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den Feb 24. 2024

라이트하우스(Lighthouse)

Google이 개발한 웹페이지 품질 개선을 위한 오픈소스 자동화 도구

SEO : 검색엔진최적화로 검색엔진에서 찾기 쉽도록 사이트를 개선하는 프로세스


사용자들은 의도를 가지고 검색엔진에 검색을 한다. 서울역 근처 호텔에서 컨퍼런스를 한 뒤, 관련 사람들을 모시고 회식 장소를 찾아야 하는 김대리는 '서울역 회식장소' 를 검색할것이다. 출산을 앞둔 부부는 태어날 아이를 위하여 '신생아 육아용품' 을 검색할 것이다. 모든 검색에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의도를 통해 나온 검색 화면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움직일까?

위에서 부터 정보들을 클릭해나갈 것이고, 만족한 정보를 찾는 순간 새로운 정보를 찾는 것을 그만둘 것이다. 그러면 하위에 배치된 사이트들은 유저 유입이 극히 줄어들게 된다.


그만큼 검색결과 상위 노출은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브랜드에 소속된 마케터는 검색노출을 위해 검색광고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며 검색 상위 노출을 위해 애쓴다. 하지만 사람들은 '광고' 라는 텍스트를 마주할 때 색안경을 끼고 보게된다. 여러 데이터를 보더라도 검색결과에 상위 노출된 콘텐츠가 광고일 경우, 사람들은 광고 콘텐츠 보다 그 하위 콘텐츠를 클릭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광고를 하지 않아도 상위노출이 되는 컨텐츠들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검색결과 최적화가 잘 되었다"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검색결과 최적화를 잘 할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방법에 도움이 되는 툴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라이트하우스

라이트하우스 바로가기

구글 라이트하우스 크롬 확장 프로그램

SEO에서 중요한 요소는 두가지이다.

첫번째, 콘텐츠 품질이 좋아야한다.

정보성 콘텐츠를 제공해야 구글 봇이 크롤링할 때에 있어 "아 이 콘텐츠는 사용자에 검색 의도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는구나" 라고 생각하여 상위로 노출 시킨다. 양질의 콘텐츠를 작성하는 건 당연.

     

하지만, 양질의 콘텐츠를 작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위노출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가장 높은 확률은 사실 양질의 콘텐츠가 아닌 것인데 양질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뼈가 아프다. 다만, 혼을 갈아 넣은 양질의 콘텐츠를 작성했다고 가정해보자.) 

미노출의 원인으로는 도메인 권위, 백링크, 웹사이트 품질 등 여러가지 요소가 있지만 라이트하우스를 이용해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요소가 있다. 바로 테크니컬적인 영역.


구글봇은 사람이 아니무니다. 로봇이다.

로봇은 원하는 정확한 정보가 있다. 이 모든 조건에 해당할 경우, 좋은 콘텐츠를 품은 블로그로 확인한다.

이 영역을 테크니컬SEO라고 부른다.


상위 노출에 대한 공식은 없지만,

로봇이 읽기 좋은 사이트 구조라는 공식은 존재한다.


라이트하우스의 항목은 크게 5개로 나누어진다.

피드백을 통해 웹 사이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erformance   

- 실제 속도에 관계없이 콘텐츠가 화면에 얼마나 빨리 나타나는지,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얼마나 빨리 인식하는지에 더 중점을 두는 스코어

- 게제되는 광고, 인터넷 트래픽 라우팅 변경사항, 저성능 노트북 사용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동됨.


Accessibility   

- 접근성에 관한 점수. (참조 : 접근성이란?)

- 이미지에 alt 속성이 있는지, 배경색과 전경색의 대비가 충분한지 등의 항목을 확인한다.

참조 : 라이트하우스 접근성 점수


Best Practices   

- 웹 페이지가 웹에 대한 표준 모범 사례를 따르는지 확인하는 항목

-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API를 호출하지 않는지, HTTPS를 통해 페이지에 액세스 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


SEO   

- 웹페이지가 검색 엔진에 대해 최적화된 순위 결과를 갖도록 보장하는 테크니컬 SEO 영역

- 각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통해 웹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콘텐츠를 읽을 때 글꼴 크기를 다양하게 사용하는지(H1~H4), robots.txt파일이 유효한지, 올바른 상태 코드를 사용하는 지 등을 확인한다.

- 참고자료 : 웹마스터 가이드라인


PWA   

- Progressive Web App

- 따로 점수가 할당되지 않는다.





아무리 최상급 바리스타가 만든 루왁 커피라고 해도

밑이 깨진 잔에 담으면 고객에게 나갔을 때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 영역은 튼튼하고 견고한, 잔을 만드는 내용이다.


제이든 또한 실무에서 유용하게 사용중이고 이를 통해 4항목의 점수 중 3가지 항목은 항상 100점을 유지하고, 상위노출을 통해 검색광고 광고비를 유의미하게 줄여가는 임팩트를 만들어 내고 있다.


해당 툴을 통해 점검과 개선을 진행해보시는 것을 추천.


매거진의 이전글 인블로그(inblog) 사용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