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지수 Dec 11. 2021

부디 사랑을 하세요

영화 <사랑이 뭘까>를 보고


  사랑하세요. 우린 오직 사랑뿐입니다. 모든 형태의 사랑은 존중받아 마땅하고 아름답습니다...      


  사랑을 전도하다 못해 종용하는 나는 <사랑이 뭘까> 같은 류이 작품이 꽤나 당혹스럽다. 이런 것까지 사랑의 범주에 들어가야 한다면, 사랑을 찬미할 자신이 도무지 없기 때문이다.       


  테루코나 마모루가 하는 생각과 행동에 공감할 수 없어서가 아니다. 오히려 그 짓의 생리를 잘 알아서다. 그 언젠가, 나도 누군가의 테루코를 자처했던 적이 있었다. 내 할 일도 제쳐두고 연락을 기다렸고, 막 밥을 먹어놓고도 또 먹으러 갔다. 나에게 돌아오는 건 실망과 좌절 따위임에도 꾸역꾸역 그의 옆에서 행복을 찾았다. 그리고 특히 이 영화는 다른 비슷한 영화보다도 나를 더 찝찝하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테루코가 마모루를 향한 사랑 때문에 가장 먼저 잃는 것이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말해 돈이어서다. 신기하게도 나는 테루코와는 반대되는 방식으로 빈곤해졌다. 주말에 두 개의 아르바이트를 해가면서 그에게 아낌없이 쏟아부은 것이다. 심지어 학교를 다니는 중이었던 나는 반년이 넘는 시간 동안 주말에 늦잠을 자거나 쉬어본 적이 없었다. 그의 핸드폰 요금을 내주고, 춥지 않게 입혀주고 배부르게 먹여줬다. 그 아무도 내게 시키지 않았는데 나는 어떤 감정에 매몰되어선 외부로 시선을 돌리려 하질 않았다.      


  그러나 그는 내게 다정한 적 없었고 미안한 적 없었다. 놀라울 만큼 나와 함께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갈 생각은 일절 하지 않는 것처럼 굴었다. <사랑이 뭘까>에서처럼, 그와 내가 함께 침대에 누워있던 순간이 있었다. 말없이 핸드폰을 두드리던 그가 돌연 나가봐야 한다고 했다. 이유는 거창한 것도 아니고 어떤 여자가 저녁을 사준다며 불러내서였다. 나는 망설임 끝에 누구냐고 물었고 그런 내 질문에 돌아오는 대답은 신경 쓰일 만큼 자주 언급되어왔던 이름이었다. “가도 되지?” “내가 가지 말라고 안 할 거 알고 있잖아.” “알지. 그래서 사실은 이미 간다고 했어.”     


  뭐가 맞고 뭐가 틀린지조차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기준을 잃은 채 방황했던 시간이 어느새 먼 과거가 되었다. 나는 자주 울었고, 늘 무언가에 짓눌려있었다. 내가 그때 사랑을 했던 건가? 아니. 그건 사랑이 아니라 내가 미련했을 뿐이고 결국 불행이다. 그 사람도 나도 행복하지 않았으니까.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나는 그 과거를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경험으로 여겼다. 심지어 내가 그 연약한 순간 속에서도 버틸 줄 알던 내 치열함에 감사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시간이 좀 더 지나고, 그것의 속도가 생각보다 너무 빠르다는 걸 깨달은 내가, 나의 영혼이 가장 풍요롭고 기름질 수 있는 선택만 하면서 살고 싶어진 지금은 그때의 방황이 얼마나 허무한지 모른다.      


  나는 그때, 충분히 나를 조금 더 소중하게 여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니까 나의 주제넘은 불만은, 끝까지 달라진 것 없는 채로 영화가 흘러가면서 결국 이걸 사랑으로 담아내면, 바보같이 위안으로 삼고 기꺼이 그 길을 걸어갈 누군가가 그려지는 데에서 왔다. 어떤 마음이 모조리 연소될 때까지 가보는 것. 물론 후회는 없을지 모른다. 문제는 당장에 고통이 있다는 것이다. 왜 우리는 후회를 채 아물지 않았는데 거듭되는 상처, 그리고 거기서 오는 고통보다 더 두려운 것으로 여기는 걸까.          


  영화는 묻는다. 사랑이 뭘까. 나는 모른다. 다만 적어도 내게 있어 이게 사랑이 아닌 것만은 안다. 반대로 내가 묻는다. 테루코는 정말, 정말로 괜찮은 거냐고.


매거진의 이전글 테루코에겐 마모루보다는 펭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