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광진 Mar 15. 2019

논어의 충(忠)은 계급적인가

충은 복종이 아니라, 마음 상태를 말한다

논어의 핵심가치는 충忠과 서恕 다. 그중에 충忠의 개념이 현대에서 '충성忠誠'으로 인식되면서, 논어의 충忠이 지배계급에게 복종하라는 의미로 읽히는 듯하다. 그래서 공자와 논어가 지배계급을 공고히 하는 사상으로 오해받는다. 이는 중화 제국에 대해서 억압적이고, 봉건적인 국가라는 고정관념이 작용하는 탓일 것이다. (중화 제국이 그렇게 낙후된 정치체제 아녔음은 다음에 쓰도록 하겠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충忠과 논어의 충忠은 상당히 다르다. 왕에게 충성忠誠을 하는 신하, 어버이에게 충성忠誠하는 자식, 등으로 계급적으로만 기능한 다기에는 충忠의 해석이 협소하다.


충忠은 마음 심心에 가운데 중中이 합쳐진 한자다. 마음의 가운데, 즉 진실된 마음. 지극하고 진심을 다하는 마음을 뜻한다. 마음이 어딘가에 치우치지 않고, 가운데 중심을 잡는 이런 상태를 평정이라 할 수 있고, 고요하다라도 표현할 수 있다. 사심이 없는 마음은 진실되다.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진심을 다할 수 있다. 그런 마음 상태를 충忠이라고 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충성忠誠의 개념이 지배계급에게 복종하는 수동적 개념이라면, 논어에서의 충忠은 내 마음을 다스리고, 남을 대하는 상당히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개념이다. 내가 자발적으로 상대를 진심으로 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충忠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만 하는 것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논어에서는 군군신신부부자자를 말한다. 윗사람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군주가 군주다워야 신하가 신하 다울수 있다. 군주가 먼저다. 부부자자도 아비가 먼저다. 그리고 자식이 따라온다. 또한 논어에서 제시하는 실천방법 또한 솔선수범을 통해서, 따르게 하는 "덕치"이다. 누가 솔선수범하는가? 먼저 아는 사람, 윗사람이 하는 것이다.


이처럼 충忠이라는 개념이 논어의 인仁을 실현하는 군자의 기본 모습일 때, 충忠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복종하는 수동적 개념이 아니다. 위, 아래 가릴 것 없이 보편적으로 가져야 하는 가치이다. 내가 너를 충忠으로 대하고, 네가 나를 충忠으로 대하는, 서로가 서로를 충忠으로 관계 맺는 견고한 공동체, 인간관계를 그린 것이다.


우리가 지금 흔히 이야기하는 충실忠實하다. 충성忠誠한다. 등의 개념도 단순히 따른다는 수동적 의미로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따르는 그 주체는 주체 의지가 없다. 로봇이나 노예처럼 의지 없는 객체가 된다. 사람을 수단으로 삼을 때 소외되듯이, 자기 자신이 의지를 거세하면 스스로 소외된다.


내가 무언가에 충실할 때, 그것이 일이든, 사랑이든, 취미든, 그 어떤 관계에서든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충忠하는 것이다. 누가 강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그런 사람인 것이다. 마음이 진실되고, 지극한, 진심을 가진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