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순전한작업실 Jun 15. 2024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하위 역량

©  Tobias Albers-Heinemann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일반적으로 '미디어를 읽고 쓰는 역량'이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읽고 쓴다’는 말이 의미하는 범위가 너무 크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떤 역량을 말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Evolution of media (www.linkedin.com/pulse/evolution-media-sruthi-s)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 환경 안에서 민주 시민이 갖춰야 하는 역량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그 개념이 점점 확장되어 왔습니다.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이 주를 이뤘던 대중매체 시대에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비판적 이해능력을 말했습니다. 미디어 이용자가 미디어를 생산할 수 없었고, 미디어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만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미디어 이용자가 직접 정보를 검색하고, 생산할 수도 있게 되었고, 이 시기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비판적 이해능력에 미디어 접근 능력, 생산 능력, 참여 능력도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인공지능이 발달한 초연결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기존의 역량에 소통 능력, 협업 능력 등과 같은 시민성까지 포함되었습니다.



© Digital & Media Literacy (dcnglobal.net)


미디어 리터러시를 연구하는 세계 각국의 기관과 단체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역량/하위 요소라는 개념을 통해서 디지털, 인공지능, 소셜미디어를 기본으로 하는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 속의 미디어 리터러시란 이러 이러한 역량들의 종합이다’라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요, 


각 단체별로 어떤 역량들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정의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1. 유네스코(UNESCO)


https://www.unesco.org/



유네스코(UNESCO)는 다음과 같은 역량들의 종합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Media & Information Literacy)로 설명합니다.



© 순전한작업실


정보를 검색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를 현명하게 사용하고 공유하는 역량

온라인상의 권리에 대한 지식

온라인상의 혐오발언과 사이버 불링 대처법에 대한 이해

정보의 접근과 사용을 둘러싼 윤리적 이슈에 대한 이해

미디어와 ICT를 활용하여 평등, 표현의 자유, 상호문화적‧상호종교적 대화, 평화 등을 증진하는 태도








2. 미디어 스마트(Mediasmarts)


http://mediasmarts.ca



캐나다의 미디어 교육 기관인 미디어 스마트(Mediasmarts)는 다음과 같은 역량들의 종합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로 설명합니다.



© 순전한작업실



디지털 도구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디지털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를 비판적 이해 능력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써서 창조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지식과 전문성






3. 영국의 국립교육연구재단(NFER)


https://www.nfer.ac.uk/



영국의 국립 교육 연구 재단(NFER) 산하의 퓨처랩(Future Lab)은 다음과 같은 역량들의 종합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라고 설명합니다.



© 순전한작업실


기능적 기술

창의성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정보를 검색하고 고르는 능력

비판적 사고와 평가

문화적‧사회적 이해

 e-safety (인터넷 기술을 전하고 책임감 있게 사용할 줄 아는 태도)






4. 미국의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육연합(NAMLE)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namle.org)



미국의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육연합(NAMLE)은 모든 의사소통 수단을 기반으로 하는 다음 역량들의 종합을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설명합니다.(2018)





정보를 수집하고 이해하는 접근 역량

미디어의 목적, 이용자의 특성, 메시지의 질, 관점, 효과나 결과를 파악하는 분석 역량

정보의 신뢰성, 타당도, 적설성, 이념성 등을 따질 수 있는 평가 역량

창조적으로 미디어를 생산할 수 있는 창조 역량

주체적으로 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행동 역량






5.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s://www.kpf.or.kr/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해 길러야 할 세부 역량으로 다음의 역량을 제시합니다.(2019)


[표1] 미디어교육 층위 구분과 하위 영역 구성[출처] 양정애, 김아미, 박한철, 『미디어교육의재구조화:21세기 한국의 미디어교육 영역 및 구성』, 한국언론진흥재단, 201


기초 역량 :  미디어 접근 능력, 미디어의 기능적 활용 능력

중점 역량 : 미디어 본질에 대한 이해, 능력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분별적 이용 능력

심화 역량 : 미디어에서 습득한 지식 정보의유익한 활용, 미디어를 통한 창의적 표현 능력, 미디어를 활용한 적극적 소통 능력, 미디어를 통한 사회이슈 참여 능력, 책임 있고 안전한 미디어 이용 능력, 자율적인 미디어 이용 능력, 미디어 이용을 통한 정서 함양 능력 







지금까지 여러 단체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역량을 살펴보았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역량의 종합을 말하는 것인지 이해가 되시나요?



강조하는 부분에 따라 기관이나 단체별로 그 용어나 범위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역량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역량미디어를 생산하는 창조 역량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참여 역량을 미디어 리터러시의 주요 하위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Unsplash의Bermix Studio



흔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라고 할 때, 미디어의 기능 교육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미디어 도구를 다루는 접근 역량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전부는 아니라는 점,

미디어 본질에 대한 비판적 이해/분석/활용 능력이 중점적인 역량이라는 점,

접근, 비판적 분석, 창조, 행동의 모든 역량이 고르게 발달할 때 미디어 리터러시가 균형있게 강화된다는 점,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양정애, 김아미, 박한철, 『미디어교육의재구조화:21세기 한국의 미디어교육 영역 및 구성』,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권영부, 김경희, 김형태, 박유신, 안용순, 정지영, 최 숙, 『미디어 교육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매거진의 이전글 복잡한 미디어 환경이 의미하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