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감상법
미술사는 특정 미술 작품의 맥락적 관계에 주목하며 특정 미술이 이전과 이후 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다시 말하면 미술이 누가, 언제, 어떻게 제작되었으며 본래의 작품과 현재의 상태 그리고 미술가, 후원가, 수집가와 대중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미술=시각문화
(다양한 접근법으로 미술작품 읽기)
1. 양식적 접근
양식(style)은 미술 작품의 형식 요소가 구성되는 방식에 따른 미적 차이에 의해 분류되고 범주화한 것이다. 마이어 샤피로(Meyer Schapiro)는 양식을 "개인 또는 집단 미술 작품에 나타나는 지속적인 형태 때로는 지속적인 요소, 특질, 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Adams, p.38)
◇ 감상법
미술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보이는 조형 요소와 원리는 무엇인가?
개별 미술가 혹은 특정 지역이나 시대의 미술 작품에서 양식은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2. 도상학적 접근
도상학은 형식보다 내용을 강조하며 주제의 의미와 상징 그리고 맥락 속에서 상징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쉽게 말해, 도상학이란 '이미지가 말을 한다'라는 의미이다. 이미지(그림 등)를 해석하기 위한 텍스트인 것이다.
◇ 감상법
미술 작품에서 특정 대상은 어떠한 역사적, 종교적, 사회적 의미를 나타내는가?
3. 마르크스주의 접근
사회 맥락적 접근으로 미술 작품을 주로 사회에 대한 미술의 정치경제적 역할과 관련지어 해석한다. 예를 들면 미술품의 생산, 작품과 노동계급과의 관계, 지배계층에 의한 미술의 전개 등과 같은 이슈들을 다룬다.
◇ 감상법
미술 작품을 후원한 사람은 누구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미술 작품은 당시 어떠한 사회적 현상을 보여주는가?
미술 작품에는 어떠한 계층의 시각이나 관점이 강조되었는가?
미술 작품에 어떠한 계층이 등장하였는가? 그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페미니즘 접근
1960년대 말, 정치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던 여성 운동과 더불어 미술에서도 페미니즘이 논의가 된다.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의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왜 존재하지 않는가』라는 책을 통해 남성 본위, 천재 중심, 형식 위주의 서양미술사를 비판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하였다. 페미니즘적 접근은 미술의 역사를 통해 여성의 위치를 결정지었던 사회적 구조의 이데올로기를 살펴보고 여성과 미술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감상법
미술 작품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어떻게 표현되었는가?
미술 작품에서 이른바 여성적인 표현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누가 제작했느냐에 따라 미술(작품)의 위계는 달라지는가?
5. 전기적 방법
전기적 방법은 미술 작품을 작가의 생애 및 개성과 관련지어 연구하는 것이다. 미술가의 생애를 다룬 텍스트를 바탕으로 하며 미술가가 어떠한 작품을 만들었는지도 알아야 한다. 도슨트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접근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미술 비평은 미술 작품을 대상으로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작품의 중요성을 판단하는 미술계의 전문 영역 혹은 전문가의 탐구 방식을 말한다. 근거 있게 추측하는 글을 말하며 미술 비평의 단계는 기술, 분석, 해석, 판단의 4단계가 있다.
기술: 작품에 표현된 사물, 재료 등을 기술
분석: 작품의 조형적 특징과 관계 분석
해석: 앞의 단서를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 추론
판단: 작품의 가치 판단
관람자의 감상을 먼저 이야기해보고 추론해보고 작가의 정보 전달
1. 첫 느낌 나누기
감상 이라는 것이 재창조의 과정이라면 학생들이 새로운 미술 작품을 대할 때 그들이 갖게 되는 여러 가지 궁금증이나 반응을 소중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감상법
작품은 무엇을 생각하게 하나요?
어떤 느낌이 드나요?
2. 관찰과 추측
미술 작품을 보는 속도를 늦추어 보면 미술 작품의 세부 내용을 놓치지 않도록 해준다. 미술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추측해 볼 수 있다.
◇ 감상법
어떠한 색, 형태, 질감인가요?
작품은 어떻게 제작되었나요?
작품은 사실적, 표현주의적, 추상적인가요?
작품에서 무엇이 느껴지나요? 그 이유는?
만약 작품의 특징과 다르게 표현하였다면 어떠했을까요?
3. 작품의 맥락적 정보 조사
감상자들은 작품과 관련한 정보를 조사하거나 교사나 도슨트를 통해 작품의 맥락적 정보를 인식하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 감상법
작가, 의도, 제목, 시기, 양식, 배경 등은 무엇인가?
4. 의미를 만들고 공유
작품의 의미를 말하는 단계로 어렵긴 하지만 가장 독창적이며 중요한 단계이다.
◇ 감상법
이 작품의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만약 당신이 작품 속에 있다면 무엇을 생각하겠는가?
만약 당신이 작가라면 제목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이유는?
위의 경우는 성인의 관람 방법이며 관람 대상자가 어린이일 경우, 감상법은 달라질 수 있다. 어린이와 소통하는 전시가 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 관람자들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어린이인 경우 부모 또는 선생님과 함께 관람을 하기 때문에 관람 후기를 아이들과 공유하는 것이 좋다.
미술관에서 도슨트의 역할은 무엇인가? 작품 해석의 대상으로서 예술 작품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체험의 대상으로 예술 작품의 의미를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작품이 과연 해석 대상인지, 체험의 대상인지에 대한 물음도 끊임없이 제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작품에 대한 해석이 작품의 의미를 잘 드러내도록 해야 하며 그 의미를 가리고 훼방하지 않는가에 대한 생각도 해보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의미 있는 해석, 의미 없는 해석에 더 나아가 이러한 해석의 궁극적인 기준은 감상자에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도슨트는 미술작품의 해석을 도와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스스로 작품을 보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지니기도 한다. 시대에 따라 혹은 관람자의 유형에 따라 그 외 다양한 상황 속에서 해석을 제공하는 해석자로서, 체험의 안내자로서 도슨트의 역할이 적절히 수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