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면접의 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n Aug 01. 2023

If I were you,

면접자의 관점을 이해하라.

타인을 욕망을 이해하면, 그들에게 물건을 팔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가 온전히 내 상품가치를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면접관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인지를 확인하라는 것이다. 물과 빵의 예로 들어보자. 배가 고픈 사람은 빵을 찾는다. 반면 목이 마른 사람은 물을 찾는다. 면접관의 니즈도 모른 채 자신이 빵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목이 마른 면접관에게 호소를 아무리 해봤자, 그 빵맛이 얼마나 기가 막힐지언정 먹히지 않는다. 그들의 니즈는 물이기 때문이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얼마나 타인의 욕망을 이해하는가는 얼마나 자신의 상품가치를 낼 수 있는가를 분명히 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면접을 도와주는 영어 투터이기도 하지만, 내 경우는 작은 교육 스타트업의 창업자이기도 하다. 사람들이 니즈를 얼마나 맞춰주는가는 내 커리큘럼이 얼마나 훌륭한가 보다 훨씬 중요하다.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것을 주는 것, 그것이 바로 자신의 가치를 가장 높게 매길 수 있는 길이다. 이때 필요한 가정의 상황 if I were you (내가 만약 당신이라면)이다. 당신이 면접관이라면, 이러이러한 사람을 뽑겠는가, 당신이 이 회사에서 필요한가? 당신에게 이 회사가 바라는 바가 무엇이겠는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가야 한다. 물론 이는 job description에 분명히 기재된다. 그래서 이 커닝 페이퍼와도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job description 없이 면접을 준비한다는 것은 족보 없는 시험을 준비하는 것처럼 가이드라인이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일단 영어 면접의 경우는 job description에서 모르는 단어나, jargon (전문용어), abbreviation (축약형 단어)는 모두 마스터해서 그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할 뿐 아니라, 그 단어를 입에 익숙하도록 익혀서 – 비록 이 전에는 같은 의미의 다른 단어를 썼을지라도 – 바꾸어서 풀어내는 연습을 해야 한다. 기본이다. 바로 자신이 면접관 혹은 회사의 입장이 되어서 회사가 필요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을 해야지, 자신의 경력과 교육 및 인적사항 등의 PR로 job description과 무관한 말을 많이 하게 된다면, 오히려 이는 PR이 아니라 감점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물론 자신감 있는 태도와 기존의 경험에서 배운 지식은 중요하지만, 그 지식이 현재에 자신이 지원한 일과는 전혀 무관하다면, 오히려 그 경력은 이 일에 있어서 이익이 되기보다는, 면접관에게는 신입 사원처럼 다시 가르쳐서 투입해야 하는 손이 많이 가는 인력에 불과하다. 고로, 자신의 경험이 면접관이 원하는 답인가, 내가 당신이라면 어떤 사람을 뽑으려고 할까, 상대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선택을 당해야 하는 입장에서 가장 좋은 질문이 될 수 있다.

물론, 구직을 하는 사람 역시도 여러 회사를 두고 선택을 해야 하는 입장이 될 수도 있지만, 그 전제는 당신이 회사 지원에 합격했을 때의 경우를 전제하는 말이다. 그러니 일단 상대의 마음에, 회사의 job description에 부합하도록 자신의 경험치에 어떤 부분을 포커스 할지를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다.


다음은 글로벌 컴퍼니의 job description이다. (예: 어카운팅 파트)

·        Document financial transactions of various types by entering account information data

·        Analyze accounting options and suggest financial actions

·        Summarize financial status by collecting information and preparing balance sheet, profit and loss , account statement, and other reports

·        Ensure accounting controls by suggesting procedures and policies

·        Guide accounting clerical staff by answering relevant questions and coordinating activities

·        Secure sensitive financial information by completing database backups

·        Prepare payments by requesting disbursements and verifying documentation

·        Answer accounting related questions by interpreting as well as researching accounting regulations and policy

·        Study new and existing legislation and comply all legal requirements

·        Ensure that legal financial requirements are adhered to and advice management on relevant actions

·        Maintain customer confidence.

다음과 같은 업무를 맡게 되고, 그리고 이어서 job duties 나 job에 대한 구체적 skills 혹은 requirements가 제시된다. 

·        Possess advanced skills in the use of Excel package

·        Strong ability in managing and processing large quantity of data

·        High proficiency in data organization, filtering, as well as combining functions

·        Proactive and customer focused

·        Strong ability to organize work schedules and to warm up to people from diverse culture

·        Efficient in communicating both orally and in writing with all levels of staff

·        Self-motivated with strong ability to prioritize tasks and perform multiple duties simultaneously

·        Graduate of a four-year college or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in accounting, finance, or in other related field

·        Two years or more experience working as accountant

·        Proficiency in the use of accounting software, including Microsoft Dynamic GP

·        Ability to analyze accounting options and perform mathematical computation.

일단 아래의 requirements의 충족을 만족하는가를 먼저 자신의 스펙과 대비해서 자신이 자격조건을 미리 확인 후에 job description을 가지고 자신의 스토리를 맞추어 가야 한다. 그래서 job description은 시험의 족보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인터넷을 치면 많은 기존의 예제들을 찾아볼 수도 있고, 때때로 시험을 통과한 사람들의 수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남이 그런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하여도, 자신의 기준이 될 수 없고, 특히 경력직의 경우는 자신의 경험이 무조건 남의 조건과 유사하거나 같다는 전제가 극히 드물기에 자신만의 특별한 스토리텔링은  나의 경험 experience을  if I were you, 내가 면접관이라면? 의 가정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맵인 job description에 잘 결합해서 그들의 원하는 방식의 단어와 그들이 원하는 방식의 구체적인 예제로 공략하는 것이 필수다.


그렇다면 면접관이 원하는 것은 물인가, 빵인가? 내가 들고 있는 것은 물이어야 하나? 빵이어야 하나? 그 분석을 하는 것이 면접에서 합격률을 올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어 울렁증은 어떻게 극복하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