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재효 Sep 08. 2023

녹족부인




(5) 수나라 진영에 가다










“장군, 소관 웅록입니다.”

“어서 오시게. 기다리고 있었네.”


을지문덕은 손수 찻물을 끓여 웅록에게 차를 대접하였다. 보통은 부하 사병들이 하는 일이었으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사에게는 그가 직접 차를 달였다.


 고구려에 소수림왕 때 전진(前秦)의 순도(順道)가 불교를 고구려에 전파하면서 차 문화도 유입되었다. 차는 웅록에게 익숙한 음료였다. 웅록이 태어난 곳이 바로 평양 인근에 있는 광법사(廣法寺)였고, 그를 거두어 기른 사람이 바로 이암대사(利嚴大師)였다. 웅록은 세속으로 나오기 전까지 이암대사 아래서 수련하면서 다도(茶道)를 배웠다.


“장군께서 손수 차를 달려주시니 감읍할 따름입니다.”


“나는 자네가 보통 사람이 아니란 것을 알고 있네. 한 시진 전에 작전 회의 중에 자네가 한 말이 참으로 마음에 와닿네. 차를 마시면서 좀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작전을 토의해 보세. 다른 군관들의 의견은 색다른 것이 없었네. 회의 석상에서 밝혔듯이 나는 우중문을 찾아가 거짓으로 항복하는 고육지계를 쓸려고 하네.”


“장군님, 그 작전은 너무 위험합니다. 장군님은 고구려 육군을 통솔하는 분이십니다. 만약, 우중문이 장군님을 해치거나 체포하여 수나라 황제에게 바칠 수도 있습니다. 재고해보시는 게 어떨지요?”


“이미 공포한 것을 이제 어찌 되돌릴 수 있겠는가? 난 내가 한 말을 책임지는 사람이네. 나의 길을 막으려 하지 마시게. 내 두 눈으로 수군의 진영을 직접 파악해야겠네. 아무리 좋은 작전이라도 자네 말처럼 지피지기(知彼知己)한 상태에서 나온 작전이 아니라면 소용이 없네. 현장을 직접 보고 작전을 다시 짜도 늦지 않을 것이네.”


웅록은 을지문덕을 아무리 말려도 듣지 않으리라 판단하고 그의 작전에 동참하기로 했다. 웅록의 동참은 그가 을지문덕과 함께 우중문의 병영으로 가는 게 아니라,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는 계책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웅록은 을지문덕에게 자신의 작전을 설명하였다.


“자네가 그리해준다면 더 바랄 게 없네. 고맙네.”

“아닙니다. 부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책무라고 생각합니다. 장군님은 고구려 만백성의 희망입니다. 희망이 사라지면 고구려의 장래는 없습니다.”


“자네는 백전노장보다 훨씬 위에 있구먼.”


“혹시 장군님께서 우문술과 우중문에 대하여 알고 계십니까?”

“그자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대략적인 사항을 말해주겠네.”


을지문덕은 우문술과 우중문에 대하여 전쟁 전부터 연구하여 그들에 관하여 알고 있는 바가 많았다. 양광이 우중문과 우문술에게 30만 5천 명의 별동대를 맡길 정도면 그들에 대한 신임이 크다는 증거였다. 우문술은 북주(北周) 대군(代郡)의 무천진 사람으로 멸망한 북제의 무제 우문옹(宇文邕) 때 벼슬을 시작하였다.


그는 체구가 작았지만, 몸놀림이 무척 민첩했으며, 무예와 병법에도 상당한 수준이었다. 그는 아버지 우문성(宇文盛)의 배경으로 개부(開府)에 임명되었다.


얼마 뒤에는 좌궁백(左宮伯)으로 승차 되고, 금방 영과중대부로 임명되었다. 여러 전공으로 인하여 우문술은 박릉군공에 봉해졌고 곧이어서 복양군공으로 고쳐 봉해졌다. 국내 반란 세력을 진압하였고 그 공으로 포국공(褒國公)에 봉해졌다.


양견이 수나라를 건국하자 우문술은 수나라의 우위대장군으로 임명되었다가 곧 행군총관이 되었다. 양견이 남조의 진(陳)나라를 정벌할 때 우문술은 강을 넘어 석두성을 점령한 뒤 삼오 지역을 평정했다. 그 공으로 우문술은 안주총관이 되었지만, 그는 진왕인 양광(楊廣)에게 자신의 공을 양보하였다.


이때부터 양광과 우문술이 가까워졌다. 양광이 아버지 양견을 살해하고 황제가 되자 우문술은 좌익위대장군으로 임명되고 허국공(許國公)에 봉해졌다.


 양광은 우문술을 총애하여 그가 낸 계책은 따랐으며, 우문술의 권세는 수나라 조정을 좌지우지할 정도였다. 을지문덕이 우문술에 대해 알고 있는 바는 결코 대략적인 것이 아닌 듯했다.


“장군 그 정도면 상세히 아시는 겁니다.”

“그럼, 우중문에 대해서도 잘 아시겠네요?”


“그자도 결코 만만한 자가 아닐세. 내가 아는 우중문은 이렇다네.”


우중문은 하남 낙양사람으로 양견이 수나라를 건국하기 전에는 북주(北周)의 군관이었다. 어려서 유서(儒書) 및 병법서 등을 두루 공부했고 장성하여 큰 뜻을 품자 주변에서 그를 명공자(名公子)라 칭했다. 울지형의 난 때 공을 세워 *개부의동삼사 벼슬에 올랐다.


 또한, 석비라(席毗羅)의 반란을 잠재우고 그 공으로 주국(柱國) 하남도 대행대(大行臺)에 임명되었다. 양견이 수나라를 세우자 이듬해 수나라의 행군원수가 되어 돌궐을 공격하여 공을 세우기도 했다.


양견을 도와 위수에 운하를 축조하는 일을 맡아 공을 세웠고, 양견이 진(陳)나라를 정벌할 때 행군총관이 되어 해군을 지휘하여 군공을 세웠다. 그 밖에도 우중문은 여러 군공을 세워 양견의 총애를 받는 인물이 되었다.


이때 진왕(晉王)인 양광이 우중문의 뛰어난 역량을 눈여겨보고 있었다. 양광이 태자가 되면서 우중문은 태자우위솔(太子右衛率)에 임명되었다.


 *개부의동삼사 – 수나라 문산관(文散官)의 최고 벼슬.


얼마 뒤에 양광이 황제에 즉위하자 우익위대장군에 임명되어 문무백관을 관리하기도 했다. 아비에 이어 양광이 또 고구려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자 우중문은 좌군 중 낙랑도군(樂浪道軍)을 이끌고 고구려 정벌전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전쟁이 지지부진하자 우문술과 별동대를 이끌고 평양을 직공(直攻)하는 선봉장이 되었다.


“장군님, 지금 우문술과 우중문이 한 군영에 같이 있습니까?”


“아닐세. 압록수 건너 최전선에 우중문의 병영이 있고 그 뒤로 우문술의 진영이 있네. 정신 나간 양광이 우문술보다 우중문을 더 신임하고 있는 게야. 그러나 내가 봤을 때 침착한 우문술이 더 상대하기 어렵게 느껴지는군. 우중문은 다혈질로 성질이 급하고 쉽게 흥분한다네. 그런 자를 요리하는 게 더 쉽지 않겠는가?


그리고 참, 자네 ‘녹족 삼 형제’라고 들어보았는가? 지금 우문술과 우중문 휘하에 좌장과 공격대장을 맡고 있는데, 그 녹족 삼 형제의 활약이 대단하다네. 그 삼 형제의 맹활약에 힘입어 별동대가 파죽지세로 압록수까지 진격했네.


녹족 삼 형제는 별칭이고 그들의 성씨가 번씨(樊氏)라고 하네. 우리가 자객을 파견하여 그 삼 형제만 제거한다면 고구려군이 단번에 수나라 오랑캐들을 쓸어버릴 수 있을 텐데…….”


‘번씨 성을 가진 녹족 삼 형제? 왜 하필이면 별칭이 녹족(鹿足)일까? 그렇다면 그 삼 형제가 사슴과 무슨 연관이 있다는 것일까? 혹시, 그 삼 형제의 발이 나의 사슴 발처럼 굽이 두 갈래로 벌어진 형태란 말인가?


참으로 희한한 일도 다 있구나. 고구려 군영에서는 내가 여인이며, 사슴의 발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무도 알지 못한다. 나는 영원히 이 비밀을 간직해야 한다.’

웅록은 잠시 깊은 생각에 빠졌다가 정신을 가다듬었다.


“맞습니다. 장군님께서 그래서 우중문을 만나신다고 하셨군요. 두 적장(敵將)의 성향은 파악하였으나, 병사들의 사기와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탐지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중문이 불같은 성격의 소유자이기는 하나 문무백관을 통솔했을 정도라면 어느 정도 시문(詩文)에 대한 감각도 있으리라 봅니다.


소관의 어쭙잖은 소견이지만 장군께서는 시문에 능하다고 정평이 났습니다. 오언절구(五言絶句)나 아니면 칠언절구 정도로 우중문을 조롱하는 시구(詩句)를 지어보시지요. 오언 또는 칠언율시(五言律詩)는 문장이 긴 까닭에 성질 급한 우중문이가 자칫 오역(誤譯)할 수도 있습니다.


 미사여구가 아닌 미려(美麗)한 문장으로 우중문의 불같은 성질에 기름을 붓고 춘추필법에 익숙한 오랑캐의 자존심을 건드려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수천 마디의 말보다 의미를 압축한 시문이 때에 따라서는 큰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소관이 판단했을 때 수나라 군대는 이미 진흙 구덩이에 들어온 것과 같습니다. 그들은 쉽게 고구려 국경을 넘었지만 돌아갈 때는 수나라가 아닌 염라국(閻羅國)으로 가게 될 것입니다.


수나라 황제 양광이 조급한 마음에 별동대를 보냈다면 우문술과 우중문은 그 이상으로 조급증에 밤잠을 못 자고 있을 것입니다. 대사를 앞에 놓고 마음이 조급한 자는 일을 성사시킬 수 없습니다. 장군께서 신중한 성정의 우문술보다 미욱하고 웅숭깊지 못한 우중문의 진영으로 가시겠다고 하신 것은 정말로 탁월한 선택입니다.


이제는 장군님께서 수나라 군대가 우리 고구려군에게 패퇴하여 퇴진했을 때 어찌 처리할 것인가를 고뇌해보셔야 할 겁니다. 지금 장마로 수군이 감히 압록수를 건너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제부터 햇살이 나고 청명한 날씨가 되니 곧 수나라 오랑캐들이 도강(渡江)을 시도할 것입니다.


이제 제대로 붙어볼 때가 되었습니다. 저놈들이 압록수를 건너는 순간 지옥으로 가는 길로 접어드는 것과 같습니다. 단, 한 놈의 수나라 오랑캐들은 살려 보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별동대를 모두 압록수나 살수에 수장시켜야 합니다.


장군님, 그 녹족 삼 형제가 마음에 걸립니다. 제가 수나라 진영에 몰래 숨어들어 그들을 살펴보고 암살하거나 납치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 혼자는 할 수 없는 일이니 그 맹호 같은 삼 형제를 제압하려면 최소 무술에 능한 병사 스무 명 정도는 대동해야겠지요.


그러나 스무 명이 움직이면 저들에게 금방 노출될 것입니다. 그 삼 형제는 제가 별도로 연구를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그들의 별명이 어째서 녹족이라고 하는 것인지도 조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을지문덕은 웅록의 정세 분석에 속으로 탄복했다. 어떻게 전쟁에 한 번도 참가한 전력이 없는 부장이 그토록 세밀하고 정확하게 전황을 꿰뚫어 볼 수 있는지 을지문덕은 혀를 내둘렀다.


‘웅록이 보통이 아니야. 내가 사람 하나는 잘 본 거야. 이 정도의 명석한 머리를 가진 부관이라면 내가 믿고 건곤일척을 던져도 되겠어. 그런데 사내가 어찌 이리 얼굴이 곱고 단아할까?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야. 우리 고구려군에게는 보석 같은 존재가 틀림없다.’


“웅부관, 나를 도와주시게. 나를 돕는 것은 곧 고구려를 돕는 것이네.”


                                                                                                                                                                                                             -계속-




























                    

이전 04화 녹족부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