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복 Jul 03. 2024

신사업 접근법(대기업vs스타트업)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신사업 접근 방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대기업의 신사업 접근  

시장 규모: 

크고 안정된 시장 선호: 한국 대기업은 일반적으로 연간 1조 원 이상의 시장 규모를 선호합니다. 이는 투자 대비 수익을 극대화하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성숙한 시장 진출: 새로운 시장보다는 이미 검증된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스크 관리: 

낮은 리스크 선호: 대기업은 실패 확률을 20% 이하로 줄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패할 경우 기업 전체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려 합니다. 

다양한 리스크 관리 전략: 여러 부서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자원 및 자본: 

풍부한 자원: 대기업은 프로젝트당 100억 원 이상의 자본을 투입할 수 있는 자원이 있습니다. 

기술 및 인프라 활용: 기존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신사업에 진출합니다.      


의사결정 구조: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 대기업은 여러 계층의 의사결정을 거쳐야 하므로 의사결정 과정이 수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조직 내 정치적 요소: 내부 정치적 요소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객 피드백: 

제한된 고객 피드백 수용: 대규모 조직에서 고객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표준화된 프로세스: CS 부하가 높지 않은, 80% 이상의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선호합니다.      


혁신: 

점진적 혁신: 대기업은 급진적인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혁신을 추구합니다. 

기존 사업 강화: 기존 사업을 강화하고 보완하는 형태의 신사업을 선호합니다.      


스타트업의 신사업 접근  

시장 규모:

작은 틈새 시장 선호: 한국 스타트업은 초기에는 연간 10억 원 이하의 작은 틈새 시장에서 시작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미래 성장 가능성 중시: 현재의 시장 규모보다는 연간 50% 이상의 성장률을 중시합니다.      


리스크 관리:

높은 리스크 감수: 스타트업은 실패 확률이 50% 이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빠른 피봇: 시장 상황에 따라 몇 주에서 몇 달 내에 빠르게 피봇(pivot)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원 및 자본:

제한된 자원: 스타트업은 프로젝트당 1억 원 이하의 자본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부 투자 의존: 자본이 부족한 경우 엔젤 투자자나 벤처 캐피탈로부터 자금을 조달합니다.      


의사결정 구조:

신속한 의사결정: 창업자나 소수의 경영진이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유연한 조직 구조: 조직 구조가 유연하여 몇 주 이내에 빠른 변화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 피드백:

고객 중심 접근: 고객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합니다.      

높은 CS 부하 수용: 초기에는 고객 지원의 50% 이상을 직접 처리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혁신:

급진적 혁신: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통해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혁신을 추구합니다.      

신속한 프로토타입 개발: 몇 주에서 몇 달 내에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시장에서 테스트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K-Startup의 2 Pizza Team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