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오늘 날에 이르러 한 때 산업의 리더 역할을 했던 기업들이 한 순간에 산업의 주도권을 잃고 산업 역사의 기억에서 사라진 예가 허다하다. 사라져가는 기업들은 한결같이 기업의 가치를 내재화하지 못하고 일시적인 시장 선도의 위치에 만족해야만 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기업은 뒤처지고 있다. 한국사회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요인을 변동성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기업은 어떤 대응전략을 펼쳐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의 변동성을 장기저성장의 고착화, 인구구조의 변화, 노동환경의 변화, 기술발전의 급진전 등 4가지로 구분하여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서술했다.
제 1장에서는 한국사회의 변동 요인을 장기저성장의 고착화로 정의하고, 내수부진과 경제성장률 저하 등 저성장 장기화가 진행되는 한국경제를 진단한다. 또한 저성장 위기의 극복과제로 조직구조의 효율화와 중간관리자의 육성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한국사회의 변동 요인을 인구구조의 변화로 정의하고, 생산가능성 인구감소, 고령 인구증가 등 인구절벽으로 향해가는 대한민국에 대해 살펴본다. 인구절벽에 대한 대응과제로는 산업구조 고도화와 생산능력 향상, 고령층과 여성인구의 노동 시장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 설정하였다. 이 장에서는 한국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변화를 고찰하며 변화를 이끄는 집단으로 밀레니얼 세대를 선정하였다.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에 대해 정의하고, 고객과 시장의 변화가 다가오는 시대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예상해본다.
제 3장은 노동환경의 변화에 대해 서술했다. 노동시장의 변화는 주 52시간 근무제, 최저임금제, 광주형 일자리 등 2019년 현재 노사민정을 뜨겁게 달구었던 3가지 주제에 대해 살펴본다.
제 4장에서는 한국사회의 변동 요인을 기술발전의 급진전으로 선정하고, 4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현실에 대해 다룬다. 이 장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빅뱅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수준을 진단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롭게 등장한 미래 시장 모습과 미래 조직의 특성을 설명한다.
제 5장에서는 한국사회의 변동성에 대비하여 기업과 조직차원에서는 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지 신성장동력의 개발과 창의조직 환경 조성을 주제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