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서윤 Jun 19. 2019

진부하고 피로한 단어, 공감, 20개월 아기에도 통했다

엄마의 공식 12

요즘 아들은 말하는 단어가 많아지고, 엄마가 하는 말을 자기 나름대로 따라 한다. 그 모습이 어찌나 귀여운지,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보는 게 또 쏠쏠한 재미다. 아들이라 그런지 말은 여아보다 느리긴 하다.

울 아이가 요즘 많이 말하는 단어는
어설픈 발음으로 <내꺼야>.

사실 키즈카페에 가서 자기가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자꾸 뺏기는 모습을 보고 가르친 건데 친구한텐 말도 못 하고 집에서만 주구장창 쓰고 있다.

자기 것도 아닌데 <내꺼야>하고 우기면 나는 아들에게 "이건 **꺼 아니지? 이건 형아 꺼야." 이렇게 말했고, 남편은 "욕심쟁이!" 이렇게 말하며 안된다고 했다.
자기가 갖고 싶은 게 생기면 불쌍한 목소리로 내 거야, 내꺼야 말하는 게 점점 많아지자 마음이 짠해서 "엄마가 사줄게, 엄마가 다 사줄게"라고 말하며 달래기도 했다.

어느 날 밖에서만 노는 에너지 넘치는 아들이 누나들이 축구하는 모습을 봤다. 축구를 좋아해서 공만 보면 몸이 먼저 반응하는 아들은 누나들의 공을 보며 또 불쌍한 목소리로 <내꺼야> <내꺼야> 말하기 시작했다.

그래, 너도 축구하고 싶겠지. "나도 공놀이 하고 싶어"라는 문장을 말 못 하니 자기가 말할 수 있는 단어 중에 고른 게 <내꺼야>겠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저건 **꺼 아니지? 누나꺼지?"라는 말을 하지 않고

"우리 **도 축구하고 싶구나!"라고 말했다.

그랬더니 내 말을 알아듣는가 싶은지도 모르겠는 아이가 갑자기 "응" 하더니 더 이상 조르지 않고 그 자리를 떠나는 게 아닌가.

마음을 공감받았다고 느꼈던 것 같다. 말도 못 하는 그 조그마한 애가 말이다.

사실 <공감>과 <자존감>이라는 단어가 처음 각광받을 때는(감정코칭과 아이의 자존감이라는 책에서부터 이슈화된 듯) 신선했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런데 이제는 뭐만 하면 그 단어들을 들먹이니 조금은 진부하고 피로해진 단어들이기도 하다. 그래도 이 단어들이 중요하다는 건 매 순간 느낀다.

강연에 가면 어떤 부모님들이 이런 질문도 하신다.
"선생님, 공감해주래서 그랬구나, 공감했더니 더 기어올라요. 도대체 어디까지 공감해줘야 하나요?"

부모나 교사는 권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 권위는 어른인 내가 주는 게 아니라 아이가 부여한 것이어야 한다. 내가 무섭게 한다고 또는 체벌한다고 생기는 게 아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받아주기만 해도 권위는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감정은 공감해주되 안 되는 행동은 단호하게 말해주라고 하는 것 같다. 또 너무 사소한 것 까지 제지하면 진짜 안 되는 것에서 안된다고 해도 그 말이 먹혀들어가지 않는다.

공감의 힘은 크다. 내가 의지하고 사랑하고 있는 상대가 해주는 공감의 힘은 더 크다.​

아이에게 충분히 공감해주되,
진짜 안 되는 행동은 알려주는 따뜻하면서도 믿을만한 엄마가 되고 싶다.


#엄마일기

#공감

#자존감

#감정코칭

#아들 맘

매거진의 이전글 육아하기 전에 이해가 안되었던 것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