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문진 Nov 24. 2021

뒷 이야기가 어떻더라도

<먼 훗날 우리>

왜 예전과 같지 않을까, 그 시절의 우리는 대체 어디로 간 걸까? 수많은 밤을 지새우며 자주 던졌던 질문이다. 영원할 것 같은 사랑도, 평생 볼 것 같았던 친구도, 심지어 가족끼리의 관계마저도 얼마든 변할 수 있다는 걸 이제야 조금 알 것 같다. 처음엔 그런 감정이 생경했다. 당장 스무 살이 됐을 때만 해도 중고등학교 때와 달라진 관계가, 20대 초중반에는 1년 정도 해외에 나갔다 다시 돌아왔을 때 기존에 있던 공동체에서 마치 혼자 이방인이 된 것 같았던 기분이. 20대 후반쯤에는 결혼하는 친구들이 하나둘 생기면서 관계가 다시 한번 달라지는 느낌을 받았다.


시절 인연이란 말이 있다. 모든 사물의 현상이 시기가 되어야 일어난다는 말을 가리키는 불교용어다. 이 단어를 보면 관계, 사람, 즉 인연이라는 것이 내가 붙잡는다고 붙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란 생각을 한다. 한 사람과 한 사람이 만나 인연이 되는 것 역시 그들을 둘러싼 모든 것이 허락될 때 가능한 것은 아닐까. 시절 인연은 시즌권 티켓과도 같다.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기능을 잃고, 유효기간이 지나버린 티켓은 어디에서도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어쩌면 나는 쓸모를 잃어버린 티켓을 들고 계속 서성였던 걸지도 모르겠다. 티켓을 다시 구매할 수도 있고, 서성이던 곳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그저 내가 손에 쥐고 있는 그것만이 맞다고 고집하면서, 나는 그대로인데 나를 제외한 너네는 왜 다 변해가냐고 심통을 내면서. 현재에 있으면서도 자꾸만 과거로 돌아가려고 했던 것 같다. 


젠칭과 샤오샤오, 그 시절의 그들 역시 시절 인연이었겠지 싶다. 만약, 날이 선 말들 속에서도 자존심을 내려놓고 한 번만 솔직하게 진심을 건넸었다면, 자존심을 내려놓고 지하철 역에서 딱 한 발자국만 옮겨서 지하철을 탔더라면 그 순간의 선택 하나로 둘의 현재의 관계가 바뀌었을 수도 있었겠지. 그랬다면 게임 속 이언의 세상이 끝까지 무채색이 아니었을 수도.


하지만 우연이 반복되는 것도 인연이듯 어긋남이 반복되는 것 역시 인연이라 생각한다. "I miss you" 한 문장에 한 명은 널 놓쳤다고 말하고, 한 명은 보고 싶다고 받아들이는 젠칭과 샤오샤오. 둘이 계속 만났더라도 행복할 수 있었을까, 과연 헤어지지 않았을까 의문을 가져본다. 뜻대로 이뤄지지 않고 끝나버린 것에 대해 더 많은 미련을 갖고 그런 과거를 아름다운 기억으로 포장해 착각하는 게 사람이니까. 


그러니까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과 내 주변에 있어주는 사람들이 쉽게 맺어진 인연이 아닌 걸 기억할 수 있다면 좋겠다. 언제 왔다가 언제 떠날지 모를 관계들이지만 떠난 뒤 후회하기 전에 곁에 있을 때 마음을 표현하고, 진심을 전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싶다. 현재, 지금, 바로 이 순간 찰나의 내 선택이 미래의 우리의 관계를 바꿔놓고 있을지도 모르니까. 하지만 원하는대로 흘러가지 않아도, 결말이 어떻게 끝날지 몰라도 과정 속에 있는 우리의 인생은 분명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오월천이 부른 영화의 OST 가사를 옮겨본다.

(https://youtu.be/mQIea1nZ5AU)


어딘가에 또 다른 너를 남겨두었고

거기서 또 다른 나는 웃고 있어

그곳의 우린 아직 사랑하고 있어

우릴 대신해 영원히

이렇게 생각할 수만 있다면 그걸로 충분해


뒷이야기가 어떻더라도

뒷 이야기가 어떻든

우리의 인생은 가치가 있을 거야

먼 훗날 우리, 난 기대하고 있어

눈물 속에서 볼 수 있기를

자유로운 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