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산골짜기 혜원 Jul 12. 2023

지금 여기에 있는 나는, 나로서 나답게 살고 있는 걸까

책과 함께 산골살이 ‘오늘도 균형’을 꿈꾸며  

구례에서 만난 작고 알찬 공간

그 이름도 정겨운 ‘봉서리 책방’.

거기서 눈에 딱 들어온 책을 보았나니 

바로 <시골살이, 오늘도 균형>이다. 


제목을 보는 순간 느꼈다.

아~ 내가 지금 무척이나 바라는 그것은

오롯한 ‘삶의 균형’이로구나!

균형이라는 흔한 낱말이 

이토록 매력 있게 느껴진 적이 또 있을까 싶었다.


구레 봉서리책방에서 만난 책 <시골살이, 오늘도 균형>. 제목이 눈에 딱 들어오더라.


헬렌과 스코트 니어링이 펼친 ‘조화로운 삶’을 

소박하게 꿈꾸며 살아왔으나

그 경지는 여전히 아득하고.  


지금 이 자리에서 

비틀거리지 않고

휘둘리지도 않으며

스스로 앞가림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고 그리건만, 

이 또한 가도 가도 끝없는 길처럼 멀기만 하다.  


「직장에 다닐 때는 일하는 시간과 쉬는 시간이 명확히 구분되는 점이 소소한 즐거움이었다. (…) 그런데 농사는 일도 일이지만, 일할 시간이나 체력이 부족해 대충 때우는 날도 있다.」_<시골살이, 오늘도 균형>(136쪽)에서 


「겨울이 가면 봄이 오듯이 농사일은 모든 과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도 우리 눈에는 이런 작물들이 ‘노동력 대비 생산성’의 관점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과한 노동을 들여야 하는 무언가라기보다 내가 보살펴야 하는 것 중 하나, 나와 식구들이 먹을 귀한 음식으로 보인다.」_<시골살이, 오늘도 균형>(244쪽)에서


이 문장들을 보면서 무릎을 탁 쳤네.

내 처지랑 비슷하게 다가와서는. 


건강한 먹을거리를 스스로 길러서 먹고 둘레와 나눌 수 있다는 것, 그 어떤 것과도 견주기 어려운 기쁨과 보람이다. 


살림집과 밭이 맞닿아 있는 우리 삶터. 

멀리 가지 않으니 농사짓기는 참 좋다만

현관문만 나서면 온통 일거리가 눈에 밟히는지라

전업농도 아니면서 늘 밭일에 치이는 느낌이다. 


그럼에도 이러구러 밭과 더불어 살아올 수 있던 건 

건강한 채소와 곡식 조금이나마

스스로 길러서 먹고 둘레와 나눌 수 있다는,  

그 어떤 것과도 견주기 어려운 

기쁨과 보람 덕분이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산골살이를 

균형 있게 꾸릴 수는 없는 일.

일자리를 알아볼까

농산물을 팔아 볼까

농어촌민박을 다시금 시작해 볼까.


자연을 벗어나지 않고서 먹고살 길들을 

궁리 또 궁리해 보지만 

이건 이래서 안 되고

저건 저래서 아니 되고….   


귀촌 십 년이나 된 지금도 

어느 것 하나 선명하게 밑그림을 그려내지 못한 채

애꿎은 통장 잔고를 파먹으며 살자니 

사라지는 건 돈뿐만이 아니라 

용기와 자신감 그리고 희망마저도  

자꾸만 내 곁을 떠나간다.


‘삶의 터전으로 지리산을 선택한 스물다섯 명의 이야기’를 담은 책 <어디에나 우리가 1>.


<시골살이, 오늘도 균형>을 읽으면서

계속 이러면 안 되겠구나 

진짜 정신을 많이 차려야겠구나,

산골살이에 균형을 잡기 위해서 

‘뭐라도’가 아니라 ‘뭐든’ 

길을 만들고 열어야겠다는 

작은 용솟음이 꿈틀거린다.  


좀 더 기운을 얻어 보고자    

다른 책 하나를 펼쳤다. 

‘삶의 터전으로 지리산을 선택한 스물다섯 명의 이야기’

를 담은 <어디에나 우리가 1>.


도시를 떠나 사는 사람들의 생생한 인터뷰를 

처음부터 끝까지 죽 마음에 담고 나니  

어설프게 감정이입이 된 나머지 

다들 조금씩은 힘겨워 보인다.  


「지금도 제가 좀 낯설어요. 극단에 있는 외향형이었는데, 지금은 내향형 쪽으로 가 있어요. 그래서 지금 너무 불편해요. 진짜 외향이었는데…. 지금 이게 나 같지 않고 ‘아, 내향형 사람들 이렇게 살았구나’ 싶어요. (웃음)」 

「외향인으로 살 때 겪게 되는 수모와 감당하지 못할 상황들이 있는 것 같아요. ‘내가 나대지만 않았어도…’ (웃음) 이런 게 반복되니까 자연스럽게 내향적 선택을 하는 거예요. 내부에선 분출하고 싶은 게 있는데 그러지 못하고 얌전히 있어야 하고요. 그래서 그 말이 너무 공감돼요. 아, 이게 내향인의 삶인가.」_
<어디에나 우리가 1>(65~66쪽)에서    


특히나 이렇게 주고받는 대화는  뜨끔하게 서글펐다.  


‘지금 여기에 있는 나는 나로서 나답게 살고 있는 걸까….’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스스로 던질 수밖에 없게끔 만드는 것, 

이 책이 지닌 힘일 거라 여기며 계속 글자를 따라가 본다.    


“해봐. 하다 보면 네가 알게 될 거야”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정말 하다 보니까 알게 됐어요. ‘이건 결국 내가 알아서 해야 하는 문제구나.’ (133쪽)  

즐거운 일을 했으면 좋겠다. 되도록 내 삶은 재밌게 살았으면 좋겠다. 나 자신을 잃지 않는 조건에서 재밌었으면 좋겠어요. 내가 정했던 걸 잃지 않고, 내가 나인 채로 계속 존재했으면 좋겠어요. (144쪽)  

그때 배웠던 게 “밥을 잘 챙겨 먹어야지, 귀찮다고 끼니 거르고 그러면 아무짝에도 쓸모없고 아무것도 못 하게 된다”고, “밥 하나 잘 챙겨 먹는 데서부터 모든 일이 시작되니까 집에서 끼니 거르지 말고.” 이 말이 제일 인상 깊었어요. (195쪽)  

뭐든지 ‘한다는 것’에 크게 의미를 두는 것 같아요. 실패해도 ‘하는’ 거니까요. (212쪽)  언제나 일이 잘 안 되더라도 비집고 들어갈 틈새는 있는 것 같아요. (…) 단순하게 생각하려고 하는 것, 그리고 일단 해보려고 하는 것. (251쪽)
_<어디에나 우리가 1>에서 


스스로 선택한 길 위에서

어렵고 버거워도 계속 무언가를 해내고 

만들어 내는 사람들. 

그들이 펼치는 삶이 곧 ‘희망’과 ‘용기’가 되어

내 안에 스미는 걸 느낀다.  


책을 덮으며 마음을 굳게 다잡는다. 나답게 나로서 재밌고 즐거운 일을 찾자고!


<어디에나 우리가 1>을 덮으며 

다른 건 몰라도 밥만큼은 

꿋꿋이 챙겨 먹고자 애쓰는 

나를 기쁘게 응원해 주고 싶었다.  

(밭일 못지않게 가사노동도 할 때마다 힘드니, 나만 그런가….)


마음도 굳게 다잡는다. 

나답게 나로서 재밌고 즐거운 일을 찾아 

힘들어도 물러서지 않을 각오를 다지되, 

실패해도 괜찮다는 너그러움으로   

이 산골에서, 우리 삶터에서 

적게 벌어도 잘 살 수 있는 길을 내자, 만들자!   


이리 흔들 저리 뒤뚱거리는 가운데

산골에서 만난 두 책  

<시골살이, 오늘도 균형>

<어디에나 우리가 1>.  


덕분에 마음속 균형추가 

조금은 잡힌 것도 같다. 

고맙고 다행스럽고 힘도 나고!^^  


산골에서 만난 책 덕분에 마음속 균형추가 조금은 잡힌 듯하다.


종일 비가 많이도 쏟아진다.

모두들 큰비에 무탈하기를 바라며  

저녁밥 준비하러 일어나야겠다.  

날마다 밭에서 난 것들과 더불어

집밥 만들고 먹는 삶, 

산골살이 균형은 여기서부터 시작이 아닐까. 

그럴 수 있기를 바라며 신나게 부엌으로 가보자~^^ 

작가의 이전글 무더운 여름을 물리칠 청량한 에세이 ‘살짜쿵 휴양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