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승우 Aug 03. 2018

고기가 없는 날, 무육일

1960년대 쇠고기 파동 대책 

1949년 쇠고기가 부족하자 정부는 매주 수요일은 음식점과 가정에서 고기를 먹지 못하도록 무육일(無肉日)로 정했다. 한참 한국전쟁이었던 당시 어쩌면 고기를 먹는 것은 호화로운 사치였을지도 모르니 무육일 지정이 십분 이해가 간다.

무육일은 계속 이어져 1956년 당시 신문기사를 보면 매달 25일은 무주무육일로 정하고 술과 고기를 팔지 못하게 했지만 57년에 폐지를 검토한다는 기사가 난 것으로 보면 그후 폐지가 된 것으로 보인다. 1965년 서울시는 시민운동의 형태로 고기를 먹지 않는 날로 매주 수요일을 무육일로 정했다. 쇠고기 가격 파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중반과 상황이 맞물리기 시작한 것. 


무육일이 다시 나타난 것은 최대의 쇠고기 파동이었던 1976년 당시 물가대책회의에서 1주일에 하루를 무육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한다는 기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이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말까지 매년 농번기가 시작되는 5월을 전후로 쇠고기 파동을 겪여야 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농촌에서 한우는 일을 하는 소였다. 농번기에는 소를 잡지 않고 일을 시켰기 때문에 농사일이 시작되는 5월부터는 소의 도축량이 급격히 줄었고 공급량이 부족해 가격이 올랐다. 반면 농사가 끝나는 10월부터는 소를 잡는 게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이 반복됐다. 


쇠고기 파동의 대책으로 검토는 했지만 무육일이 실현되지는 않았다. 1977년 崔珏圭(최각규) 농수산부 장관은국회 농수산위 회의에서 "주1회 무육일 설정을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1976년 쇠고기 파동에 정부의 대책을 보면 소 대신 돼지고기 수요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대일 수출을 중단하고 신규 음식점을 불허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당시 관계당국의 조사에 의하면 1년간 소비된 쇠고기는 약 47만2백29마리(7만5백35톤)로 국민1인당 평균 2.03kg을 소비, 지난 70년보다 88%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쇠고기 소비량의 증가는 당시 수년동안 생우값의 하락으로 소비량이 크게 늘어난 데다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자연소비수요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