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쓰는 사람 Jun 20. 2021

엉성해도 안쓰는 것보다 나은 리뷰:<쓰리 빌보드>


"내 딸이 죽어가며 강간당했다.

그런데 아직도 못 잡았다고?

어떻게 된 건가 윌러비 서장"


인적 드문 외각지역의 도로변에 전광판 3개에 3개의 문장이 게재된다. 딸이 강간살해당한 뒤 7개월이 지나도록 사건이 해결되지 않자 아이의 엄마가경찰의 수사를 촉구하는 광고를 낸 것.


영화는 전광판이 세워진 곳, 경찰서, 경찰서 앞의 광고회사, 술집등 마을의 한정된 장소와 등장인물 제각각의 사정과 성격을 씨줄과 날줄로 엮어가며 이야기를 짜임새있게 전개해간다.


영화에서 주목할 점은 인물들이 저마다 불완전함과 결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딸아이의 억울함을 풀기 위해 투사처럼 싸우는 밀드레드는 생전에 딸에게 그리 살가운 엄마가 아니었다. 어쩌면 그녀의 강한 의지는 딸에 대한 죄책감의 뒷면일지도 모른다. 그녀에겐 자신에게 데이트신청하는 외소증 남자를 경멸하고 조롱하는 비열한 면도 있다.


경찰서장 윌러비의 고뇌는 그가 결코 일부러 사건을 방치한 게 아니었다는 것이다. 범인을 찾고 싶어도 목격자도, 증거도 없는 사건을 해결할 순없다. 그는 암투병의 고통을 예상하며 자살을 택했지만 이로인해 밀드레드에겐 윌러비를 자살로 몰았다는 낙인이 찍힌다.


딕슨은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습관처럼 내뱉고, 경찰이란 지위를 이용해 사람들을 겁주고 괴롭힌다. 존경하던 윌러비 서장이 자살한 뒤 광고회사 사장 레드를 폭행하고 2층 창밖으로 던져버릴 정도로 분노조절이 안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윌러비 서장이 죽기전에 남긴 편지에서 '자네도 알고보면 좋은 사람'이란 글을 읽은 후 그는 달라진다. 레드에게 사과를 하고 밀드레드의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력을 다한다.


이 영화는 저마다의 절실함과 짜임새있는 전개가 맞물려 인간이란 존재가 얼마나 복잡하고 다면적인지, 변화의 가능성을 가진 존재인지를 보여준다. 이 영화를 보고 나면' 저 사람은 원래 그래', '걔가 그렇지 뭐' 등의 인간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와 평가가 얼마나 섣부르고, 폭력적이고, 해로울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인간의 선악을 함부로 단정내려서는 안되며 타인과 자신의 인성에 대해서도 함부로 결론내려선 안된다. 인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할 때는 밀리그램 단위 물질의 무게를 잴 때처럼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 


#쓰리빌보드#프란시스맥도맨드#우디해럴슨#샘록웰

작가의 이전글 닭과 산양과 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