 이미지 111
브런치 글 이미지 112
브런치 글 이미지 113
브런치 글 이미지 114
브런치 글 이미지 115

<지하주차장>

브런치 글 이미지 116
브런치 글 이미지 117

<지하 현관>

브런치 글 이미지 118
브런치 글 이미지 119
브런치 글 이미지 120
브런치 글 이미지 121

<지하 계단실>

브런치 글 이미지 122
브런치 글 이미지 123
브런치 글 이미지 124
브런치 글 이미지 125



브런치 글 이미지 126
(좌측부터) 홈트리오(주) 정다운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좌측부터) 홈트리오(주) 정다운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집이라는 본질적인 가치에 집중하다.]

Architecture  Team : 홈트리오(주)

대표번호 : 1522-4279

홈페이지 : http://hometrio.kr/ 

캐드도면 다운로드 :  https://www.happycampus.com/store/zzzxqvxzvzy/saleList/

네이버 프리미엄 구독 : https://contents.premium.naver.com/hometrio/home

브런치 글 이미지 128
브런치 글 이미지 129
브런치 글 이미지 130


매거진의 이전글 50평 '꽃차 한잔의 여운' 서산시 전원주택 프로젝트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