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 수술 과정 및 결과
무릎의 퇴행성 질환 중에 가장 많은 질환 중 하나는 아마도 퇴행성관절염이다. 과거 서양의학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앉은뱅이가 일어나 걸었다'라고 하는 말이 생겨난 것이 바로 인공관절 수술이다. 오늘은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아파서 힘들어요
진갑을 넘으신 여자분이다. 수년 전부터 무릎에 통증이 있어서 무릎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았고, 아파오면 약을 드시곤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제는 약을 먹어도 그 통증이 줄지 않아서 얼마나 더 진행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고 했다.
관절염 검사
X선 검사를 시행했다. 무릎 차렷 한 상태에서 앞에서 보는 검사이다. 사진에서 보면 왼쪽 무릎에 안쪽 관절 간격이 없어져 붙어버린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로젠버그뷰라고 해서 실생활에서 무릎이 어떤지 확인하는 관절염에 중요한 검사이다. 아예 구부리질 못해서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양 옆에서 촬영한 검사를 보면 왼쪽과 오른쪽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위에서 바라본 사진 역시 왼쪽 무릎에 퇴행성 관절염의 변화가 보이고 있었다.
치료의 선택
관절염에 대한 치료의 방법은 다양하다. 이 분은 퇴행성관절염 수술을 선택한 이유는,
연골이 모두 닳았다는 점
휜다리가 있는 점
연세가 진갑을 넘었다는 점
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다는 점
연골주사의 효과가 6개월을 버티지 못하는 점
을 고려했을 때 퇴행성관절염 수술 즉, 무릎 인공관절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무릎 퇴행성관절염 수술
인공관절
수술은 비교적 빠르게 시행된다. 닮아 없어진 연골을 모두 제거하고 코발트크롬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로 닳은 관절을 교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하지 정렬 즉, 다리의 열도 같이 맞춰줘야 하며, 관절의 간격도 맞춰야 하는 복잡한 이론이 적용된다. 수술하면서 이 모든 것을 고려해가면서 퇴행성관절염 수술을 한다.
2주 정도가 지나면 자력을 서있을 수 있다. 실을 제거하고 나서 다시 사진을 검사한다.
로젠버그 사진도 촬영한다. 관절을 대신하는 인공관절의 모습과 뼈와 잘 어우러졌는지 그리고 연골을 대신하는 bearing의 위치도 확인하게 된다.
기존 무릎의 변화된 정렬을 다시 잘 맞췄는지 슬개골의 위치를 보고도 다시 확인한다.
관절염으로 휜다리가 있는 다리가 인공관절 후 반듯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수술 후 관리
퇴행성관절염 수술을 하게 되면 당연히 아프다. 그래서 무통주사를 처음 3일간은 맞는다. 이후에는 3일째 피주머니를 제거하고 이때부터 걷고 꺾는 연습을 하게 된다. 가급적이면 다리를 쭉 피려고 노력해야 하고 허벅지 앞 근육을 다시 회복시키는데 노력해야 한다. 앞아서 꺾는 연습이 안되면 진통제 맞아가면서 하는 것이 좋다. 샤워는 실 제거하는 2주째부터 할 수 있고, 목욕은 수술 3주째부터 하는 것을 권유한다.
이 글은 정형외과 전문의 Dr. 권제호가 무릎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인공관절 수술받으실 분들의 가족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