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하진 Mar 07. 2024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류이치 사카모토 지음, 황국영 옮김, 위즈덤하우스

모노파와 타르콥스키

222-228p.


마감 기한도 따로 정해두지 않고, 음악에 대해 지금까지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일단 전부 배제한 후, 새하얀 캔버스를 마주하는 자세로 곡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

1970년 전후에 미술계에 화려하게 등장한 이우환 선생님과 스가 기시오 씨 등은 '모노파'(もの派)라는 총칭으로 불렸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꾀바른 상상력 따위는 던져버리고 '모노'(もの) 그러니까 물체 그 자체를 들여다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새로운 앨범을 위해 작업해온 바흐의 편곡들은 모두 버리고 무심의 상태로 돌아간 순간, 문득 커다란 캔버스에 굵은 붓으로 짧은 선 하나를 그어낸 이우환 선생님의 페인팅 작품이 머릿속에 스쳤습니다.

...

이우환 선생님의 작품에서 촉발하여, 저의 새로운 앨범에서는 모든 사물에서 의미를 찾아내려는 뇌의 습성을 부정하고자 했습니다.

...

후쿠오카 씨의 말에 따르면 밤하늘의 별들을 마음대로 이어 붙이는 인간의 뇌의 특성, 즉 이성을 '로고스'라 칭하며 이에 대비되는 별 본래의 실상을 '피시스'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피직스(물리학)의 어원으로 '자연 그 자체'를 뜻하는 말이죠. 언제부터인가 후쿠오카 씨와 시간을 보낼 때면 항상 우리 인간은 어떻게 하면 로고스를 뛰어넘어 피시스에 근접할 수 있을지에 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정말이지 집요할 정도로요.

보통의 음악은 소리와 소리의 관계를 치밀하게 구축하는 방식으로 만들어갑니다. 하지만 이번 새 앨범을 만들 때 만큼은 그와 정반대의 방법론에 도전해보고 싶었습니다.

...

어느 단계에서인가 앨범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중심 콘셉트가 떠올랐고, 그것 또한 창작의 뒷받침이 되었습니다. 바로 '가공의 타르콥스키 영화 사운드트랙'이라는 콘셉트입니다. 타르콥스키는 <시간의 각인>이라는 책에서, 영화에는 원래 음악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마이크를 넣어 촬영하는 영상 자체에 이미 소리가 들어가 있으니, 의도적으로 나중에 삽입하지 않아도 이미 영화 안에 음악이 넘쳐 흐르는 것 아니냐면서요.

...

또한 <노스탤지아>에서의 가장 큰 음악은 물이었습니다. 매우 주의 깊게 설계된 물소리가 곧 영화음악인 것이죠.


<async>

228p.


모든 것이 동기화되어가는 시대의 흐름에 의도적으로 등을 돌려 문자 그대로 '비동기'(同期)로 향하고자 하는 마음을 제목에 담았습니다. 실제로 이 앨범 속 몇 곡은 비동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한밤중의 꽃향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