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희 Jan 11. 2024

<공무원으로 살아남기> 를 읽고


내 첫 책 출간과 비슷한 시기에 독립출판물을 냈던 작가님이 이번에도 같은 달에 책을 내셨다. 공무원의 삶이라곤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상주에서 버섯 농사를 짓는 삼촌과 몇 년째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조카뿐이지만 첫 책을 냈던 ‘무진’ 작가님의 글을 좋아하는 데다 출간 작가에게 책 구입이 얼마나 큰 응원이 되는지 매일 실감하는터라 망설임 없이 예약구매를 했다.      


긴 여행에서 돌아와 나보다 먼저 방을 차지하고 있던 작가님의 두 번째 책을 보니 퍽 반가웠다. 의도였는지 모르지만 띠지가 붙은 책처럼 보이는 표지 디자인 덕에 다소 심심한 일러스트는 산뜻하게 느껴졌다. 작가님의 첫 책을 읽은 탓인지, 덕분인지, 첫 책의 표지 일러스트와 문체가 자꾸 떠올라서 두 번째 책은 얼마간 예상이란 걸 하며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자꾸 고개가 갸우뚱, 멈칫하는 순간이 왔다. 내가 알던 무진 작가님의 글이 아닌 것 같아서 그랬다. 표지를 찬찬히 살펴보니 이번 책은 ‘김수연’이라는 본명을 쓰셨던데 본캐와 부캐의 차이인가. 그동안 작가님께 무슨 일이 있었더라? 소재의 차이라고만 하기엔 글의 결이 분명 달라져 있었다. 그게 살짝 낯설었지만 책이 다루는 소재에 따라 ‘잘’ 읽히는 글로 변신할 수 있는 건 작가님의 능력이기도 했다. 이따금 김수연 작가님의 글이 포털 메인에 걸려서 몇십만이 읽었다는 걸 들었는데 그동안 작가님은 어떤 실험 같은 걸 하고 계셨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갈고닦은 노력은 유명 강사의 강력한 추천을, 절찬리에 팔리며 순항하는 책의 운명을 가져왔다. 하, 부럽다.      


작가님은 한 사람의 직업인으로서 최선을 다해 전하고 싶은 말을 고르고 다듬어 책을 냈다. 그래서 제목은 공무원으로 살아남기지만 꼭 공무원이 아니어도 공감할 법한 내용이 많다. 어떤 직업을 가지고 있든, 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이가 간절히 원하는 세심하고 친절한 ‘사수’ 한 분을 책 속에 앉혀 놓은 것 같다. ‘직장 내 소문 대처법’부터 ‘건배사 잘하는 법’까지 없는 게 없으니, 궁금한데 물어보기 뭣하거나 마땅히 물어볼 데조차 없는 질문이 있다면 이 책을 들춰봐도 좋겠다.     


언젠가 작가님께 두 번째 책 기대한다는 댓글을 단 적이 있다. 작가님은 “첫 책에서 하고 싶은 말을 다 했다. 그 책으로 족하다”는 답글을 남겼다. 쓰는 사람이란 그런 것 같다. 내일은 없다는 듯 책 한 권에 모든 것을 쏟아붓는 사람들. 그렇게 다 퍼내고 그 자리가 뭔가로 조금씩 채워지면 또 쏟아부을 그릇을 찾는 사람들. 작가님의 세 번째 책은 스펙트럼의 어떤 색을 비추게 될까? 어떤 변신이든 근사하게 해내실 걸 안다.



#공무원으로살아남기 #김수연 #이비락     

작가의 이전글 <그걸 왜 이제 얘기해>를 읽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