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침서가 Dec 24. 2022

사랑의 난폭한 결말

이디스 워튼의 <이선 프롬>을 읽고.

말하자면 이선의 밥그릇은 첫술을 뜰 때부터 질병과 걱정거리로 가득 차 있었던 거지. p.17


작년 여름에 이디스 워튼의 <여름>을 읽었고, 겨울이 성큼 왔다는 걸 느낀 어느 날에 <이선 프롬>을 펼쳤다. 짠하고 답답하다는 후기를 워낙 많이 봐서 별 감흥이 없을 줄 알았는데 웬걸? 가슴이 꽉 막혔다. 협심증 오는 줄 알았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이선의 상황이 이해가 가면서도 읽는 독자의 입장에선 어떤 쪽으로든 결단을 내리고 빨리 실행을 하는 게 모두를 위해서 좋은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끔 만들었다. 그런 와중에도 이디스 워튼의 감정 묘사는 탁월했다. 가만 보면 작가에게 '사랑'이라는 것은 사회적 계급보다도 훨씬 더 중요한 글감이었던 것 같다. 특히 지나가 의사를 만나러 가고 매티와 이선만이 집에 남은 날 저녁의 묘사는 압권이었다.


작품 연대기를 보니 <여름>보다 <이선 프롬>이 훨씬 전에 쓰였다. <이선 프롬>은 실제로 작가가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하던 중에 쓰여서 이다지도 답답한, 출구 없는, 다 같이 나락으로 빠지는 파괴적인 관계를 그릴 수 있었던 것 같다. 반대로 다른 남자와 사랑에 빠져 있을 때는 <여름>을 썼다. 특별히 <여름>이 더 좋았다고 느껴지지도 않지만 작가 본인은 <여름>에 가장 애착을 느낀다고 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불행했던 결혼 생활 끝에 그야말로 처음으로 사랑을 알게 된 작가가 굉장한 의미를 부여했으리라고 본다. 이선도 매티를 사랑하고 채리티도 하니를 사랑하건만 이다지도 색깔이 다르다니.


그는 말 없는 우울한 풍경의 한 부분인 것만 같았고, 그 안의 온기와 마음은 표면 아래에 꽁꽁 묶인, 말하자면 얼어붙은 슬픔의 화신과도 같았습니다. (...) 나는 단지 쉽게 다가가기에는 그가 너무나 깊은 정신적 고립 속에 살고 있다고 느꼈을 뿐이에요. p.18


나에게 <이선 프롬>은 하얀 눈에 드리운 그림자의 연푸른 빛으로 기억될 것 같다. 새벽의 깨끗하고 보송해보이는 눈 쌓인 겨울 풍경이 아니라 차갑고 외롭고 축축한 겨울 풍경 말이다. 너무 쓸쓸한 나머지 삶의 의욕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름>보다 <이선 프롬>의 이야기가 더 여운이 길지만 풍광의 묘사는 <여름>이 더 강렬했다. 찬란하게 눈부신 하늘,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소리, 알싸한 박하 향기가 나던 여름 풍경이 지금도 전혀 잊히지 않는다. 이선과 매티가 파괴적인 선택을 한 것은 놀랍지 않았다. 되려 이후의 삶이 너무 난폭하게 느껴져서 충격을 받았다. 이선도, 지나도 너무 끔찍하다. <여름>을 읽었을 때, 그것이 성장소설이라고 설명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다. 채리티가 풋내 나는 사랑 후에 현실적인 선택을 한 것이 성장했다기보다는 그저 감정적으로 늙어버린 것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이제 <이선 프롬>까지 읽고 난 후엔...? 적어도 <여름>의 채리티는 스스로 선택하고 나아갔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이선... 아... 모르겠다, 그만큼 답답하고 답답하다. 근데 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너무 이해는 간다. 그래서 더 답답한 것 같다. 이후 이선과 지나, 매티는 어떻게 살아갈까? 아무 기대도 되지 않는다. 끝나지 않는 겨울 그림자 속에 갇힌 기분이다. 아무리 두꺼운 양말을 겹겹이 신어도 이미 눈에 젖은 신발 안에선 무용지물이듯이.


매거진의 이전글 시집살이보다는 '필'살이가 더 무섭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