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den Mar 29. 2024

키워드 분석의 중요성

ROI가 높은 Winning 키워드 찾기

마케터로써 여러 가지 업무들이 있지만, Jayden의 메인은 SEOASO이다.

둘 다, 특정 키워드에 대한 노출을 최적화 하는 작업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 중, SEO에 있어 ROI 최적화를 위해 키워드 우선순위 관리 메트릭을 설정하게되었다.

키워드에 관한 경험과 생각을 글로 남겨보고자 한다.




어떤 검색 엔진을 최적화하느냐에 따라 여러 실행 방안들이 있지만, 그 모든 활동에서 '키워드'를 빼놓고 이야기를 시작할 수는 없다. 한정된 예산으로 최고의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우리 비즈니스에 가장 잘 맞는 효자 키워드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 장기적으로 지속적 가치를 얻을 수 있기에 비용 효율성이 매우 좋고, 중첩될 수록 경쟁 우위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키워드 선정에 있어 고려되는 지표는 다음과 같다.

- 키워드 검색량 (쿼리)

- 키워드 전환율

- 키워드 경쟁도


단순하게 계산해본다면, SEO의 주요 목적이 더 많은 노출을 통한 트래픽 획득이기에.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에 투자하는 것이 높은 ROI를 낼 수 있다.


 [너 SEO 해볼래?] 에서 잠깐 언급한 적이 있지만

모든 검색어에는 사람들의 의도가 숨어져있다.


그렇기에 '당연히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를 가져가야 하는 것이 맞는 것 아니야?' 는 절반만 맞는 말이다.


네이버의 경우 (구글과 다르게)

검색결과페이지는 전체 결과의 예고편 느낌이며, 실질적인 정보는 탭 별로 나누어져 있다.

네이버 블로그를 통한 SEO를 한다고 했을 때, 해당 키워드 검색량과 블로그탭에 들어가는 유저 수는 전체 키워드 검색량의 일부 비율만 유입된다.


OTT 계정 공유 서비스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넷플릭스 요금제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은 약 40만, 

넷플릭스 계정 공유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은 약 1만정도로 40배가 차이난다.


넷플릭스 요금제를 검색하는 사람들의 의도는 무엇일까?

1. 넷플릭스를 얼마에 볼 수 있는지 가격을 알고싶다.

2. 넷플릭스 결합 통신사 요금제가 나에게 맞는지 알고싶다.

3. 넷플릭스 결합 인터넷tv 요금제에가 더 저렴한건지 알고싶다.


1번의 경우 검색화면 첫 페이지에서 노출되는 네이버 지식스니펫에서 간단하게 확인 가능한 내용이며

2,3번의 경우 OTT 계정 공유 서비스와 목적이 다른 유저이다.

해당 유저들의 전환을 위해 '결합 요금제보다 계정 공유를 통한 이용이 더 좋다'라는 것을 설득 시키는 내용을 작성 하는 확률 보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라는 명확한 목적이 있는 키워드의 검색 결과 페이지를 최적화 시키는 것이 더 ROI가 높은 활동이 될 것이다.


그래서 최소한의 관리 메트릭이 필요하다.

- 미니멈으로 고려할 수 있는 월 쿼리의 기준은 어떻게 되는가?

- 미니멈으로 고려할 수 있는 노출 대비 클릭률은 어떻게 되는가? (서치콘솔 데이터 활용)

- 콘텐츠 포화 지수(쿼리 대비 월간 블로그 발행량)를 통해 경쟁도를 볼 때, 어디까지 허용 범위로 볼 것인가?




한정된 예산 안에서 메트릭에 따른 키워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해당 키워드 리스트를 최적화 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흔히 말하는 Winning Keyword를 정립해 가는 것이 키워드 분석의 마지막 퍼널이라고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Google Play 아카데미 인증서 발급 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