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올리브많이 Sep 12. 2020

혼자 살기 전엔 몰랐던 것들

독립해서 살다 보면 누구나 하는 뻔한 감상이 있다. 물때 없이 깨끗한 변기나 뽀송한 수건이 차곡차곡 쌓여있는 선반이 당연한 게 아니었구나 하는. 나도 그랬다. 문제는 그 정도가 다가 아니라는 거였다. 조금 더 살다 보니 슬금슬금 깨닫게 된 자취 살림의 사소하지만 중요한 비밀들이 있었다.

 

하나, 쓰레기통은 '그것'이 중요하다. 모든 집안일 중 가장 귀찮은 일은 쓰레기(음식물쓰레기 포함) 처리다. 입주한 첫날, 가까운 홈플러스에서 스테인리스 쓰레기통을 샀다. 비 오는 날 한 손엔 우산을 한 손엔 큰 쓰레기통 박스를 짊어지고 끙끙대며 집에 들어온 기억이 난다. 언니와 살 때는 뚜껑이 있지만 직접 닫아줘야 하는 엉성한 플라스틱 쓰레기통을 썼었다. 그래서인지 발로 밟아 뚜껑이 열리고 자동으로 꽉 닫히는 튼튼한 스뎅(?) 쓰레기통이 참 마음에 들었다. 그렇게 쓰레기통은 작은 원룸 입구 한 구석에 위풍당당히 놓였다.


그런데 몰랐다. '크기'까지 생각해야 할 줄은. 1인 가구에게 20L짜리 종량제 봉투가 들어가는 쓰레기통은 너무 컸다. 나는 다른 집들이 몇 리터 봉투를 쓰는지 잘 몰랐다. 쓰레기통이 크면 자주 안 버리러 가고 좋은 거 아닌가? 어차피 뚜껑도 잘 닫히고. 단순했다. 늦봄쯤 날파리가 꼬이기 시작하면서 깨달았다. 엄마에게 전화로 20L짜리 쓰레기봉투를 쓴다고 했더니, 지금까지 너 혼자 그런 큰 봉투를 썼냐며 놀라셨다. 특히나 여름철에는 벌레가 꼬여서 일반 가정집도 작은 용량의 봉투로 바꿔 쓴다고... 아무리 뚜껑이 잘 닫혀도 혼자 살면서 20L짜리 봉투를 쓰면 다 채울 때까지 쓰레기들이 집에 그만큼 오래 머물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제는 10L짜리 쓰레기통으로 바꿨다.)


둘, 요리에 장비는 충분조건이 아니다. 필수조건이다. 모두가 첫 독립을 시작하고 한 달 정도는 신나게 집들이를 하며 배달 음식에 취한다. 정신을 차리고 나면 집밥이 당기고 계란 프라이, 참치 캔, 김 하나 조촐하게 놓고 밥을 차려 먹는다. 좀 더 탄력을 받으면 김치찌개, 제육볶음, 계란말이 정도까지 해본다. 딱 이 단계 즈음 다시 집밥 요리를 포기하기 쉽다. 좁은 원룸 부엌에서 한 번 뭘 차리고 나면, 별것도 아닌 요리에 설거지가 산처럼 쌓이고, 음식물 쓰레기도 생기고, 장 봤던 재료도 남아 돌아서 냉장고 청소도 귀찮고, 결과적으로 이래저래 들이는 노동에 비해 그다지 비용이 세이브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장비'를 갖추게 되면 상황이 반전된다. 요리 세계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좀 있어 보이는 요리를 하고 싶어 유튜브나 블로그에 레시피를 검색하면 나오는 좌절의 단어들이 있다. 파슬리, 레몬즙, 페퍼론치노, 맛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등등. 레시피에서 '없으면 생략 가능'으로 치부되는 재료들. 이 요리 하나 만들고자 이걸 산다고? 그냥 없이 하지 뭐. 생략해도 된다 잖아. 내 경험상 생략하고 만든 결과물과 없으면 생략 가능하지만 꼭꼭 챙겨 넣은 결과물은 하늘과 땅 차이다. 게다가 '없으면 생략 가능'인 재료들을 하나 둘 생기면 할 수 있는 레시피가 많아진다. 아무리 엄마 집밥을 좋아해도 현실적으로 한식만 해 먹긴 힘들다. 한식은 기본적으로 한 그릇 요리가 어려워서 1인 가구가 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보통 '없으면 생략 가능'한 재료들은 양식, 일식에 골고루 쓰여서 갖춰 놓으면 굉장히 유용하다. 오븐도 마찬가지다. '오븐 없이' 전자레인지로 ~만들기 레시피가 쏟아지지만 그래 봤자 '오븐 있이'한 레시피를 따라가기 어렵다. 오븐이 생기면 그만큼 오븐으로 할 수 있는 요리가 또 얼마나 다양한지. 몇 번의 출혈로 다양한 장비를 갖춰 두면, 이후부터는 장 봐 뒀던 남은 재료들을 써먹을 요리가 많아지고 외식보다 맛도 뒤처지지 않아 집밥의 가성비가 좋아진다.


셋, 이불 빨래는 쉽지 않다. 특히 겨울에. 본가에 살 때도 건조기가 없어서 엄마가 이불 빨래를 하시면 큰 건조대에 널거나 거실 바닥에 깔아 두셨다. 혼자 살면 큰 건조대가 없는 건 당연하고 바닥에 이불을 깔면 아예 걸을 바닥이 없으니 옴짝달싹 못한다. 나는 그나마 복층에 살아서 이불 건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 복층 난간에 걸어두거나 복층에 깔아 두면 되니까. 이렇게 이불 빨래는 '건조'에만 큰 초점이 맞춰지곤 하는데 예상치 못한 더 큰 난관이 있다. 겨울 이불은 원룸에 빌트인으로 들어가 있는 작은 드럼세탁기에서 안 빨린다는 것. 솜이 두꺼운 이불이 너무 뚱뚱해서 세탁기 안에서 돌아가지 않았다. 겨울에 입주를 해서, 짧게 생활했던 이불과 작별하면서 이듬에 봄에 세탁기에 넣고 이불 빨래 모드를 시작했다. 한 20분쯤 남은 상태를 체크하고 분명 한참을 기다렸는데 여전히 똑같은 시간이 남아 있는 게 아닌가? 그렇게 몇십 분을 기다렸지만 여전히 그 상태였다. 공간이 비좁아 제대로 된 헹굼과 탈수가 안 되는 거였다.


그래서 처음으로 집 바로 앞 '코인 빨래방'에 갔고,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나는 아직도 코인 빨래방의 이름이 왜 '코인' 빨래방인지 모르겠다. 이불을 세탁하고 건조기에 건조까지 하려면 1만 원 가까이의 돈이 필요했다. 굳이 이 돈을 '코인'으로 받는 이유가 뭘까? 그냥 지폐나 카드로 받아주지. 나는 현금을 아예 안써서 급하게 ATM기를 찾아서 만 원을 뽑았다. 그리고 코인 빨래방 동전교환기로 500원짜리 동전 20개로 바꿨다. 굳이 짤랑대는 동전으로 바꾼 덕분에 손에는 동전 쇠냄새가 가득 났다. 몇 십번 동전을 밀어 넣어 세탁기를 돌리고 다시 집으로 갔다. TV를 보며 시간을 때우다 세탁이 다 되었을 즈음 다시 내려갔고 이번엔 건조기에 넣었다. 또다시 집으로 올라 갔다가 다시 건조 완료 시간에 맞춰 찾아왔다. 다행히 결과는 만족스러웠는데 생각보다 비싸고, 잘 쓰지 않는 현금도 뽑아야 하고, 왔다 갔다 번거로워 불만족스러웠다. 하지만 우리 집에는 겨울 이불이 빨리지 않는 세탁기가 있다. 다음 겨울에도 깨끗하고 포근한 솜이불을 위해 나는 다시 코인 빨래방에 가겠지.


매거진의 이전글 7평 원룸의 반짝이는 찰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