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이진 Jan 13. 2021

13. 오픈 가능한 솔직함

솔직함은 어디까지 허용 가능한가

언젠가 글쓰기 모임을 하다가 M이 물었다. "이 글을 쓰고 나니까 어때요? 속에 있던 화가 좀 해소됐나요?" 그랬다. 그날 나는 분노로 가득 찬 글을 썼다. 이렇게 오픈된 공간엔 절대 올리지 못할, 부끄럽고 못났으며 어찌 보면 추하기까지 한 그런 글. 그마저도 이 모임이 아니었다면 애초에 쓰지 못했을 글이었다. 그렇지만 M의 물음에 선뜻 분노가 해소되었다고 말하지 못했다. 그저 머리가 좀 복잡했는데 정리가 된 것 같다고만 말했다. 그러자 M이 다시 물었다. "더 쓰고 싶은 부분이 있나요?" 나는 한참 뜸을 들이다가 말했다. "더 솔직하게 쓰고 싶긴 한데, 잘 모르겠어요. 이 글도 밑바닥까지 드러낸 건 아니라서."


나는 '솔직히'라는 단어를 많이 썼다. 글을 쓸 때도 그랬고 말을 할 때고 그랬다. 특히나 화가 나거나 흥분을 했을 때 '솔직히'라는 말을 하면 갑갑했던 가면이 탁 하고 깨지면서 시원한 기분이 들었다. 나는 맨얼굴로 있는 걸 아주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애써 표정을 숨기지 않았고 그건 화가 날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나의 모습이 딱히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게 가장 자연스러운 '나'라고 느꼈다. 그만큼 거추장스러운 것들을, 꾸며진 것들은 좋아하지 않았다. 왜 좋은 것을 좋다고 말하면 겸손하지 못한 것이 되는지, 질투가 나서 질투가 난다고 말하면 열등감 덩어리로 낙인찍히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그래서 더    드러냈다. 너네가 가식적인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날 것들을 드러낼수록 사람들은 나를 불편해했다. 좀 유하게 넘어가면 안 돼? 좀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안 돼? 하고 나무랐다. 어, 난 그게 안 돼.  소리 지르고 싶었지만 차마 그러지 못했다. 아무래도 혼자가 되는 건 두려웠으니까. 그러던 어느 날, 누군가 그런 이야기를 했다. "가면을 쓰고 있지 않다는 건, 전쟁터에 나갈 때 다른 사람들은 다 갑옷을 입고 나가고 너만 맨 몸으로 나가는 거랑 똑같아. 그게 얼마나 위험하겠니." 그 말에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어떤 솔직함은 아주 사랑스럽고 어떤 솔직함은 아주 불편하다. 어디까지 솔직해야 할지, 어느 정도까지 나를 오픈해도 되는지 나는 아직 구분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솔직한 것들은 언젠가 약점이 될 수도 있다는 걸 이제는 잘 알기에 점점 조심스러워질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12. 언니랑은 꼭 떡볶이를 먹었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