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월의쥰 Oct 03. 2024

잠깐의 순간에만 존재하는 음악 같은 영화

<추락의 해부>

영화 <추락의 해부>를 봤다. ‘언젠가는 꼭 봐야지 영화’였는데, 요즘 읽고 있는 책이 <해부학자>라서 보게 된 것은 아니지만 무의식 중에 계속 신경 쓰이긴 했던 것 같다. 괜히 안 보면 안 되는 영화들이 있다. 이 영화도 그런 영화 중 하나였는데 아마도 제목 때문일 것이다. 제목이 저런데 어떻게 안 봐요.

<추락의 해부>는 보기 전에 기대했던 것과는 좀 다른 영화로 - 기대하기로는 좀 더 시니컬하고 분석적일 거라 생각했다- 꽤나 시적인 프랑스 영화였다. 즉 음악과 내용이 불가분의 한 몸을 이루고, 제목이 작품의 지분을 5할 이상 차지하는 그런 작품이다. 다 보고 나면 음악을 다시 찾아 듣게 되는데 그래봤자 그건 같은 음악이 아니다. 그 음악은 그 영화 속에서만 그 음악인 것이다. 그런 영화들이 있다. 분위기는 전혀 다르지만 역시 프랑스 영화인 <타인의 취향> 같은 영화가 이 영화와 비슷한 류의, 시적인 영화다. 강렬하고 효과적이며 거의 모든 것인 제목과, 영화 속에서만 ‘그 음악’이 되는 ost를 지닌 영화.

책 <해부학자>에는 저자가 직접 시체를 해부한 경험이 묘사되는데, 이 영화의 제목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설명해 준다. 해부는 두렵고, 축축하고, 집요하고, 끝나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한 번에 모아 태워버리지 않으면 안 되는 온갖 장기류-한때는 그 인간을 빛내거나 괴롭히며 생명을 유지시켰을 그것들-만이 시체가 되어 누운 채 속속들이 털려버린 한 인간이 살아있었음을 증명할 뿐이다. ‘그리고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결국 모든 인생은 그런 결말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다. 좋은 영화는 그 점을 반드시 짚고 넘어간다. 그건 인생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의 의도를 가진다. 본질은 결과나 결말이 아닌 과정에 있다는 것을 각자의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바보야 문제는 좌뇌 우뇌가 아니야 구피질 신피질이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