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시바 Feb 28. 2023

현재 인플레이션의 핵심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이 다시 시작된다"에 대한 답글 (네이버 카페 가치투자연구소, 2023년 2월 27일)


(원글 본문)


https://cafe.naver.com/vilab/226845


(답글 본문)


https://cafe.naver.com/vilab/226879


현재 미국을 필두로 한 인플레이션은 여러가지 원인이 얽혀있지만, 어쨌든 노동시장 문제가 핵심 중 하나인 것은 확실하므로 노동시장 중심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현재 미국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의 핵심은 임금상승률이 아닙니다. 구직자 1명당 2개 가까운 일자리가 남아있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행동경제학에 의해 인간의 행동은 현재 소득을 기반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미래 소득에 기반하여 움직인다는 것이 확인되었죠. 해고가 두렵지 않고, 쌓아둔 돈도 많으니 소비 지출이 줄어들지 않고, 노동력 공급도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소비 측면과 생산 측면에서 모두 인플레이션 압박이 심한 구조로 흘러가는 것이죠.


이처럼 미국인들이 해고를 두려워하지 않고, 미국 기업들은 노동자들이 퇴사를 두려워하는 상황. 인구의 3%가 죽었고, 노동가능인구의 상당수가 (쌓아둔 돈도 많고, 일자리도 언제든 얻을 수 있으니) 일자리 얻기를 포기하여 노동참가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문제의 핵심인 것입니다. 단순히 1980년대 이후 실업률이 낮을 때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왜 지금은 그걸 따지느냐? 하고 말하는 것은 과거에 잘못된 경험에 기반해 판단하는 것입니다.


지난 1월 물가지표와 채권 시장 움직임이 이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입니다. 미국에 수입되는 물건의 가격은 떨어지고 있는데 왜 인플레이션이 심해졌을까요? 왜 장기 채권 금리가 다시 솟구치고 있을까요?


그리고 채권 운용자들은 단순히 채권 만기를 바라보고 매수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채권 시장은 글쓰신 분의 생각보다 더 복잡한 곳이고, (오히려) 장기채권일수록 만기보다 가격 움직임을 가지고 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 쓸 시간이 부족해서 그만 마쳐야겠는데, 시장의 마법사들 시리즈나 빌 그로스의 책들을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장단기금리차 역전 현상과 경기침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