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llo HR Nov 15. 2023

리더에 대한 짧은 소고

리더 : 조직이나 단체 따위에서 전체를 이끌어 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

 유능한 실무자로서 성과와 역량을 인정받아 어느 날 조직을 도맡아 이끄는 팀장이 되었다. 팀장(리더)이 된다는 것은 자신에게 부여된 일만 잘 해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구성원에게 업무를 부여하고 목표를 제시하여 조직 단위 성과를 만들어 내는 주체가 됨을 의미한다. 즉, "나"의 일만 잘한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이 아닌 'Leader'라는 단어의 어원처럼 이끄는 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했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가 엇갈린다.

 물론 성과와 역량을 회사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에 틀림없으나, 사실 팀장, 리더가 된다는 것은 마냥 기쁜 일이 아닐 수 있다. 다수의 사람을 이끌면서 동기부여하고 육성/성장을 위해 한정된 시간을 쪼개어 전심전력을 다해야 하는 등... 팀장으로서 무게와 고뇌는 무겁기만 하다. 그리고 불과 얼마 전까지, 회사 내 가십거리와 세상 사는 이야기를 편하게 주고받은 동료들의 반응과 분위기도 사뭇 다를 수 있다. 특히 신임 팀장은 온전한 직책자도 실무자도 아닌 애매모호한 경계선에서 외롭기 그지없다. 아무래도 평가권과 근태관리 권한 등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보니 가벼운 농담도 우스갯소리도 편하게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 권한은 별로 없지만 책임은 한 없이 무겁고 가혹하다. 위에서는 성과를 내라는 압박과 재촉이... 밑에서는 업무관리와 동기부여를 해달라는 부르짖음... 지금 이 시간에도 리더를 옥죈다. 간혹 위에서 아래에서 옆에서 치이는 리더들을 볼 때마다 안타깝다. 하지만 지극히 팀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충분히 해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 때문인지 아쉬움과 연민의 감정보다는 볼멘소리가 앞선다.

 하지만 사사로운 감정만으로 바라보기엔 리더라는 위치, 자리는 회사 내에서 매우 중요하고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지 엄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개인 리더가 팀의 업무 방식과 조직문화를 결정하고 구성원의 행동, 업무 결과, 더 나아가 사적인 영역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만큼 준비되지 않은 리더는 재앙에 가깝다. 리더의 존재와 가치는 조직문화를 저해하기도 부스트 업하기도 하고 회사, 업무, 조직 몰입도/만족도 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많은 학술 연구에서도 오래전부터 정성적/정량적으로 입증된 결과이다). 자고로 리더란 매우 신중하고 심도 깊게 의사결정 해야 하는 조직 내 필수불가결한 역할인만큼 보다 세밀하게 예비 리더를 점검하고, 현재 우리의 리더도 정상궤도를 벗어나 탈선(derail)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또 확인하는 프로세스와 결단력도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도 묵묵히 누군가를 대신해 외로운 싸움과 고난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이 세상 모든 리더에게 박수를 보낸다. 리더여~ "외롭지만 힘내라. 중요한 것은 그 어떤 시련에도 꺾이지 않는 마음일 테니~!"

작가의 이전글 생사의 갈림길에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