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공 Mar 13. 2018

위험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下)

부자 말고 중산층 되기(12)

1. 탄력성 기르기     



저번 편에서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탄력성을 지니라고 조언해드렸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어떻게 그 탄력성을 기를지에 대한 방법론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전쟁과 전투 전략     



뜬금없지만 역사에 대하여 얘기해보겠습니다. 혹시 고구려의 을지문덕을 아시나요? 을지문덕 장군이 이끌던 고구려군은 수나라와의 전투에서 꾸준히 패배하였지만, 살수에서 수공을 통하여 한 번에 전세를 뒤집어냅니다.     

혹시 여러분은 전쟁과 전투의 차이를 아시나요? 전투가 모여서 전쟁이 되죠. 전쟁이란 전투의 결과가 모인 결정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투의 결과가 좋다고 해서 전쟁에서 이기는 건 아닙니다. 왜냐하면 을지문덕처럼 전투에서는 져도 전쟁에서는 이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뜬금없어 보이는 이 이야기에 바로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탄력성을 기르는 방법이 숨어있는데요. 바로 전투에서는 져도 전쟁에서는 이기는 전략입니다.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투자를 할 때 개별 투자에서는 실패하더라도 결국 큰 틀의 투자에서 성공하려면, 한 번의 실패가 내 자산을 모두 잡아먹지 않도록 위험을 잘 분배하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3.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자, 이제 전쟁과 전투 전략에 대하여 아셨다면 위험을 어떻게, 얼마나 분배하느냐?라는 질문을 하실 수 있는데요. 위험을 분배하는 방법은 정말 너무나도 많은데요. 그중 가장 중요한 핵심은 균형입니다.      

항상 투자를 할 때 실패했을 때 얼마나 큰 타격이 오는가?를 기준으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이 기준에서 실패를 했을 때 내가 다시 일어날 수 없을 정도의 타격을 받는 투자는 자제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언제부터 이런 방법을 이용하여 투자를 해야 하나요?라는 시점에 대한 질문도 하실 수 있겠는데요. 혹시 1편에서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차마라는 격언을 비판적으로 소개했던 기억이 나시나요? 저는 그래서 이런 전략을 쓰는 시점은 대략 자산이 1억을 넘어가면서부터라고 생각합니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위험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上)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