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누 Mar 25. 2021

매일 동그라미만 그릴 수는 없잖아

 글이 좀처럼 써지지 않는 날이었다. 노트북 앞에 앉아 이런저런 문장을 적어보지만  마음에 드는 게 하나도 없어 쓰고 지우기를 반복했다. 시간은 어느덧 한 시간을 넘어갔지만 나는 여전히 한 글자도 쓰지 못한 상태였다. 오늘도 이렇게 시간을 버렸다는 생각에 마음속에는 점점 그늘이 드리워져만 갔다.      


 유명한 작가들은 매일 자신이 써야 할 분량을 정하고 어떻게든 채워나간다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있다. 규칙적인 생활로 유명한 하루키는 하루 무조건 네 시간씩 글을 쓴다. 그가 하루 동안 써내는 분량은 200자 원고지 20매씩이다. 나는 하루키의 열혈 팬은 아니지만 그처럼 성실한 글쓰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 그래서 글이 아무리 막히더라도 가급적이면 쉽게 포기하지는 않는다. 일단은 계속 붙들고 있어 본다. 하지만 딱히 달라지는 건 없었다. 그저 빈 화면을 바라보며 졸음과 싸우는 시간만 늘어날 뿐이다. 아무래도 이번 생에 나는 하루키가 될 수는 없나 보다. 


 결국 오늘도 아무것도 써내지 못했다는 좌절감에 사로잡혀 혼자 끙끙 앓던 중 예전에 인터넷에서 봤던 김창완 아저씨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라디오에서 호스트를 맡고 있던 김창완 아저씨는 직장생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어느 사연자를 위해 직접 손편지를 쓴 적이 있었다. 그는 손편지에 동그라미 마흔일곱 개를 그리고 그중에서 가장 그럴듯한 두 개에만 체크표시를 했다. 아저씨는 완벽한 동그라미를 그리는 날보다 조금은 찌그러진 동그라미를 그리는 날이 더 많은 게 우리의 일상이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던 거였다.


 나는 노트북은 잠시 덮고 나한테 시간을 좀 더 주기로 했다. 오늘 내가 그린 동그라미는 조금 찌그러진 동그라미구나 하면서 말이다. 중요한 건 완벽한 동그라미를 그리는 게 아니라 못난이 동그라미도 동그라미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거였다. 글이 조금 안 써진다고 조급해질 필요는 없었다. 잘 안 써지면 그냥 안 써지는 날이라 생각하고 다른 일을 하면 되는 거였다. 나는 글은 잠시 뒤로 하고 다른 할 일들에 집중하기로 했다. 학교 수업을 듣고 몇 챕터 안 남았던 소설을 마무리했다. 해가 저물기 전에 헬스장에 가서 운동을 하고 친형을 만나 저녁을 같이 먹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간단히 샤워를 하고 다시 노트북을 켰다. 그러자 낮과는 다르게 글이 써졌고 나는 내 못난이 동그라미를 완성할 수 있었다.

 

김창완 아저씨의 동그라미 이야기


작가의 이전글 '그분'의 인정을 받지 못한 작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