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진심이야?”
“정말 같이 살 거야?”
아들이 기겁하며 계속 물어본다.
아들이 결혼하면 손주 봐주며 같이 살겠다고 남편이 말한 것이 발단이었다. 평상시에 허투루 말하지 않는 아빠가 같이 살겠다고 하니 진짜인가 싶었나 보다. 그것도 ‘곁에서’가 아닌 ‘같이’ 라니?
아니 그래도, 동네 치킨집에서 치맥 하며 이 얘기 저 얘기하는 와중에 흘러가듯 나온 말인데 이리도 기겁할 일인가?
남편은 남모를 미소만 띠고 답을 하지 않았고, 그 행동에 나도 놀라웠다. 흘러가듯 나온 말이 아닌가? 모전자전이 따로 없네. 그리 겪고도. 아님, 나만 겪었던 건가?
“걱정 마, 너랑 안 살 거야. 나도 싫어.”
그리고 물어봤다. “그렇게도 싫었어?”
“응, 중간에서 힘들었어. 숨 막혔어, 어떤 때는.” 아들이 닭다리를 뜯으며 담담하게 말한다.
내게는 담담하게 들리지 않았다. 생각해 보니 아들에게 고부 갈등으로 넌 어땠냐고 물어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아들에게는 항상 미안하다. 태어나서 몇 개월을 제외하고는 할머니와 계속 살았으니, 한평생 고부 갈등을 생생히 목격했을 터이다. 아직 먼 이야기, 얼마나 미리 걱정이 되면 저럴까, 이해가 됐고 안쓰럽고 미안했다.
나도 조심한다고 노력했지만, 20년 이상을, 24시간 한 공간에서 살면서 순간마다 표출되는 온갖 갈등의 얼굴들을 숨기며 살기는 어려웠다. 나는 수련자도 성인도 아닌, 보통의 인간이므로.
결혼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행복하지 않다고 여긴 나날들의 근간은 시어머니였다. 결혼 이후 초기 몇 해를 제외하고는 같은 공간에서 살았으니, 온갖 갈등에서 불거져 나오는 감정의 찌꺼기들을 해소할 나만의 공간도 없었고 방법도 잘 몰랐고 내 안에 쌓여만 갔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악독한 시어머니는 아니다. 그러나, 결혼 전에는 겪어보지 않은, 나의 상식을 벗어난 인간상이어서 처음에는 적응도 대응도 안되었다. 그냥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상처가 되었다.
순하고 착한 남편의 어머니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강한 자기애에, 세상의 중심이 본인이어서 본인의 감정, 상황, 삶이 최우선이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나 존중은 없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언행에 5분만 같이 있어도 기분이 상하게 되고 힘들어진다.
나의 고부간의 내막을 자세히 아는 지인들은 지능적인 괴롭힘이라고 말한다. 결혼 첫 십 년 동안은 하나밖에 없는 아들, 며느리를 위한 큰 뜻이 있으시겠지 하며 좋게 받아들이려 노력했었다. 하지만 세월이 갈수록 나아지지 않았고, 큰 뜻도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20대 시절에는 미소와 웃음이 예쁘다는 말을 많이 들었건만, 결혼 생활을 하면서 나는 점차 무표정한, 울상의 얼굴로 바뀌어갔다. 어머니에 대한 실망감, 서운함 등이 원망, 미움, 신세한탄으로 쌓여갔고 나중에는 그것이 독이 되어 나의 건강도 해쳤다.
오십이 넘어서야 뒤늦게 깨닫는다.
고부 갈등은 며느리만이 감당해야 할 영원한 고통의 숙제이다. 시어머니는 일도의 타격도 없다.
좋은 관계를 가져가기 위해서는 서로 노력해야 하는데, 아무리 신식의 시어머니라고 해도 며느리 역할에 대한 가부장적인 기대와 아들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쌍방의 노력이 없으면 세월이 많이 흘렀다고 해서 나아지지 않는다. 오히려 세월에 따라 관계 역학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시어머니는 그대로이지만, 며느리는 더 이상 참지 않는다.
고부 갈등이 오래 지속되면, 어느 순간부터는 누가 갈등의 유발자이며, 누구의 잘못이 더 큰 지는 무의미해진다. 오랜 기간 중 어느 한 단면을 잘라서 보게 되면 그 구분이 애매해지기도 한다. 따지는 것도 피로해지고 구차해진다.
누구를 미워하게 되면 제일 많이 상처를 받는 사람은 나다. 미움의 뾰족한 화살은 상대를 겨냥하지만 나에게 꽂혀 깊은 상처를 입힌다. 상대방은 멀쩡하다.
고부 갈등은 상처의 깊이와 폭은 다를 수 있지만, 내가 아끼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상처를 입힌다. 그래서 자신만을 위한 행동을 하기도 어려워진다. 그 파장이 크고 파국으로 치달을 수도 있기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십이 넘어서야 깨닫는다. 어느 순간에는 자신을 위해 결단을 내려야 한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결단을 못 내리게 되면, 누구를 탓할 수 있겠나?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천주교 기도문을 외칠 수밖에.
Edvard Munch ‘The Scream (1893)’ | 에드바르트 뭉크 ‘절규 (1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