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마 Sima Feb 09. 2023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

20년 만에 다시 만난 바이올린

2023년 새해가 밝은 기념으로 바이올린을 다시 배우기 시작했다. 처음 바이올린을 배웠던 게 2002년 겨울이었으니, 무려 20년 만에 다시 바이올린을 잡게 된 셈이다.


학창 시절 나는 국어, 영어, 수학 같은 주요 과목부터 음악, 미술, 체육 같은 예체능까지 여러 교육을 받았는데, 그중 바이올린을 가장 사랑했다. 가슴에 손을 얹고 돌이켜보면 바이올린 그 자체보다는 바이올린을 켜는 내 모습에 심취했던 것도 같다. 예나 지금이나 나는 '있어빌리티'가 중요한 사람이었으니까. 피아노처럼 또래 집단 사이에서 흔하지도 않으면서 뭐랄까 교양 있어 보이는 바이올린이 나는 좋았다.


바이올린 사랑에 불을 지폈던 건 학원 선생님의 영향이 컸다. 바이올린 학원 선생님은 어린 시절 나를 어여삐 여긴 어른 TOP 10 안에 드는 인물이었다. 그래서 학원에 가는 일이 더 즐거웠던 것 같다. 피아노 학원은 가고 싶지 않아 여러 잔꾀를 부렸던 것에 비하면, 그 시절의 나는 확실히 바이올린을 좋아했다. 


또 당시 내가 바이올린에 재능이 있다고도 생각했었다. 나는 학원에서 하는 레슨, 연습 외에 집에서 따로 연습을 한 적이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선생님께 연습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들킨 적이 없다. 선생님이 알면서 모른 척을 하신 건지 정말 몰랐던 건지는 모르겠다. 전자라면 선생님은 나를 잘 영업하신 것이고, 후자라면 연습을 더 열심히 했다면 난 지금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 pixabay


20년이나 지났으니 당연히 연주하는 방법을 잊었을 거라 생각했는데 몸의 기억은 생각보다 선명했다. 당연히 악기를 다루지 않은 시간이 길었던 만큼 서툴렀지만 곡 하나를 완주하기에 특별한 어려움은 없었다 (새삼 느끼는 조기교육의 중요성). 덕분에 교재 진도도 착착 나가게 되어서 배우는 즐거움까지 있는 요즘이다.


바이올린을 다시 하면서 가장 좋은 점은 악기를 다루는 그 순간만큼은 오롯이 곡을 만들어 나가는 데 집중하게 된다는 거다. 다음에 올 음계와 박자를 눈으로 인풋(input)하면 운지를 하는 왼손과 활을 켜는 오른손에 아웃풋(output)하는 과정만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러다 보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연주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몰입하게 된다. 일상을 늘 함께하는 여러 고민들은 사라진다. 한동안 이런 즐거움을 모르고 살았다는 게 아쉬울 정도다.


또 다른 즐거움은 성장을 체감하는 데 있다. 연습을 할수록 미세하게나마 연주의 질이 높아진다. 그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살면서 느끼는 점 중 하나는, 성취감을 느낄 만한 장치를 삶의 여러 곳에 설계해 두는 것이 현명하다는 거다. 그런 의미에서 완전히 몰입할 수 있으면서 또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취미 하나는 현대인의 삶에 필수가 아닐까 싶다.


바이올린을 언제까지 계속하게 될지는 모르겠다. 퇴근 후에 고정된 스케줄이 있다는 게 조금 부담스럽게 느껴지기는 하지만 이 고비만 넘긴다면 계속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