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김과장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 과장 Jan 17. 2024

보고서 작성 시 조금 신경 쓰면 좋을 것들

퇴근 열차에서 L삼관을 생각하며

(C) best assignment writers

1. 형식면에서 전체적인 구조가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구성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용 이해를 돕는 길입니다.


특히, 장문의 보고서에서는 같은 레벨의 문장 앞 불릿기호가 병렬식으로 너무 반복되면 읽는 사람이 길을 잃기 쉽습니다.

   ○

   ○

   ○

   ○ 또는


     -

     -

     -

     -   인 경우


  ○

      -

      -

       *

  ○

      -

      -

       *   의 형식으로 구성되어야 보기에 좋고, 내용 이해도 쉽습니다. 지루하지 않습니다.


이 것이 자연스럽게 되려면, 보고서를 쓰기 전에, 큰 주제별로 꾸러미를 만들고, 각각의 꾸러미에는 더 하위 내용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합니다.


 한 개의 꾸러미에 들어가는  더 작은 여러 개의 꾸러미들은 그 크기가 같아야 합니다. 내용의 위상이 같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 공공데이터 관련 분석결과

  ○ 공공데이터포털 분석

  ○ 공공데이터회의록 분석

  ○ 공공데이터 최근 회의록 분석


이라고 목차가 구성된 상황을 가정하면, 같은 동그라미로 나열되고 있지만, 세 번째 동그라미는 사실 앞선 두 번째 동그라미의 하위 내용입니다. 병렬할 수 없는 것이 나오니, 생뚱맞아 보입니다.


○ 공공데이터회의록분석

   - (최근 회의록)

   - (                    ) 식으로 들어가야 할 꾸러미를 잘 찾고, 그 내용에 맞게 꾸러미를 채워 넣어야 합니다.


꾸러미 안에 새로운 꾸러미를 넣지 않아도 될 수 있습니다.


□ 회의록 키워드 분석

  ○ 전체회의록 주요 키워드

    -

    -

    -

형식이 그 사례입니다.

마지막 - 기호로 끝이 납니다. 보시는 것처럼 가장 상위 레벨인 '□ 회의록 키워드 분석'과 바로 하위 레벨인 '○ 전체 회의록 주요 키워드'는 사실상 같은 말입니다.

'○ 전체회의록 주요 키워드'는 굳이 넣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에 이어지는 - 레벨을 살펴보고 2개 이상의 꾸러미로 묶을 수 있다면 꾸러미별로 제목을 정해서

    -

    -

    -

    -  형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2. 보고서의 제일 앞부분 목차인 현황과 문제점은 보고서의 본문 핵심내용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밑밥에 해당합니다.


 단지 분량을 채우기 위한 형식적 목적이 아니라, '보고서 주제와 관련한 현황 및 문제점이 이러이러하니까 그래 우리는 이렇게 해야 한다. 또는 이걸 하겠다.'라는 논리적 흐름이 이어져야 합니다.


 실무적으로 보고서 본문에서 기술될 내용이 미리 준비되어 있다면, 서론 부분인 현황 및 배경, 또는 문제점에서는 본문에서 기술될 내용과 관련 있는 내용이 언급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파이팅!

매거진의 이전글 회사일에 올인하지 마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