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을 찾은 일상의 이야기
브런치 글을 두 달 여 만에 쓰게 되었다. 그동안 글을 쓰지 못했던 특별한 이유가 있었느냐마는, 아무 일도 없었기 때문에 글을 쓸 일이 없었다. 지금까지의 내 글들을 이어주는 하나의 줄기는 고뇌와 투쟁이었다. 삶을 살아가면서 생기는 고민과 비판이 내 글감이다. 그러다 문득, 최근 내 삶이 잔잔하게 흘러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앞으로 나는 새로운 글감을 찾아야만 할 것 같다.
결혼한 지 2년, 직장인이 된 지 4년, 현 아동학대 업무는 3년. 내 삶도 어느새 안정을 찾아가게 되었다. 특히 지난 2년 간은 배우자와 삶을 맞춰가는 시기였고 극심한 격동기이기도 했다. 자주 싸우지는 않았지만 한 번 갈등이 생기면 깊은 골을 만들었고, 그때마다 나는 글을 썼다. 그런 점에서 배우자는 내 뮤즈(?) 이기도 했다.
커리어 관점에서도 작년까지 나는 눈앞의 길에 불만족스러워하며 계속 다른 길을 찾고 있었다. 내가 갖지 못한 삶, 내가 가지 못한 길에 대한 미련만 가득해 현재 삶에 집중하지 못했다. 내 일에 자부심이 없어지는 것은 자연스레 ‘나’라는 사람에 대한 불확실을 이끌었다. 그러다 힘든 사례를 만나 피폐해지기도 했다. 만일 작년에 내 일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면, 어려운 사례를 만났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지는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배우자와 갈등을 빚는 주제들은 점점 줄어들었다.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받아줄 수 있게 되었다.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도 배워갔다. ‘화’라는 감정을 어떻게 다룰지 몰라 그저 세게 던지기만 했던 나도, 그 감정을 잘 다듬어서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지를 터득해간다. 배우자의 존재에 감사하게 된다.
진로 고민은 평생 한다고 했다. 중요한 것은, 그 고민이 현재 내 일을 하찮게 대하는 태도가 되지는 않는다. NGO워커로서 일하지 못한다고 여기며 내가 갖지 못한 삶을 우러러보기만 했다. 하지만 나는 지금 있는 자리에서 가장 밀접하게 NGO워커로서 일을 하고 있었다. 물론 나의 자발성으로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 내 선택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항상 내게 손톱만 한 미련을 남긴다. 그럼에도 이 일이 주어진 이상 나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는 것. 현재에 충실하게 삶을 살아내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 내 삶은 100% 자발성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한다. 결론은, 일을 대하는 자세에 있다.
문득 생각이 들었다. 30세와 맞물리면서 나의 삶이 더 안정을 찾은 걸까? 작년까지만 해도 20대를 떠나보내야 한다는 생각에 아쉬움과 섭섭함이 앞섰다. 오죽하면 친구와 파티라는 행위로 20대의 마지막 날을 기념했을까.
막상 살아보는 30대는 생각보다 멋지다. 돈도 있고 경력도 있고, 더불어 늘 내 편인 배우자까지 있다. 삶이 만족스러워지는 주기가 얼마나 자주 오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내가 보내는 이 시간이 그 주기의 꼭대기에 있는 것은 확실하다. 이 시기에 내 삶을 지탱해줄 지짓대들을 계속 만들어 놓는다. 언제 다시 고뇌와 투쟁으로 가득한 시간이 올지 모른다. 그럴 때를 대비해 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들을 잔뜩 만들어둔다. 요즘은 기타를 배우고 있다. 고단한 일상을 승화시키는 데에는 예술만 한 게 없다.
‘안정’이라는 것이 아직은 어색하지만, 이 안정을 꼭꼭 씹어 음미해 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