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동인 Jul 21. 2019

학생창업가 시대의 개막

교육 현장에 서서히 스며들어가는 창업가정신

지난 학부모설명회에서 강연한 내용으로 기사를 내주셨다.

기자님께서 직접 듣고 작성하신 덕분에 대부분 제대로 정리가 된 것 같다.


창업을 풀어서 쓰면 시작할 '창(創)', 일 '업(業)'이다.

일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일은 무언가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 무언가는 해결을 필요로 하는 문제였을 것이다.


즉, 창업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을 창업가라 부를 수 있다.


이제 교실에서도 창업가가 나와야 한다.

창업에 필요한 것들을 찾아 배우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이 100명이면 100가지의 교육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안타깝게도 교육 당국은 다가오는 미래에도 절대 해낼 수 없을 것이다.


결국 학생 스스로 설계하게 해야 한다.

창업에 어느 정도 힌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강연 현장에서도 창업에 관하여 첫 운을 떼자,

창업을 사업으로 바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더라.

이내 자세한 설명을 듣곤 '문제해결역량'으로 바꿔 생각하실 순 있었다.

하지만 그건 창업 활동의 부산물일 뿐이다.


창업은 자아를 성장시키는 자기주도적인 교육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직접 문제를 찾고 해결책을 세우고 실행을 결정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알아가고 내가 나일 수 있게 적극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창업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 교육의 문제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

우리가 흔히 학습해왔던 문제-해결 적합성을 찾는 과정이 창업이다.

제품-시장 적합성을 찾는 것에서부터 사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것까지 당장 교육 현장에 필요한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작가의 이전글 지금은 감정을 조절해야 할 때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