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유신 Feb 12. 2023

[TRIZ] 76가지 표준해

76 Standards

물질-장 모델에서 해결안을 찾기 위해 76가지 표준해를 활용한다.

76가지 표준해는 5가지 Class로 나눠진다.

일단 표준해에 대하여 한번 읽어보자.

설명은 다음 시간에 추가하려고 한다.




표준해 1-1-1: 물질-장 모델의 구축

만일 주어진 물체(S1)가 원하는 대로 바꾸기 어렵고 새로운 물질이나 장을 추가할 수 있으면, 이 문제는 새로운 물체(S2)와 새로운 장(F)을 도입하여 물질-장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다음의 그림과 같이 해결될 수 있다.


표준해 1-1-2: 내부 결합 물질-장 모델

만일 주어진 물체(S1)가 원하는 대로 바꾸기 어렵고 새로운 물질이나 장을 추가할 수 있으면, 이 문제는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내부 결합 물질-장 모델로 바꿈으로써 해결된다.

즉, 기존의 물질(S1 또는 S2)에 첨가물질(S3)을 도입함으로써 제어성을 높이거나 또는 원하는 특성을 물질-장 모델에게 부가할 수 있다.


표준해 1-1-3.  외부 결합 물질-장 모델

만일 물질-장 모델을 원하는 대로 변경하지 못하고 기존 물질에 첨가 물질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이 문제는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외부 결합 물질-장 모델로 바꿈으로써 해결된다.

즉, 기존의 물질(S1 또는 S2)에 첨가물질(S3)을 외부에 붙임으로써 제어성을 높이거나 또는 원하는 특성을 물질-장 모델에게 부가할 수 있다.


표준해 1-1-4.  외부 환경 물질-장 모델

만일 물질-장 모델을 원하는 대로 변경하지 못하고 기존 물질에 첨가물질을 도입하거나 첨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면, 이 문제는 외부환경(Se)을 첨가제로 활용하여 물질-장 모델을 형성함으로써 해결된다.


표준해 1-1-5.  환경 첨가물 물질-장 모델

만일 외부환경이 물질-장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물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러한 물질은 외부 환경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거나 환경에 첨가물질을 도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표준해 1-1-6.  Minimum Mode

만일 Minimum Mode의 작용이 요구되지만 문제의 조건에 의해 달성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면, Maximum Mode를 작용시키고, 이때 초과되는 작용은 제거시켜야 한다. 

초과되는 장은 물질에 의해 제거되고, 초과되는 물질은 장에 의해 제거된다.


표준해 1-1-7.  Maximum Mode

만일 어떠한 물질에 Maximum Mode의 작용이 요구되지만 어떠한 이유에 의해 불가능하다면, Maximum Mode를 유지하면서 처음 물질(S1)과 연결된 또 다른 물질(S2)에 작용시킨다.


표준해 1-1-8.  Selective Maximum Mode

만일 선택적으로 Maximum Mode를 작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즉, 선택된 영역에는 Maximum Mode, 다른 영역에는 Minimum Mode), 장의 모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표준해 1-1-8-1. Maximum Field

Maximum Mode를 적용하며 최소작용이 요구되는 장소에는 보호물질(S2)을 도입한다.


표준해 1-1-8-2. Minimum Field

장의 모드는 최소모드를 적용하며, 최대작용이 요구되는 장소에는 국부적인 장(Local Field)을 생성시킬 수 있는 물질(S2)을 도입한다. 


표준해 1-2-1.  제3의 물질(S3) 도입을 통한 유해작용 제거

만일 물질-장 모델의 두 물질사이에 유익, 유해작용이 있고 두 물질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면, 이 문제는 제3의 물질을 두 물질사이에 도입하여 해결한다. 이때 제3의 물질비용은 거의 들지 않아야 한다.


표준해 1-2-2.  변형된 S1 또는 S2를 도입하여 유해작용 제거

만일 물질-장 모델의 두 물질사이에 유익, 유해작용이 있고 두 물질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없지만 외부의 물질을 활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면, 이 문제는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두 물질의 수정형태로 제3의 물질을 생성하여 두 물질사이에 도입하여 해결한다.


표준해 1-2-3.  유해작용 Field의 제거

만일 어떤 장에서 발생한 유해작용을 제거해야 한다면, 이 문제는 자기 자신에게로 유해작용을 빼 돌릴 수 있는 제2의 물질을 도입하여 해결한다.


표준해 1-2-4.  새로운 장(Field)을 이용한 유해작용 상충

만일 물질-장 모델의 두 물질사이에 유익, 유해작용이 있고 두 물질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유지해야 하면, 이 문제는 유익작용은 기존 장을 이용하여 유지하고 유해작용은 새로운 장으로 없애는 이중 물질-장 모델로 전이하여 해결한다. 


표준해 1-2-5.  자기장 영향 소거

만일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질-장 모델을 분해할 필요가 있으면, 이 문제는 물리적 효과인 물질의 강자성 특성변환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표준해 2-1-1.  연쇄 물질-장 모델로의 전이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해야 한다면, 이 문제는 물질-장 모델을 구성하는 일부분을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물질-장 모델로 변경하고 연쇄 물질-장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표준해 2-1-2.  이중 물질-장 모델로의 전이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해야 하고 물질-장 모델 요소를 대체할 수 없으면, 이 문제는 제어가 용이한 제2의 장(Field)을 도입하여 이중 물질-장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표준해 2-2-1.  쉽게 조절할 수 있는 Field로의 전이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해야 한다면, 제어되지 않는(혹은 제어가 잘 안 되는) 장을 제어가 용이한 장으로 대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장은 기계장으로, 기계장은 전기장으로 대체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표준해 2-2-2.  Tool의 세분화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해야 한다면, 물질-장 모델에서 tool로 작용하는 물질(S2)의 세분화(Fragmentation)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2-3.  모세관 다공물질 적용으로의 전이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solid 물질은 capillary porous 물질로 전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2-4.  동적 물질-장으로의 전이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물질-장 모델의 dynamics 수준을 증가해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2-5.  구조화된 장으로의 전이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균질하거나 비구조적인 장을 이질적이거나 가변 구조를 가진 영구적인 장으로 전이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2-6.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균질하면서 무질서적 구조의 물질을 비균질하면서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구조를 가진 물질로 전이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3-1.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작용하는 장의 주파수를 Product(또는 Tool)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불일치)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3-2.  만일 복합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사용되고 있는 장들의 주파수를 일치(불일치)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3-3.  만일 두 개의 양립할 수 없는 작용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변경시키는 것과 측정하는 것), 하나의 작용은 다른 작용이 일시정지 되었을 때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한 작용의 일시정지 시에는 다른 유익작용을 수행한다.


표준해 2-4-1.  만일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강자성 물질과 자기장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2.  만일 물질-장 모델의 제어효율을 향상하려면, 물질 중 하나를 강자성 입자로 대체(또는 강자성 입자 첨가)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적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3.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자성유체- 실리콘, 물, 또는 기름에 콜로이드성 강자성 입자가 부유-를 적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4.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강자성 물질-장 모델 내에 capillary porous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5.  만일 제어효율을 향상하려는데 강자성 입자로 대체할 수 없다면, 하나의 물질에 첨가물질을 도입할 수 있게끔 내부 또는 외부 복합 강자성 모델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준해 2-4-6.  만일 제어효율을 향상하려는데 강자성 입자로 대체할 수 없다면, 강자성 물질을 외부환경에 도입하고 자기장을 사용하여 외부환경 물성을 바꾸어 시스템 제어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표준해 2-4-7.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제어효율을 향상하려면 물리적 효과를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8.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시스템의 dynamics 수준을 증가시켜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9.  구조화된 강자성 물질-장 모델로의 전이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균질하면서 무질서적 구조의 장을 비균질하면서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구조를 가진 장으로 전이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10.  만일 강자성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시스템 구성 요소 간의 리듬을 일치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2-4-11.  만일 강자성을 도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자화시키는 것도 어렵다면, 

a) 외부 전자기장과 전류 간의 상호작용, b) 비접촉식으로 유도된, 접촉을 통해서 얻은 전기장, c) 전류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전기 물질-장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표준해 2-4-12.  만약 자성유체를 사용할 수 없다면, electrorheologic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electrorheologic 액체를 적용한 물질-장 모델은 전기 물질-장 모델의 특수 형태이다.


표준해 3-1-1.  만일 시스템 진화과정의 어떠한 단계에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다른 시스템과 결합하여 bi- 또는 poly 시스템을 만들어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3-1-2.  bi- 또는 poly-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시스템 요소 간에 링크를 발전시켜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3-1-3.  bi- 또는 poly-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bi- 또는 poly-시스템 요소 간의 차이를 크게 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3-1-4.  bi- 또는 poly-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여러 요소들을 하나의 요소에 통합하여 부가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달성할 수 있다. 완벽히 통합된 bi-, poly-시스템은 다시 단일시스템으로 바뀌고, 다른 수준의 시스템과의 통합이 반복된다.


표준해 3-1-5.  bi- 또는 poly-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양립할 수 없는 특성을 시스템과 시스템 부품 사이에 분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전체시스템이 A특성을 가지고  시스템 부품은 anti A특성을 가지게 하는 두 단계 구조로 달성할 수 있다.


표준해 3-2-1.  만일 시스템 진화과정의 어떠한 단계에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매크로 레벨로부터 마이크로 레벨로의 전이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시스템이나 시스템의 부품은 장과 상호 작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로 대체된다.


표준해 4-1-1.  만일 검출이나 측정을 해야 한다면, 측정이나 검출이 필요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변화시킨다.


표준해 4-1-2.  만일 검출이나 측정을 해야 하고 검출이나 측정이 필요 없도록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검출 대상의 복사물이나 사진의 성질을 검출/측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표준해 4-1-3.  만일 검출이나 측정을 해야 하고 측정이 필요 없도록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측정대상을 복사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면, 측정문제를 연속적인 검출문제로 바꾸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표준해 4-2-1.  불완전한 물질-장 모델의 검출이나 측정이 어렵다면, 이러한 문제는 단순 또는 이중 물질-장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산출되는 장을 이용하여 해결될 수 있다. 즉 측정 변수를 직접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방법대신에 장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변수를 검출하거나 측정한다. 이 경우 장에서 발생하는 측정변수는 측정 및 검출이 용이해야 하며 이 측정변수가 궁극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를 잘 나타내야 한다.


표준해 4-2-2.  만일 어떤 시스템이나 그 구성요소의 검출이나 측정이 어렵다면, 쉽게 검출/측정될 수 있는 첨가물을 도입한 내부 또는 외부의 복합 측정 물질-장 모델로 전이하여야 한다. 


표준해 4-2-3.  만일 주어진 시간에 어떤 시스템을 검출하거나 측정하기 어렵고 동시에 시스템내부에 첨가물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쉽게 검출/측정 가능한 장을 발생시키는 첨가물을 외부환경에 도입하여야 한다. 이때 외부 환경의 변화상태로써 측정대상의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표준해 4-2-4.  만일 쉽게 검출 가능한 첨가물을 외부환경에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외부 환경 자체를 이용하여 검출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환경을 분해하거나 외부환경의 접합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측정대상의 변화를 검출하여야 한다.


표준해 4-3-1.  만일 측정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물리적 효과를 적용한다.


표준해 4-3-2.  만일 시스템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거나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어떠한 장도 시스템을 통과할 수 없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시스템 또는 구성요소의 공진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진동수의 변화는 시스템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해 4-3-3.  만일 시스템 내에서 공진을 발생시키기 어려우면, 시스템의 상태는 시스템과 관련된 외부 환경의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표준해 4-4-1.  만일 측정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강자성 물질이나 자기장을 이용할 수 있다.


 표준해 4-4-2.  만일 검출이나 측정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물질 중 하나를 강자성 입자로 바꿔(또는 강자성 입자를 추가) 강자성 물질-장 모델로 전이하여 자기장을 검출하거나 측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4-4-3.  만일 검출이나 측정의 효율을 강자성 물질-장 모델로의 전이를 이용하여 향상하려는데 강자성 입자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강자성 첨가제를 기존 물질에 도입하여 복합 강자성 물질-장 모델을 구축하여 강자성 물질-장 모델을 만들 수 있다.


표준해 4-4-4.  만일 검출이나 측정의 효율을 강자성 물질-장 모델로의 전이를 이용하여 향상하려는데 강자성 입자를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외부 환경에 강자성 입자를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4-4-5.  만일 강자성 측정 물질-장 모델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물리적 효과를 사용하면 된다. 


표준해 4-5-1.  만일 진화의 어떤 단계에 있는 측정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bi 또는 poly시스템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4-5-2.  만일 측정시스템을 진화시키려면, 제어 가능한 기능의 파생물을 측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능의 측정→기능의 첫 번째 파생물을 측정→기능의 두 번째 파생물을 측정


표준해 5-1-1-1.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물질대신에 void를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2.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물질대신에 장을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3.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시스템의 내부에 도입하는 대신에 시스템 외부에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4.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큰 효력이 있는 매우 소량의 물질을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5.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시스템내부의 특정부위에 매우 소량을 집중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6.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필요한 물질을 일시적으로 도입하고 나서 이후에 제거할 수 있다.


표준해 5-1-1-7.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물질의 도입이 허용되는 곳에 물질 대신에 물질의 복사물을 도입할 수 있다.


표준해 5-1-1-8.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시스템의 작동조건에 의해 제한되면, 화학적 화합물의 형태로 물질을 도입하여 이후에 분해시킬 수 있다.


표준해 5-1-1-9. 만일 시스템 내에 물질을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전기분해 또는 외부환경이나 물체의 밀집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같이 외부환경이나 물질자체를 분해하여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표준해 5-1-2.  만일 시스템을 요구대로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고 도구를 다른 것으로 대치하는 것이나 첨가물을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도구대신에 product를 사용할 수 있다. 

서로 상호 작용하는 요소로 product를 나누어 사용한다.


표준해 5-1-3.  시스템 내에 물질이 도입되어 기능을 수행한 이후에는 이 물질은 사라지거나 시스템내부 또는 외부환경에 존재하는 물질과 구분될 수 없도록 되어야 한다.


표준해 5-1-4.  만일 많은 양의 물질을 시스템 내에 도입해야 하지만 불가능하면, 팽창하는 구조의 Void나 거품 등을 도입해야 한다. 


표준해 5-2-1.  만일 물질-장 모델내부에 장이 도입되어야 한다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질을 매개로 하는 기존의 장을 우선적으로 이용한다.


표준해 5-2-2.  만일 물질-장 모델내부에 장이 도입되어야 하지만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기존 장을 사용할 수 없으면, 시스템의 외부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장을 이용한다.


표준해 5-2-3.  만일 물질-장 모델내부에 장이 도입되어야 하지만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기존 장을 사용할 수 없으면,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이 매개가 되거나 원천이 될 수 있는 장을 이용한다.


표준해 5-3-1.  만일 다른 물질의 도입 없이 물질사용의 효율을 증가시키려면, 그 물질의 상을 변화시켜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5-3-2.  만일 두 가지 특성이 필요하다면, 동작조건에 따라 하나의 상에서 또 다른 상으로 변환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5-3-3.  만일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상변화에 수반되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5-3-4.  만일 두 가지 특성이 필요하다면, 단일 상 물질을 두 개의 상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5-3-5.  만일 단일 상 물질을 두 개의 상 물질로 대체한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려면, 시스템의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도입하여 달성될 수 있다.


표준해 5-4-1.  만일 물질이 다른 물리적 상태를 번갈아 유지해야 한다면, 물리적 가역 변화 (이온화-재결합, 분해-결합 등)을 이용하여 객체 스스로 이러한 전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표준해 5-4-2.  만일 시스템에 약한 입력으로 강한 효과를 산출하고자 하면, 변환물질을 임계조건에 근접하여 놓아야 한다. 이 경우 에너지는 이 물질에 저장되어 있고 입력신호는 단지 trigger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표준해 5-5-1.  만일 어떤 물질입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하지만 문제 조건에 의해 제한되면, 이 물질입자의 상위구조 수준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표준해 5-5-2.  만일 어떤 물질입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하고 이 물질입자를 상위구조 수준의 물질을 분해해서 얻을 수 없다면, 이 물질 입자는 이온과 같이 하부구조 수준에 존재하고 있는 입자를 결합시켜 얻는다.


표준해 5-5-3.  만일 상위구조 수준의 물질이 분해되어야 한다면, 가장 용이한 방법은 이 물질의 가장 근접한 상위구조의 요소를 분해하는 것이다. 만일 하위구조 수준의 물질을 결합하여야 한다면, 가장 용이한 방법은 이 물질의 가장 근접한 하위구조의 요소를 결합하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시간이 지나면 괜찮을 거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