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데일리해빗 Aug 19. 2023

한 번의 ‘쓰임’은 거절할게요.


이 세상엔 정말 많은 물건들이 각각의 필요 이유에 따라 존재하지만 단 한 번의 쓰임을 하고 하루살이처럼 존재 가치가 사라지는 건 일회용품이 유일한 것 같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품들로 예를 들어보면, 

커피를 담는 일회용 컵의 경우 마시는 속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길어봤자 1시간이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일회용품 비닐봉지 이 또한 장보고 나서 집에 갈 때, 뭘 담아서 이동할 때나 쓰이니까 길어봤자 2-3시간 쓰려나? 소풍 갈 때 쓰는 일회용 비닐장갑, 젓가락도 마찬가지이다.

정말 목적에 맞게 쓰이는 기간은 짧게는 3초 길게는 2-3시간 정도?


사용하기 전엔 분명 필요한 물건이었는데, 

딱 한 번, 몇 시간 후면 바로 존재 가치가 없어져 수백년 동안 골칫덩어리 쓰레기가 되는 일회용품.

물건을 생산하고, 구매해서 사용하고, 처리하는 이 모든 과정에서 정작 물건을 사용하는 기간은 가장 짧고

다 쓰고 나서의 처리하는 단계의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린다. 

이런 상황이 생각할수록 굉장히 비효율적이고, 이게 내가 일회용품을 안 쓰는 이유기도 하다.


우리가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쓰기 쉽고 편리해서, 챙기기 귀찮으니까, 야외에 나올 땐 어쩔 수 없지…

수많은 이유로 아무렇지 않게 남발하고 있다.

솔직히 나라고 뭐가 다를까. 조금씩 쓰레기 줄이는 삶을 살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집 팬트리 안에는 누가 줬는지는 모르지만 혹시 몰라 챙겨둔 일회용품 장갑과 젓가락, 종이컵 그리고 물티슈가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니 앞으로 내가 더 적극적으로 격하게 실천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식사 후 잠시 편하게 앉아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카페에 가서 있던 일이다.

카페에서 먹고 가는 손님들에겐 일회용컵이 아닌 머그잔, 유리컵에 음료를 제공해주는데 사실 이 마저도 테이크 아웃, 매장 섭취 구분없이 일회용컵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래서 나는 음료를 주문할 때 “매장에서 먹고 갈거라 꼭 유리컵이나 머그잔에 담아주세요~” 라고 말한다. 그러면 대부분이 일회용컵이 아닌 유리컵에 음료를 제공해준다. 여기까지는 별 문제없이 수월한데 문제는 이 다음부터 생긴다. 

진동벨이 울려 픽업대에 갔을 때 음료를 받고 알아차렸다. 일회용 컵을 안 쓰려고 유리잔에 달라고 말씀드린건데, 잔에 버젓이 플라스틱 빨대가 꼿혀있었던 것이다.

커피는 다회용 잔에 담아주고 친절하게도 플라스틱 빨대 포장까지 뜯어 살포시 꼿아둔 이상한 조합...ㅋㅋㅋ

이렇게 하면 뭔가 환경 실천을 하다가 만 느낌이 든다. 100% 완벽하게 할 수 있었는데 빨대를 사용함으로써 50%인 반만 성공한 찜찜한 느낌이랄까. 

그 일이 있고나서부턴 웬만하면 개인 텀블러를 꼭 챙겨가고 혹여 텀블러를 못챙겼을 때는 음료 주문할 때 빨대 없이 다회용 잔에 담아 달라고 말씀드리고, 픽업대 앞에 서서 빨대 없이 '다회용 잔'만을 기다린다.

그래도 너무 친절한 직원분이 빨대 드릴까요 물어보면, 이렇게 대답한다.


 아뇨 빨대는 괜찮아요!

(한 번의 쓰임은 거절할게요)


작가의 이전글 분리수거만 잘하면 될 줄 알았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