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영처럼 Nov 01. 2021

여기 오픈했어요! 오픈빨을 살려라

네이버 카페 회원 모으는 방법 ② 가입 이벤트 

얼마전 동네 치킨집이 오픈을 했다. 오픈 당일 가게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은 한 눈에 봐도 50명 쯤은 되어 보였다. 반값 행사 덕분이다. 그냥 돈주고 사먹지 굳이 반값에 저렇게 줄을 서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꼭 가격때문에 줄을 선것은 아니다. 이 가게는 오픈 전부터 요란하게 광고를 해댔다. 작은 동네에 체인점이 들어오는 것도 신기했을테고, 광고 덕분에 사람들의 기대 심리도 올랐을거다.  


"누구보다 먼저 가게가 오픈하면 치킨을 먹어야지"라고 결심한 사람들이 있었을 것이다. 전자제품이 나오면 "누구보다 먼저 구입해서 사용해봐야지"하는 얼리어댑처럼 말이다. 덕분에 첫 날 치킨집은 호황이었다. 몇 시간 동안 줄은 끊이지 않고 이어졌고, 한 마리씩 치킨을 챙겨간 사람들 표정도 뿌듯해 보였다. 오픈빨이다. 


하지만 만약 이 치킨집 사장님이 "우리가게 오픈할거에요!" 혹은 "오픈할 때 치킨 반값 행사해요!"라고 알리지 않았다면 사람들이 오픈했다고 이렇게 알아서 와서 줄을 섰을까? 절대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평범한 다른 가게들처럼 알고 있는 사람들이 찾거나, 그 날 우연히 치킨이 먹고 싶었던 사람들이 지나가다 치킨을 주문했을지 모른다. 


네이버 카페도 마찬가지다. 수 많은 카페가 온라인에 있다. 각 주제별로 이미 대형카페는 넘쳐난다. 그 유명한 대평카페들 사이에서 신규카페가 오픈하고 회원수를 늘리는건 유명한 식당들 사이에서 오픈한 작은 가게를 알리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인다. 치킨집 사장님이 반값 행사를 한참전부터 알린 것처럼, 카페를 알리기 위해서 그에 못지 않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카페 오픈 전부터 "한 달뒤에 네이버 카페 오픈할거에요!"라고 알릴 필요는 없다. 다만 카페에 회원을 받을 준비가 어느정도 되었다면 사람들에게 알리고, 찾아올 이유를 만들어 줘야 한다. 가장 많은 카페들이 시도하는 방법이 바로 '가입 이벤트'이다. 


'네이버 카페 가입 이벤트'라는 키워드로 검색만 해봐도 그동안 많은 카페들이 시도한 다양한 이벤트들이 나온다. 이렇게 먼저 접근하는 이유는 내 카페에 맞는 이벤트를 기획할 때 이미 시도한 이벤트를 참고하면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 콩자반 마켓 : 가입하고 맘모스 빵(소) 받기, 선착순 300명 + 카톡플러스 추가하기, 빵 받고 리뷰 남기기 

네이버 카페 가입 이벤트 콩자반 마켓 출처


 - 마이유학 : 회원가입 후 가입인사 남기면 선착순 50명중, 10명 추첨해서 스벅 아이스아메 선물 

- 김해축협 : BHC 순살뿌링클 + 콜라 1.25, 당첨인원 20명, 모집기간 1주일, 스크랩 또는 새글쓰기, 본인 SNS에 공유(카페 또는 한우광고 영상 택1) 후 기대평 남기기 


마이유학 / 김해축협 가입이벤트 



- 컴디씨 : 기간 1주일, 회원가입 후 가입완료 화면 블로그 비밀댓글로 등록, 추첨을 통해 1만원권 문화상품권 5명 증정

- 닥공사 : 인원제한 없음, 추첨없이 전원증정 문화상품권 1천원, 댓글로 참여신청 + 네이버 오피스 참여신청서 작성, 기간 1일 

- 경수모 : 가입하고 덧글 + 신청서, 편의점 상품권 2천원 전원, 기간 3일 


컴디씨 / 닥공사 회원가입 문화상품권 이벤트 / 경수모 편의점 상품권 



이처럼 다양한 가입 이벤트가 많다. 운영하는 카페 주제에 맞는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고가의 상품을 진행하기도 한다. 자신이 운영하는 카페 규모와 참여 인원등을 고려해서 상품을 정해야 할 것이다. 가입이벤트라고 해서 꼭 카페 오픈시에만 진행하는건 아니고, 카페를 키우는 과정에서도 종종 활용한다. 참고로 간혹 참여자가 당첨자 수보다 적을 수도 있으니 예상수를 고려해서 이벤트를 진행하는게 좋다. 



작가의 이전글 덥석 물 미끼를 던져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