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차쌤 Mar 21. 2022

빛을 보는 각도

가끔은 철학자가 됩니다(8)

인간의 시야각은 130도가 평균이다.

시야각을 벗어난 230도 볼 수 없다.

고개를 돌리지 않으면 말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360도를 보기 원한다.

어둡고, 볼 수 없는 것을 보기 원한다. 

뒷머리가 떠 있으면 어쩌나, 바지엉덩이에 무언가 묻지 않았을까. 


그래서 기계를 사용하거나 거울을 이용한다. 

어둠에 가려진, 보이지 않는 230도를 위해서 말이다. 


어둠에 가려진 것을 보았을 때 

보이지 않았던 것을 보았을 때 

차라리 보지 말 걸, 이라는 후회가 들 때가 있다. 


그럼에도 난 어두운 곳, 보이지 않는 곳이 보고 싶다. 

단순히 호기심의 문제가 아니다. 

믿음의 문제다. 

내 뒤에 무엇이 있는지, 어두운 곳에 혹시나 위험한 어떤 것이 숨어 있지 않는지,

그래서 나나 당신이 위험성에 노출된 채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위험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세상에 대한 믿음을 얻기 위해서, 나는 어두운 곳이 밝게 드러났으면 한다. 


미련하지만, 놀랍도록 아둔하지만 

나는 여전히 사람을 믿는다. 

더 좋은 나라가 되길 바라고, 더 좋은 사람들이 국가를 위해 일했으면 좋겠다. 

사회적 문제들이 해결되고, 외교적 마찰이 사라지며, 인권이 유린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그들이 원하는 건 분명하다.

바로 그들의 이익. 러시아의 이익이다. 다른 건 없다.


사회적 시스템은 우리에게 눈 앞을 보라고 말한다.

130도의 시야각 안에 들어온 것들만 보라고.

130도의 시야각 안에는

내 집 값, 내 월급, 교육비, 세금 같은 것들이 있다.

또한 건강, 보험, 문화생활 같은 것들도 있다.

정치의 이면, 분쟁의 이면, 권력의 이면에 눈을 돌리지 못하게 만든다.

혐오를 통해서.


(혐오와 관련해서는 정리를 좀 해야할 것 같다. 스터디를 좀 진행한 후에!)


아무튼 우리는 빛을 보는 각도가 시각의 전부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볼 수 있는 모든 것을 보는 일. 그것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에게는 흉터가 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