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비평연습 Sep 01. 2022

슬픈 예술가의 초상

#74) 심보선,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문학동네(2019)


시인 심보선의 첫 산문집. 19년도에 출간된 이 책에서 3년 전의 그가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하고 물었고 3년 후 지금의 나는 아직,이라고 답한다. 30년이 지나 이 책을 다시 펼친다면 어떨까. 그때 그곳의 풍경은 환할까. 혹시 그때도 여전히 아직,이라 대답해야 하는 건 아닐까. 그는 처음에 이 책의 제목을 "어설프고 서글프고 어색하고 부끄러운"으로 쓰려 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의 제목이 훨씬 좋지만 저 제목이었어도 나는 좋아했을 것 같다. 어떤 글은 단숨에, 또 어떤 글은 곱씹으면서 겨우 읽어 나가는 동안, 나는 자주 어설프고 서글프고 어색하고 부끄러운 심정이 되어야 했다.

ㅡ 그의 글이 보여주는 시대의 슬픔 앞에서 나는 어설펐다. 어설프다는 것은 익숙지 않다는 것인데, 불행에는 절대로 익숙해질 수가 없으므로 지난 몇 년간 우리가 목격해 온 불행들 앞에서 나는 언제나 어설펐다. 특히나 3부에서 그가 세월호 참사나 용산 참사와 같은 주제로 글을 쓸 때, 나는 그 글을 어떤 마음으로 읽어야 하는지 알기 힘들었다. 슬퍼한다면 어설프게 슬퍼하는 일이 되고 공감한다면 어설프게 공감하는 일이 되는 듯했다. 마치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지 몰라 우스꽝스럽게 엉거주춤하는 아이 같았다.

ㅡ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그가 명석한 사회학자의 눈으로 사회의 어두운 면을 비춰 보일 때, 나는 서글펐다. 그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핵이 있고, 따라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비핵화가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나는 이 말이 평화주의자의 레토릭이나 시인의 메타포가 아니라 현실주의자의 분석으로 들리기를 바란다. 사실은 다 알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삶이 전쟁터로 바뀐 지 오래라는 것을."(316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비핵화」 중)이라고 썼다. 저 말이 너무 외롭게 들려서, 누군가 나 대신 나서서 반박해 줬으면 싶었다. 누구라도 그럴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래서일까, 이토록 냉정한 현실주의자인 그가 '행복'에 관해 말할 때면 나는 어색했다. "사람들은 시의 주요 정서가 슬픔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 시는 진리보다 행복에 더 가까운 것이다."(169면, 「시쓰기는 '말 만들기 놀이'」 중) 그러고 보니 그의 첫 시집 제목이 "슬픔이 없는 십오 초"였던가. 나머지 시간이 전부 슬픔으로 가득 차 있다고 해도, 그에게는 슬픔이 없는 단 십오 초가 있다. 그는 자신을 "끝까지 신랄할 수 없는 사람이며, 사실은 희망하기 위해 비관하는 사람"(158면, 「우정과 애정의 독서」 중)이라고 소개한다. 저렇게 슬픈 사람이 행복을 말한다는 게 어색하긴 해도, 그 어색함은 그로테스크하다기보다는 자못 감동적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글이 사회의 치부와 결함을 정확히 꼬집어낼 때 나는 내 치부와 결함을 꼬집힌 듯 부끄러웠다. 그는 어디가 고장 났는지 사회학자의 눈으로 발견하고 시인의 언어로 지적한다. 그때마다 나 자신이 고장 난 사람은 아니었는가 자주 돌아봐야 했다. 그러니 그의 글을 읽기 전의 나보다 읽고 난 후의 내가 조금은 더 나은 사람이라고 말해도 거짓말이 아닐 것이다.


나에게는 세 가지 수수께끼가 있다. 영혼이라는 수수께끼, 예술이라는 수수께끼, 공동체라는 수수께끼이다. 이 수수께끼는 내 시에도 나오고 논문에도 나오고 산문에도 등장한다. 알려 해도 알 수 없지만 알고 싶은 마음을 그칠 수 없는 인생의 화두들이다. 이 화두들을 붙잡고 죽을 때까지 쓰고 싶다. 나는 여전히 기적을 소망하고 있는 것이다.

-327면, 「후기」 중


 저 수수께끼들이 어찌 그 혼자만의 수수께끼이겠는가. 모든 인간 앞에 동일하게 놓인 수수께끼겠지만 누군가는 외면할 때 누군가는 매달린다. 아마 심보선은 그중에서도 가장 간절하게 매달린 사람. 일찍이 우리는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그런 이들을 불러왔다. 예술이 정말 아름다워지는 순간은 마침내 그 수수께끼의 해답을 풀어 냈을 때가 아니라, 저 불가능한 수수께끼에 매달리기를 멈추지 않을 때다. "이 화두들을 붙잡고 죽을 때까지 쓰고 싶다"고 말하는 우리의 시인처럼.



09.01.22

작가의 이전글 나는 내일 일을 미리 알려주는 세계에서 자라지 않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