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마음에 좋은 감정 물들이기

나는 기억 못 해도 몸은 기억해요.

요가 수업 중 매트에 서서 하는 동작을 안내하는 중에 이런 문장이 떠올랐다. '나는 기억 못 해도 몸은 기억해요. 그러니까 우리 지금 두 발로 잘 서는 연습을 해요.'


요가 동작에는 두 발을 매트에 딛는 동작이 많다. 일상에서도 두 발을 늘 땅에 딛고 있다. 삶을 사는 몸이기 때문에 발기반 움직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움직이기 전에는 발 전체를 잘 사용하도록 발가락 사이부터 발바닥 전체 근육을 스트레치 하는 토스쿼트를 한다. 그리고 두 발로 서서 눈을 감고 매트에 닿은 발의 감각을 느낀다. 두 눈을 감으면 평소 오른발과 왼발 중 어느 발에 무게를 더 싣는지, 발날 쪽으로만 서 있는지, 뒤꿈치 쪽으로 더 강하게 힘을 주는지 등 자신의 평소 습관이 명료하게 느껴진다.


잠시 후 발바닥 모두를 사용해 본다. 발도장을 찍었을 때 발 전체가 요가매트 위에 꾹- 도장 찍히도록 골고루 사용해 본다. 그렇게 상체를 숙였다 세우기도 하고, 두 발을 넓게 벌려 움직이기도 한다. 중간중간 발을 매트 위에 떼었다 내려놓으며 반복한다. 마지막쯤에는 다시 두 눈을 감고 매트에 선다. 또렷하게 발전체로 발도장이 찍히는 것이 느껴진다.


일상으로 돌아와서 발을 내딛을 때 몸은 정직하게 발 전체를 골고루 사용한다. 나는 기억 못 해도 몸이 먼저 기억한다. "어 뭔가 발 느낌이 이상한데? 아! 평소 안 쓰던 엄지발가락 쪽 발바닥에 힘을 줘 걷고 있구나!"


몸처럼 마음도 기억할 수 있을까? 가끔 세상을 사는 것이 어젯밤 꿈같을 때가 있다. 그리고 오늘 내 눈앞에 펼쳐진 삶은 하늘의 구름이 지나가듯 흘러간다.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좋은 데 가는 것을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해요. "아이들은 다 까먹을 텐데 왜 좋은 데를 데리고 가요?" 근데 거기에 대한 제일 좋은 답은 '좋은 감정은 남는다.'는 거죠. 구체적으로 어떤 해수욕장인지 무엇을 먹는지는 잊어버려도, 부모와 함께 갔던 바다에 대한 좋은 감정이 남아서 나중에 바다에 가면 굉장히 편 편안하고 따뜻한 느낌이 들어요.


알쓸인잡 2회 김영하 작가의 말 중에서



‘마음도 기억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김영하 작가의 말이 답이 됐다. 나 역시 어렸을 때 가족과 함께 놀러 간 바닷가를 기억한다. 동해였는지 서해였는지, 분명 맛있는 것도 먹었을 텐데, 이런 디테일한 것은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저 함께했던 가족의 웃음소리, 이불처럼 포근하고 봄의 햇살처럼 따뜻했던 분위기가 기억난다.


나는 보통 마음에는 좋은 기억보다 나쁜 기억이 강하게 저장된다. 10년 넘게 써온 나의 일기장을 보면 알 수 있다. 기억하고 싶지 않아서 써 내려간 일들이 더 또렷이 글로 눈앞에 펼쳐져 있다. 요가를 하며 두 발에 건강한 기억을 새겼던 것처럼 마음에도 좋은 감정을 물들이고 싶다.


22년도의 마음에 물든 좋은 감정
연인과 놀이공원 퍼레이드를 보며 5살처럼 웃고, 춤추고, 흥얼거렸다.
 함께 모인 이움 크리스마스 파티는 따뜻했다. 모인 사람들의 마음이 다정했다.
아빠와 함께한  없는 강릉 여행은 열정적이었다. 우리 둘은 비와 바람을 가르는 힘찬 마음으로 여행했다.
• …
기억이 나면 채워  공간들
작가의 이전글 「진심으로 들어주는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