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pielraum Nov 02. 2022

좋은 이별, 김형경

어떤 대상과 이별할 때 느끼는 경험의 감정은 대체로 비슷하다. 이별은 슬픔과 상실, 증오 그리고 두려움을 동반한다. 내가 아는 한 이별의 어휘는 그런 의미를 담고 있을 거라 생각했다. ‘좋은 이별’이 가능한 걸까? 이 형용모순(形容矛盾) 같은 낱말은 실재하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존재했을 법한 그래서 깊은 목구멍에서 토해내지 못한 사연과 서사(敍事)를 품고 있을 것만 같았다.

‘프로이트’는 이별의 대상을 ‘부모, 형제, 연인만이 아니고 명예, 직위, 돈, 이데올로기까지 그 범주가 넓다고 했다.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떠나보내면서 살고, 궁극에 ‘나’도 떠난다. 삶이란 상실의 연속이다.


‘퇴직’도  밥벌이의 상실이고 회사와의 이별이다. 퇴직은 안전한 공간과 환경을 떠나 낯선 곳으로 떠나는 이민처럼 쇼생크 같은 회색 감옥을 남긴다. 밥벌이와의 헤어짐에도 좋은 이별의 서사(敍事)가 있어야 한다. 퇴직할 때 좋은 이별이 드물다. 보내는 자와 떠나는 자의 심각한 오해가 증오, 분노, 상실감으로 표출된다. 이런 애증의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내 안에 애증의 감정들이 막혀 더 이상 흘러가지 못하면 자존감 상실, 자기 비하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고여 있는 분노와 슬픔의 물길을 뚫어 상실의 강이 잘 흐를 수 있도록 나만의 ‘애도의 과정’을 만들고 이겨내면  내적으로 더 성장할 수 있다.


나의 실존은 회사에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나의 행동과 결정에 달려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표현의 기술, 유시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