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관은 여러분의 본질을 알고 싶습니다.
첫째, 구제적인 행동과 수치화한 결과로 면접관의 시선을 나에게로 돌려야 합니다.
둘째, 적용점과 관련해서는 내가 설명한 경험과 지금 회사 현직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주제를 연결해서 면접 질문에 답한다면 면접관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질문을 많이 받았다고 좋아할 것이 아니라, 대답이 깊어질 수 있도록 피드백을 하며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또 다른 취업소문은 '압박 면접'입니다. 면접관이 압박 질문을 해서 탈락했다는 지원자가 많습니다. 물론 면접관이 압박 면접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면접관은 관심이 많아서 지원자에게 질문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지원자가 질문에 답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 꼬리 질문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지원자는 압박 면접이라 생각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나의 면접 질문에 불필요한 꼬리 질문이 이어진다면 지원자는 자연스레 면접관에게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집니다. 면접관은 한 명의 지원자를 붙잡고 몇 시간 동안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면접에서는 핵심 의사결정 포인트만 정확히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지원자는 정해진 시간 동안 1) 내가 무슨 역량이 있으며 2) 왜 필요한 인재인지 3) 구체적인 그림을 그려주어야 합니다.
면접관이 질문 한다면 결론을 먼저 두괄식으로 말한 뒤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을 해야합니다. 좀 더 풀어쓰면 ‘두괄식(요점=YES OR NO) + 30초 내 설명(논리적인 숫자+결과물 중심 이야기)’ 입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면접관이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강점이 무엇인가요?" 라고 물었습니다.
지원자 A : 해당 직무에 도움이 될만한 인턴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턴을 하면서 긍정적인 마인드와 책임감으로 누구보다 열심히 일 할 수 있었습니다. (X)
지원자 B : 해당 직무에서 저의 강점은 ‘책임감’ 입니다. 이 책임감으로 인턴 때 채용을 성공적으로 끝낼 수 있었습니다. (○)
지원자 A와 B는 같은 내용을 말하더라도, 면접관 입장에서는 '지원자B'의 대화를 통해 구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한 문장을 말하더라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해야 면접관은 지원자가 말한 결과를 토대로 질문을 진행할지 말지 결정합니다.
면접에서 기-승-전-결을 모두 갖춰 이야기하면 상대방은 '승' 때부터 이미 딴 생각을 합니다. 결론 전의 답변은 모두 잊어버립니다. 그래서 결론부터 두괄식으로 시작해서 30초 안에 하고 싶은 답변을 모두 끝내야 합니다. 나는 1)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는가? 2) 결론이 근거를 가지고 있는가? 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부터는 면접관이 묻는 말에 먼저 대답해야합니다. 그리고 대답한 내용에 대해 천천히 설명하면 됩니다.
기업의 이미지로 압박면접은 없어지는 추세지만 지원자는 어떤 형태로는 압박이 들어올 수 있다는 가정하에 면접 준비를 해야 합니다. 면접관은 왜 압박 형태의 질문을 하며 이것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면접관은 여러분의 본질을 알고 싶습니다.
‘속임수의 심리학’ 책에는 “만약 상대가 평소와 다르다고 느꼈다면,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바로 ‘끊임없이 질문하기’이다. 이때는 상대의 답변이 일관적인지, 모호하진 않는지 등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면접관은 자기소개서, 인적성 또는 면접의 태도에서 일관성이 없다고 느껴지면 압박 질문을 통해 지원자의 본연의 모습을 알고 싶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압박질문을 받기 전, 채용 과정에서 나 자신을 정확히 분석해서 강점과 일관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점과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면 압박면접이라는 상황에 노출되어도 위기 대처 능력이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길을 가다가 돌이 나타나면 약자는 그것을 걸림돌이라 말하고
강자는 그것을 디딤돌이라고 말한다.』
-토마스 칼라일-
더 구체적인 방법과 예시를 알고 싶다면
각 온라인 도서 플랫폼에서 "2번째 신입 도전을 위한 취업 안내서"를 검색해주세요.
(밀리의 서재)
(교보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