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버들 Dec 27. 2023

소:담백#봄 03 카레는 처음이라

소소하고 담백한 나의 세 번째 독백

Chapter 3. 카레는 처음이라


주방에서 카레가 끓기 시작하면, 현관문 앞에서부터 오늘의 메뉴를 알 수 있을 만큼 카레의 존재감은 꽤 강하다. 그런데 카레는 의외로 속재료에 대해 까다로움을 표하지 않는다. 고기 대신 쫄깃한 표고버섯을 넣을 수도 있고, 애호박 대신 단호박이나 고구마를 넣어도 좋다. 또한 카레는 다른 음식들과도 무난하게 잘 어울린다. 예를 들어 노릇하게 구운 계란프라이라든가, 온몸에 칼집을 두른 소시지라든가, 통통한 새우튀김 또는 바삭하게 구워진 마늘 후레이크, 닭고기, 돈가스 등.. 나열하자면 끝이 없을 것 같아 이 정도에서 마무리하겠다.

                                                                                                       

서두가 너무 길어졌다. 소:담백의 세 번째 독백의 주제를 카레로 삼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선, 일단 나의 스무 살로 돌아가야 한다. 때는 바야흐로 내가 대학생으로서 처음 맞는 봄의 어느 날이었다. 농번기를 앞두고 동아리 회원을 대상으로 농촌봉사활동 참여자를 모집한다는 공지가 떴다. 그리고 나는 곧장 참가신청서를 제출했다. 극내향의 성향인 내가 무슨 용기로 신청했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신기할 따름이다. 어쨌든 나는 그 해 5월, 별로 친하지 않은 선배들 그리고 처음 본 타과 학생들과 함께 1박 2일-사실 1박 2일인지, 2박 3일인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의 농촌봉사활동을 떠나게 된다.


마을회관에 짐을 풀자마자 작업복으로 갈아입은 우리는 밭으로 이동하기 위해 동네 어르신의 트럭에 올랐다. 울퉁불퉁한 농로를 따라 좌우로 덜컹이는 차체 때문인지, 낯선 환경으로 인한 긴장 때문인지 왠지 모르게 속이 울렁였다. 하지만 이도 잠시, 너나 할 것 없이 많은 양의 땀을 흘리고, 마을에서 준비해 주신 새참을 먹고, 다시 힘을 내 호미질하기를 여러 번. 우리를 둘러싸고 있던 긴장감과 어색한 기류는 어느새 온데간데없었다.


카레 만들어야 하는데, 할 줄 아는 사람?

저녁 식사시간을 앞두고 누군가 물었지만, 그 누구도 선뜻 대답하지 못했다. 대학생이라 해봤자 갓 고등학교를 졸업한 스무 살이었고, 고학년이라고 해도 고작 스물둘, 스물셋의 젊은이들이었다. 아직은 부모님의 챙김을 받는 것이 익숙한 나이일터. 게다가 아무리 잘 만들어도 본전, 맛이라도 없으면 뒤이어 따라올 민망함은 또 어떻고. 이러니 누가 당당하게 자원할 수 있을까! 그런데 그걸 해낸 사람이 바로 나였다. 나는 어릴 때부터 엄마의 주방보조로 활동한 덕에 웬만한 요리는 자신 있었다. 뭐, 카레 그까짓 거, 끓는 물에 카레가루 푼 다음 야채만 숭덩숭덩 썰어 넣으면 되는 거 아닌가!


“너 요리 잘해?”

카레에 들어갈 야채 손질을 시작하려는데, 내 옆으로 다가온 동갑내기 동기가 물었다.

“잘은 아닌데 못 먹을 정도는 아닌데?”

갑자기 훅 들어온 녀석의 공격에, 칼을 쥔 나의 오른손이 살짝 떨렸다는 것을, 하지만 애써 태연한 척했다는 것을 그 아이는 영원히 모르기를.


대답을 마친 나는 본격적으로 카레를 만들기 시작했다. 살짝 달궈진 냄비에 식용유를 살짝 두르고 비슷한 크기로 썰어둔 당근, 감자 그리고 양파를 넣어 살짝 볶아주었다. 야채가 절반 정도 익은 듯하자 냄비에  물을 부은 뒤 가스레인지 화력을 최대치로 올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물이 보글보글 끓어올랐고, 한 손으로는 카레가루를 조금씩 넣어주고, 한 손으로는 가루가 뭉치지 않도록 국자로 저어주었다. 한소끔 끓은 듯 하자 작은 대접에 국물 한국자를 덜어내어 간을 보았다.

어라? 이상하다. 간이 생각보다 너무 심심하다.

하지만 당황할 필요는 없었다. 밋밋한 맛은 카레가루를 조금 더 넣어주면 그만이었다. 냄비에 카레가루를 탈탈 털어 넣은 뒤, 다시 한번 가스불의 기세를 추켜올렸다. 이제는 됐겠지 싶어 호로록 한 모금 맛보는데.

어라? 이번에는  짜다.

하지만 이 또한 걱정할 필요가 없다. 물을 더 부으면 될 일이었다. 넓적한 대접에 물을 한가득 받아 냄비에 부었다. 부족한 간을 보충하다 보니 저녁 식사시간이 임박해오고 있었다. 조급한 마음을 뒤로한 채 마지막 간을 보았다.


“됐다”

두 번의 고배를 마신 뒤 드디어 이뤄낸 성공이었다. 하지만 비주얼만큼은 완전히 실패였다. 당초에 준비한 야채에 비해 물의 양이 많아져 버린 탓이다. 밥에 비벼 먹는 카레보다는 카레’ 국‘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했다. 한강처럼 드넓은 카레 국물 위, 듬성듬성 보이는 야채들. 감자가 몇 개인지 한눈에 셀 수 있을 것도 같았다. 밥상에 올라온 카레(국) 비주얼을 보자 일부는 당황한 모습을 보였으나, 천만다행으로 맛이라도 있어 민망한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


나는 이제 그때와 같은 카레‘국‘은 만들지 않는다. 국물과 속재료 간 적절한 비율이 맞는 제대로 된 ‘카레’를 만들 뿐이다. 나이가 묵직해지면서 요리에 대한 감도 꽤나 무거워졌달까. 한데 시간이 한참 흘렀음에도 카레를 먹을 때마다 스무 살의 봄, 그날이 떠오르곤 한다. 생김새도, 성격도, 전공도 모두 달랐던 사람들이, 봉사활동이라는 공통점 하나로 모여 단시간에 잘 어우러졌다는 것이 카레와 닮아서일까. 내가 처음으로 만든 서툰 카레를 맛있게 먹어준 고마운 사람들에 대한 기억 이어서일까.

작가의 이전글 소:담백#봄 02 쑥국에 고추장 한 숟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